•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hape Estim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한강유역에 대한 강우지역빈도해석의 적용성 연구 (Application of Rainfall frequency Analysis in Han River Basin)

  • 허준행;이영석;남우성;김경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8-1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점빈도해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화의 개념을 사용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점빈도해석은 수문자료의 관측기간이 짧은 경우 정확도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지점 내 충분한 수의 자료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점별로 자료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지역빈도해석을 통해서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확률수문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강우자료 선별을 통해서 신뢰성 있는 자료를 구축한 후, Regional Shape Estimation법과 Index Flood법을 사용한 지역빈도해석을 각각 실시하여 지점빈도해석을 시행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강유역의의 경우 Regional Shape Estimation 법보다 Index Flood 법이 약간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질성이 내포되어 있는 경우라도 지점빈도해석보다는 지역빈도해석 기법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와 같이 관측 자료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지점빈도해석 기법보다는 지역빈도해석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확률수문량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UTION OF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BASED ON WEIBULL MODEL

  • Heo, Jun-Haeng;Lee, Dong-Jin;Kim, Kyung-Duk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1-23
    • /
    • 2000
  •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has been developed by employing the nearby site's information to improve a precision in estimating flood quantiles at the site of interest. In this paper, single site and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es were compared based of the 2-parameter Weibull model. For regional analysis, two approaches were employed. The First one is to use the asymptotic variances of the quantile estimators derived based of the assumption that all sites including the site of interest are independent each other. This approach may give the maximum regional gain due to the spatial independence assumption among sites. The second one in Hosking's regional L-moment algorithm.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annual flood data. As the results, both methods generally showed the regional gain at the site of interest depending on grouping the sites as homogeneous. And asymptotic formula generally shows smaller variance than those from Hosking's algorithm. If the shape parameter of the site of interest from single site analysi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from regional analysis then Hosking's results might be better than the asymptotic ones because the formula was deriv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sites have the same regional shape parameter. Furthermore, in such a case, regional analysis might be worse than single site analysis in the sense of precision of flood quantile estimation. Even though the selected sites may satisfy Hosking's criteria, regional analysis may not give a regional gain for specific and nonexceedance probabilities.

  • PDF

교량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지역적 활하중 확률모형 구축 (Study on Location-Specific Live Load Model for Verification of Bridge Reliability Based on Probabilistic Approach)

  • 엄준식
    • 한국신뢰성학회지:신뢰성응용연구
    • /
    • 제16권2호
    • /
    • pp.90-97
    • /
    • 2016
  • Purpose: Majority of bridges and roads in Gangwon Province have been carrying loads associated with heavy materials such as rocks, mining products, and cement. This location-specific live loads have contributed to the present situation of overloading, compared to other provinces in Korea. However, the bridges in Gangwon province are designed by national bridge design specific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location-specific live loa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al traffic data accumulated on regional weighing station to verify the live load characteristics, including actual live load gross vehicle weight, axle weight axle spacings, and number of trucks. Methods: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the location specific live load, a governmental weigh station (38th national highway Miro) have been selected and the passing truck data are processed. Based on the truck survey, trucks are categorized into 3 different shapes, and each shape has been idealized into normal distribution. Then, the resulting survey data are processed to predict the target maximum live load values, including the axle loads and gross vehicle weights in 75 years service life span. Results: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e nationally used DB-24 live loads, and the results show that nationally recognized DB-24 live load does not sufficiently represent real traffic in mountaineous region in Gangwon province. Conclusion: The comparison results in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specific live load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bridge design and evaluation.

동북아 전력계통 연계를 통한 융통전력 도입 시 가격상한 수준에 대한 분석 (Estimation of Electricity Price of the Imported Power via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in North-East Asia)

  • 김홍근;정구형;김발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5권3호
    • /
    • pp.128-132
    • /
    • 2006
  •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as an alternative for energy cooperation under regional economic bloc, has been hotly debated before progressing the restructure in electric power industry and rapidly expanded in many regions after 1990s. Especially, since northeast asia has strong supplementation in resource, load shape, fuel mix etc., electric power system interconnection in this region may bring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s. Moreover, since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has a great difficulty in a geographical condition to interrupt electricity transaction with other countries, it has been expanded as an independent system to supply all demand domestically. As a result, Korean electric power system makes considerable payment for maintaining system security and reliability and expands costly facilities to supply a temporary summer peak demand. Under this inefficiency, if there are electricity transactions with Russia via the North Korea route then economic electric power system operation nay be achieved using seasonal and hourly differences in electricity price and/or load pattern among these countries. In this paper, we estimate price cap of transacted electricity via interstate electric power system in northeast asia. For this study, we perform quantitative economic analysis on various system interconnection scenarios.

$^{99m}Tc$-HMPAO 뇌혈류 SPECT 영상의 부위별 체적 혈류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Quantification of $^{99m}Tc$-HMPAO Brain SPECT Images for Assessment of Volumetric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 곽철은;박석건;양형인;최창운;이경한;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4
    • /
    • 1993
  • 뇌혈류 SPECT영상을 사용하여 뇌혈류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횡단면 또는 관상면의 단층상을 이용하여 관류 결손 부위의 계수 분포를 평면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일반적으로 관류결손 부위의 크기는 다양하며 특히 임의의 형태를 갖는 관류 결손을 포함하는 영상에서는 평면 분석에 의한 결과는 많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적 분석에 의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기초연구로서 동일한 뇌혈류 SPECT 영상에 대하여 평면 분석과 체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하므로서 체적 분석 방법의 안정도와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평면 분석 방법에서는 관류 결손 부위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뇌혈류평가 지표인 계수 분포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합산에 사용된 단층상의 수에 따라 체적 분석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평면 분석은 횡단면을 사용하는 경우와 관상면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에서도 상이한 결과를 보여 체적 분석 방법이 뇌혈류 평가지표로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다변량 분석 기법을 활용한 강우 지역빈도해석 (Region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by Multivariate Techniques)

  • 남우성;김태순;신주영;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17-525
    • /
    • 2008
  •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결과는 수문학적으로 동질한 지역의 구분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지역을 구분할 때에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변수의 유형과 개수가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활용 가능한 모든 변수들의 정보를 요약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지역 구분의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지역 구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다변량 분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모든 변수가 표현하는 정보를 대표할 수 있는 더 적은 수의 변수를 선정하는 기법으로 Procrustes analysis를 활용하였다. 이 기법을 활용하여 42개의 강우 관련 변수들을 21개로 줄일 수 있었다. 선정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5개의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를 근거로 군집해석 기법인 fuzzy-c means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을 구분하였다. 68개 강우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지역을 구분한 결과 6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6개의 지역에서 GEV 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3변수 대수정규 분포와 generalized logistic 분포가 5개 지역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generalized logistic 분포를 바탕으로 지점빈도해석, 홍수지수법, 지역형상추정법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SRTM과 NED를 이용한 식생수고 및 수령 추정 (Vegetation Height and Age Estimation using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and National Elevation Datasets)

  • 김진우;허준;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203-209
    • /
    • 2006
  •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는 긴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사용하므로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지구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잇점을 갖고 있으므로 NASA는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미션수행을 통해 지형정보를 획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RTM 데이터와 USGS의 NED (National Elevation Datasets)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두 데이터를 차분함으로써 식생수고도(vegetation height map)를 얻었다. 또한 차분값과 shape 파일에 포함된 식수년도의 비교를 통해 상관관계여부를 판단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차분데이터와 식수년도 사이의 큰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국 수령추정과 수령정보의 맵핑이 가능함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지역별 지형특성, 숲의 균일도 등에 의해 선형성이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차분영상으로부터 얻은 식생수령추정 모델이 지역의 기복의 영향을 받지만 여전히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충분히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행작용을 고려한 우면산 토석류 모의 매개변수 특성분석 (Analysis of debris flow simulation parameters with entrainment effect: a case study in the Mt. Umyeon)

  • 이승준;안현욱;김민석;임현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9호
    • /
    • pp.637-646
    • /
    • 2020
  • 산지 사면에서 발생하는 토석류는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특히, 도심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유동 및 퇴적과정에서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토석류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모형들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아직 토석류 모형들의 매개변수에 대한 분석은 충분하지 않으며, 특히 토석류의 유동과정 및 피해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연행작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토석류 유동해석 모형인 Deb2D 모형을 통하여 토석류의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흐름, 피해지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침식과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산사태에 적용하였으며, 수치모형의 객관적인 정확성 판단을 위해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석류의 피해 범위, 총 퇴적량, 특정 지점에서 관측된 최대 퇴적 높이, 토석류의 첨두 유속를 검토하였다. 또한 매개변수 변화가 연행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침식 형상 및 깊이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행작용을 고려한 래미안 아파트와 신동아 아파트 유역의 모의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두 유역에서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각 매개변수의 영향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산사태 발생예측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비교평가 (Evaluating Geomorph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landslides in Mountainous Region)

  • 이수연;정관용;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485-503
    • /
    • 2015
  • 본 연구는 산지에서 지형분류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atena,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그리고 Geomorphons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은 가평군, 횡성군, 김천시, 여주시/이천시이며, 2001부터 2014년까지 군단위로 수집된 산사태 자료를 사용하였다. Catena 방법은 분류기준자가 명확하며, 지역 간 분류기준자의 객관화와 비교가 가능하고, 분류된 결과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지형분석 및 통계분석 절차가 까다로우며 자동화가 어려워 일반인이 쉽게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TPI와 Geomorphons 방법의 경우 분류절차가 간단하고, GIS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계산하는 방안의 크기에 따라 결과에 큰 차이를 보이고, 사용하는 지형단위가 형태적인 특성에 한정되어 지표에서 나타나는 지형형성작용과의 공간적 연결성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세 지형분류방법 간 호환성이 낮게 나타나, 지형분류방법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지형 단위에 대해 통일된 개념 규정이 필요하다. 각 지형분류법이 산사태를 예측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지 중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상위 50%의 지형단위를 선택한 뒤, 지형단위에서 나타나는 산사태 발생비율을 계산하여 '산사태 예측력(Predictive Ability)'이라고 정의하였다. '산사태 예측력'에 의해 구분되는 지형이 전체 지역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취약지 면적(Vulnerable Area Ratio)'이라고 규정하였다. 종합적인 판단을 위해 산사태 예측력을 산사태취약지역으로 나누어 점수화한 결과, Catena 방법의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고 고형분함량 감자의 수확시기 예측모형을 위한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량 추정 (A Calculation Method of in vivo Energy Consumption in Estimation of Harvesting Date for High Potato Solids)

  • 정재윤;서상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4-291
    • /
    • 2010
  • 고 고형분함량 감자 생산을 위한 수확시기를 예측하는 데 있어 에너지 소모량의 추정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지역별로 포장의 파종시기부터 수확시기까지 최근 5년간(2005년~2009년) 평균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일조시간, 바람, 지중온도 등의 농업환경을 조사한 결과 파종기 저온피해와 괴경비대기 장마기간을 회피한다면 가공용 원료감자는 가공품 생산에 필요시마다 물량을 수급하기 때문에 만숙재배를 하지 않아 품종의존도가 낮아 수확시기의 환경에 대한 비중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2. 파종시기부터 출현까지에는 지중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지역별 편차가 심해 시뮬레이션에서는 출현시기를 기준으로 감자의 수확적기를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3 수확시기를 예측하기 위한 생장모형은 $Tp=\frac{Tm{\cdot}Wm^{Tp}}{Wm^{Tm}}$를 사용하고, 생장량 Wm을 계상하는 기본 생장모형은 $Wm={\int}^m_tf(x)dt$를 사용하였다. 4. 기본 생장모형을 통해 Wm을 계상할 때는 광합성율(${\Delta}A$)과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Delta}E$) 개념을 적용해야 보다 정밀한 수확시기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에 대한 정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환경에 대처하는 식물체내 에너지 소모를 계상하는 것으로 최근 5년간(2005년~2009년) 수확시기에 따라 고형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광합성율만 계상할 때 보다 에너지 소모개념을 적용한 것이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