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Quantification of $^{99m}Tc$-HMPAO Brain SPECT Images for Assessment of Volumetric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99m}Tc$-HMPAO 뇌혈류 SPECT 영상의 부위별 체적 혈류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 Kwark, Cheol-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Seok-G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ang, Hyung-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i, Chang-W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Kyung-Ha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oh, Chang-S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곽철은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박석건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양형인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최창운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경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동수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정준기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이명철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고창순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Published : 1993.11.15

Abstract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the cerebral blood flow using $^{99m}Tc$-HMPAO brain SPECT utilize the measured count distribution in some specific reconstructed tomographic slice or in algebraic summation of a few neighboring slices, rather than the true volumetric distribution, to estimate the relativ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consequently produce the biased estimates of the true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This kind of biases are thought to originate mainly from the arbitrarily irregular shape of the cerebral region of interest(ROI) which are analyzed. In this study, a semi-automated method for the direct quantification of the volumetric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estimate is propos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calculated by the previous planar approaches. Bias factors due to the partial volume effect and the uncertainty in ROI determination are not considered presently for the methodological comparison of planar/volumetric assessment protocol.

뇌혈류 SPECT영상을 사용하여 뇌혈류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횡단면 또는 관상면의 단층상을 이용하여 관류 결손 부위의 계수 분포를 평면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일반적으로 관류결손 부위의 크기는 다양하며 특히 임의의 형태를 갖는 관류 결손을 포함하는 영상에서는 평면 분석에 의한 결과는 많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적 분석에 의한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기초연구로서 동일한 뇌혈류 SPECT 영상에 대하여 평면 분석과 체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하므로서 체적 분석 방법의 안정도와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평면 분석 방법에서는 관류 결손 부위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뇌혈류평가 지표인 계수 분포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합산에 사용된 단층상의 수에 따라 체적 분석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평면 분석은 횡단면을 사용하는 경우와 관상면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에서도 상이한 결과를 보여 체적 분석 방법이 뇌혈류 평가지표로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을 알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