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afety Index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공공시설 접근성을 통한 마을단위 안전지수 분석 (Analysis of Village Safety Index using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 전정배;김솔희;서교;윤성수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121-129
    • /
    • 2016
  • A disaster can be defined in many ways based on perspectives, in addition, its types are able to classify differently by various standards. Considering the different perspectives, the disaster can be occurred by natural phenomenon that is like typhoon, earthquake, flood, and drought, and by the accident that is like collapse of facilities, traffic accident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tc. Into the modern society, moreover, the disaster includes the damages by diffusion of epidemic and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s. The disaster was defined by natural and man-made hazards in the past. As societies grew with changes of paradigm, social factors have been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disaster according to new types unexpected by new disease and scientific technology. Change the concept of social disaster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has provided the regional safety index, which measures the safety level of a local government. However, this regional safety index has some limitation to use because this index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city unit which is a uni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f urban. Since these administrative districts units are on a different level wi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gional safety index provided by MPSS is not be able to direct apply to the rur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gional safety index targeting rural areas. To estimate the safety index, we was used for 3 indicators of the MPSS, a fire, a crime, and an infectious disease which are evaluable the regional safety index using an accessibility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regional safety index using accessibility from community centers to public facilities, the safety index of fire, crime, and infectious disease used access time to fire station, police office, and medical facility, respectively. An integrated Cheongju, targeting areas in this study, is mixed region wi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s of regional safety index about urban and rural areas, the safety index in rural area is relatively higher than in the urban. Neverthless the investment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in the rural areas.

실시간 기상 및 대기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안전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Urban Safety Service System Using Realtime Weather and Atmosphere Data)

  • 황현숙;서영원;전태건;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99-608
    • /
    • 2018
  • As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due to the unusual weather and the modern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the rapid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has increased human disasters. Thus, citizens are becoming more anxious about social safety.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safety has been suggested by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services such as regional safety index, life safety map, and disaster safety portal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lication framework to predict the urban safety index based on user's location with realtime weather/atmosphere data after creating a predication model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using number of occurrence cases and weather/atmosphere history data. Also, we implement an application to provide traffic safety index with executing preprocessing occurrence cases of traffic and weather/atmosphere data. The existing regional safety index, which is displayed on the Si-gun-gu area, has been mainly utilized to establish safety plans for districts vulnerable to national policies on safety. The proposed system has an advantage to service useful information to citizens by providing urban safety index based on location of interests and current position with realtime related data.

지역별 교통안전도 평가와 중점관리 법규위반사항 적출 (Regional Traffic Safety Evalution and Identifying Driver Violations to Be Controlled by Priority)

  • 김경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cident hazard index model in order to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traffic safety and to develop a driver violation index model in order to identify the primary causes of traffic accidents. The accident hazard index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accident rates based on population and the vehicle registration. The driver violation index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accident rates of each item of driver violation. Using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identified that in the provincial level analysis the degree of the traffic safety of Chungbuk, Chungnam, and Kyungbuk Province are evaluated to be low. In the county level analysis of Kyungnam Province, the degree of the traffic safety of Yangsan, Euirung, Haman, Sachun and Tongyung County are evaluated to be low. Also, it is found that the major driver violations causing accidents in the nation are driving by unlicensed drives, improper passing, and improper railroad crossing : in Kyungnam Province, improper passing is the most driver violation.

  • PDF

국내 지역안전도 평가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Local Safety Assessment in Korea)

  • 김용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69-80
    • /
    • 2021
  • 본 연구는 매년 실시되는 지역안전도 평가제도중 문제점이나 개선을 요하는 사항들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서론인 도입부에서는 2020년도에 행정안전부에서 새롭게 적용한 지역안전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자체에서 최종 평가받은 지역안전도 등급에 따른 활용 방안도 소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지역안전도 관련 선행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요약 기술하였다. 또한 지역안전도의 지표구성, 지수 산출 방법, 현행 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재해위험요인 분야의 「사회적 취약성 지표」 "반지하 가구 수"는 "기초생활 수급자 가구 수"로 대체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면적"은 "비닐하우스에 거주하는 가구 수, 컨테이너 가구 수, 쪽방촌 가구 수" 등을 합한 자료로 대체하여 평가한다. 둘째, 상습 가뭄재해지역 관리 평가부문은 시군구의 상수도 보급률이 95% 이상인 지자체는 "결측" 처리한다. 수도권 및 도시화가 이루어진 자치단체에는 가뭄재난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방재대책추진 대응분야의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평가지표 내용에 지역자율방재단과 더불어 안전보안관, 안전모니터봉사단, 재난안전 실버감시단 등의 활동도 평가에 추가한다. 다만 각 지자체 마다 지역자율 방재조직의 명칭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 예방을 위해 조직되어 활동하는 자율 방재조직이면, 그 활동 실적을 모두 합산하여 평가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유엔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도시 평가도구인 스코어카드 평가 항목 중 자연재난과 연관이 깊은 "자연생태계가 제공하는 보호기능 강화를 위한 자연 완충재 보존"항목을 차용한다. 스코어카드 평가는 UNDRR에서 강조하는 "기후 위기와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면서 지자체의 재난 복원력(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평가 지표이다. 끝으로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명칭이 유사하여 지역안전도의 용어를 "자연재난 안전도" 또는 "자연재해 안전도"라는 명칭으로 변경한다. 그래야만 일반인 누구나 지역안전도와 지역안전지수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인 손상환자의 손상외인과 지역안전등급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auses of Injuries and Regional Safety Grade among Geriatric Injury Patients)

  • 이정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72-482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손상의 발생이 특정 지역 내 공간의 안전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지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와 지역안전지수 자료를 결합해 6,572명의 노인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도성, 손상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 손상기전에 따라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 검증 결과 손상의도성의 하위집단별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손상발생장소는 화재(t=-2.513, p<.05), 교통(t=-2.387, p<.05), 안전사고(t=-3.627, p<.001), 자살(t=-3.364, p<.01)의 4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 시 활동은 화재(F=5.972, p<.01), 자연재해(F=6.454, p<.01), 안전사고(F=11.726, p<.001)의 3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기전은 화재(F=9.267, p<.001), 교통(F=7.759, p<.001), 안전사고(F=3.285, p<.05), 자살(F=8.973, p<.001), 감염병(F=3.109, p<.05)의 5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안전지수의 개별 분야를 연구 소재로 삼은 선행연구의 보고 내용과 비교해 논의한 후 공간의 안전성 차원에서 노인 손상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률을 억제하기 위한 3가지의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제시하였다.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제의 경쟁력 지표와 지역성장의 특성: 미국의 SCI사례를 중심으로 (Competitiveness Index of Regional Economy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rowth in Knowledge Economy: The Case of SCI(State Competitiveness Index))

  • 나주몽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3호
    • /
    • pp.285-3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 관점에서 미국의 SCI(State Competitiveness Index)의 사례를 통해 지역경쟁력지표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지역경쟁력 지수와 지역성장 특성과 관계를 패널로짓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특히 미국의 주를 대상으로 지역성장의 특성을 소득의 정태적 기준과 동태적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주에서 지역경쟁력지수(SCI)가 전국평균이상인 지역이면서 소득의 정태적요인인 1인당 소득수준과 동태적 요인인 성장률이 전국평균 이상인 지역은 Alaska, Connecticut, Maryland, Massachusetts, Virginia, Washington, Wyoming으로 나타나, 이들 지역이 미국 주 중에서 지역경쟁력지수가 높으면서도 번성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역성장의 소득수준과 지역경쟁력 지수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인적자본, 과학기술, 비즈니스 인큐베이션, 개방성, 안정성, 환경정책 등의 변수들이 통계적 유의미했다. 셋째, 지역성장의 소득성장률과 지역경쟁력 지수와의 관계에 있어 인프라, 인적자본, 과학기술과 개방성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였다.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소득수준과 성장률에 중요한 지역경쟁력 변수는 인적자본, 과학기술,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어 향후 한국의 지식기반경제에 있어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역경제차원에서 이들 지표에 대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책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재해 분야별 안전지수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Index Service Model by Disaster Sector using Big Data Analysis)

  • 정명균;이석형;김창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82-690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난 발생 데이터와 실시간 기상·대기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과정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API로 제공되는 공공 데이터와 연계하여 빅 데이터 기반의 도시안전지수의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재난 발생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공공 데이터와 SNS를 활용하여 수집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용자 관심지역의 재난상황을 실시간 대시보드로 확인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분야별 지역안전지수와 기상·대기의 상관관계가 높은 속성을 추출하여 예측모델과 비교하면 교통사고 분야의 지역안전지수는 기상·대기 데이터와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안전지수 예측모델을 생성하여 이용자 관심 지역에 분야별 안전지수를 지도에 표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안전지수 향상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Local Safety Level Index in Basic Local Governments)

  • 송창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11-222
    • /
    • 2020
  • 연구목적: 재난안전 마스터플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지역안전지수 향상방안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재난 관련 법률, 안전혁신마스터플랜, 국제안전도시지표와의 정합성 진단을 통해 지자체의 재난안전 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지역 특성과 분야별 재난관리 대책을 포함하는 재난안전 마스터플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G'기초지자체를 선정하여 재난안전 마스터플랜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세부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지역안전지수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결론: 지역안전지수 향상을 통해 지자체의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Development of GIS-ba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 to Support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 Urban Environments

  • Seok, Sang-Muk;Kwon, Hoe-Yun;Song, Ki-Sung;Lee, Ha-Kyung;Hwang, Jung-R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1-48
    • /
    • 2017
  • In this study, we proposed GIS-ba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 (RCPI) development method design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with systematic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he public interest in safe urban environment is increasing rapidly. The government is putting efforts into crime prevention activities to eliminate the criminal opportunities in advance. CPTED is method to prevent crimes in the city by improv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use crime. It is used by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th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entering on the expansion of CCTVs and street lamps and the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However, most policies were terminated as one-off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effect of such policies on a continuous basis. In order to alleviate issues, this study proposed RCPI as part of crime safety assessment in urban environments. The estimation of RCPI in City A of Gyeonggi-do showed relative differences in 31 districts (dong), indicating that it is also possible to evaluate the crime safety in the local community on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dong, the smallest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urban environments. As a crime map, the RCPI will be used effectively as he reference to support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local government in the future.

Developing Airport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and Index - The Case of Incheon Airport Airside -

  • In Kie Na;Yu-Jin Choi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3-118
    • /
    • 2023
  • An indicator system is an effective way to monitor ongoing safety status. Current aviation safety measurements account for many qualitative technical and lagging indicators. Conversely, quantitative and leading indicators have only a tiny proportion. This research added more quantitative leading indicators and reviewed them to harmonize lagging and leading indicators to measure airport safety and provide an index. The South Korean national gat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s indicators, were applied as primary data to verify this research practically. Then, examples from International and national authorities were reviewed and extracted for use. Fifty-five safety specialist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discussion and three rounds of the Delphi survey. Finally, 51 sub-indicators were newly chosen. After this process, weights for each indicator could be assigned using th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to provide an integrated index.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with newly added indicators in the past five years (2020-2022) reliable trend showed in indicators and integrated index. Moreover, this allows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details of indicators and holistic insight. This study considered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a single company or service provider to use it according to the exact situation than in a macro- and general-purpose at the country or reg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