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Creativit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창조화 요인이 지역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ional Creativity Factors on Regional Growths)

  • 마윤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7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부터 지역창조화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15개 시 도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의 지역창조화 균형패널자료를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법을 통해 지역창조화와 지역성장과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무형자산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의 창조적 지역환경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과 창조산업은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지역내총생산)와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조직화 부문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GRDP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지역창조화 요인 중 기초자산 부문의 창조인력과 조직화 부문의 창업과 기업가 정신 영역, 경제주체 부문의 창조기업 영역, 지역공간 부문, 핵심산업 부문의 융합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의미있는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기초자산 부문의 유형 무형 창조자산 영역, 조직화 부문의 융합경영과 융합행정, 경제주체 부문의 대 중견 중소기업과 중앙정부 및 지자체 영역, 핵심산업 부문의 창조산업 영역은 고용율과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창조화를 위한 현황을 진단하고, 추진과정과 장단기성과를 점검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의 지방자치와 분권강화 정책을 견인할 수 있는 기초수단이 될 것이다.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와 요구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Expectation and Need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오정숙;강버들;박소영;임성민;박종운;원효헌;김학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342-135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ly perception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winter training and workshop which the Southeast Regional Center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rrang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shown that teachers perceived close co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competency necessary for students who will make a living for future society. Secondary, Teachers perceived tha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ill benefit students in their cognitive, emotive, and affective aspects. Lastly, teachers thought that an administrative assistant and financial help such as securing classroom had to be supported so that they were able to freely conduc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Regional Center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Center were helpful in establishing a whole foundation when they started to conduct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성수동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패션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 of Seongsu-dong)

  • 이서도;염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3-384
    • /
    • 2017
  •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on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ecosystem of Seongsu area based on the creativity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reviewed the major activities and processes of Seongsu-dong's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project and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s creation of fashion clusters by using specialized books, previous research, press release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the specialized internet site(www.seoul.go.kr). Also street casual-style clothes were designed based on work-wear that themed Seongsu-dong's industrial scene and soci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ongsu-dong represents the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semi-industrial area in which the automobile repair, printing, textile, leather, and handmade industries are concentrat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business and policy, and show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internal complete industrial ecosystem integration of the handmade industries. In additio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ous local activities based on creativity are shown by social enterprises, and cultural artis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ngsu-dong according to political, economic, technological,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eight fashion designs were made as motif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eongsu-dong.

도시 창조성의 지역별 특성과 도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n the Urban Competitiveness of Urban Creativity)

  • 이주형;김용일
    • KIEAE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19-30
    • /
    • 2011
  • This study analysis effects of creativity character on the nation's urban areas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urban. The result is that talent of urban creativity effects on the competitiveness of the urban. However, technique and tolerance had not great effect on the competitiveness between cities. After departmentalizing the arrangement of urban creativity, Advanced services constantly appear to affect the competitiveness. Researchers of talent in 2000 and 2005, a culture artistes of tolerance in 2005 and 2009, appeared to affect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In other words, this is changing that the indicators which is impacted on the competitiveness of the urban and each indicator's power with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study suggests solutions. First, policy direction has to be setting by appropriate the character creativity in urban. Second, there needs the policy which is more focused on talent and tolerance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urban. For the specific, there needs suggestion about cultural artist and researchers. Finally, considering about changing the urban creativity with time, policy direction has too be setting by reflecting this change.

창의·인성교육의 현장 실천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Implement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 임성민;오정숙;박소영;원효헌;박종운;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306-13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ly implementation in schools through perception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winter training and workshop which the Southeast Regional Center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rrang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d most often a variety of students' experiential and participa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subject in practis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ary, they showed a wide variety of responses from 'not to able to measure' to 'to practice in every class' for how often to apply to and practis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class. Thirdly, for the question of 'How do you thin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your school', while parts of them responded 'su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some of them did 'poor or not completely supported environment'. Lastly, most of them utilized teaching material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eriodically or in reconstructing according to instructional form in their class.

경북 북부도시에서 창조성의 의미 -지역개발의 실행을 중심으로- (The Implication of Creativity in the Northern Cities of Gyeongbuk Province : Centering on the Practice of Regional Development)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54-567
    • /
    • 2011
  • 창조도시가 도시 발전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창조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 창조성, 창조계층, 창조산업 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창조도시의 개념에 관해서 지역 및 국가 간 다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관점의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창조도시에 관한 의미가 잘 부각되지 않는 국내의 중소 도시, 경북 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창조산업의 의미가 지역의 자연, 농 특산품, 문화 역사적 자원의 관광자원화를 바탕으로 점차 문화, 체육 분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창조성의 의미가 그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모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과정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지역 내에서 비교적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인터뷰에 의해서 파악된 그 역할은 리더의 역할, 지역 내 네트워크 체계, 외부와 네트워크 관계에 그 비중의 차이점을 보인다.

  • PDF

도형적 창의력 검사지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f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for a Diagrammatic Creativity)

  • 강덕구;김석우;이재헌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1-130
    • /
    • 1999
  • 본 연구는 도형적 창의성을 요하는 전공분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작된 창의력 검사지의 표준화의 준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을 학제별, 지역별, 학년별로 표집하여 방문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표준화 준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로는 첫째, 문항의 양호 도를 밝히기 위하여 기초 통계 값, 문항-하위영역(요인)간 상관계수, 문항-전체검사간 상관계수를 측정하였고, 둘째, 척도의 양호 도를 밝히기 위하여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측정하였고, 셋째, 도구의 표준화를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여 표준점수를 제시하였다. 양호도 분석 결과 본 검사지 구성의 3가지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으로 도형적 창의력을 측정하기에 문제가 없으며, 표준화 분석에서 개인의 도형적 판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역재생을 위한 젠트리피케이션 모델 검토 -강릉 카페거리를 바탕으로 한 강화도 지역의 가능성 검토- (Review of Gentrification Model for Regional Regeneration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ganghwa Area Based on the Gangneung Café Street-)

  • 김희재;최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17
  • 최근 일부 도심 지역에서 중산층이 특정지역으로 몰리며 원래의 거주자를 밀어내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주거비용 상승으로 인하여 도심에서 농촌으로 이동하는 유턴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울의 인구는 2016년 기준 28년 만에 천만 명이 붕괴되었다. 서울의 감소된 인구는 자연스럽게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으로 분산되었고, 지자체의 인구가 초고령화로 나아가는 현재의 상황에서 지역사회에 도시민과 자본의 유입은 균형 있는 지방자치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풍부한 관광 자원과 지리적 이점 등을 이용하여 자본의 유입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강화도 지역에 대해 강릉 카페거리 사례를 바탕으로 젠트리피케이션 모델을 검토 하고자 한다.

  • PD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Cases of KAIST and POSTECH

  • Park, Mun-su;Jeong, Seung Ouk
    • STI Policy Review
    • /
    • 제5권1호
    • /
    • pp.131-144
    • /
    • 2014
  •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concept is a new challenge and opportun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ies in Korea. The traditional university functions of education, research, and community service are still highly relevant, but increasingly so are new types of collaboration for research outcomes and funding resources. Strategic university management is needed to handle socioeconomic contribution, involving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proactive relationships with firms, national and regional governments, and other regional entities. The emergence of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 Korea is similar to the socioeconomic changes observable in the history of university development in America and in m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merging paradigm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in Korea and discuss the interactions among universities, firms, and government strategy and policy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two universities, POSTECH and KAIST, in their leadership,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business strategies,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network. We conclude with policy points that emphasize the fact that while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re an emerging concept, they can expand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education and research in Korean universities in the mid-to-long term if university administration, policymakers and public administrators, and regional innovation actors take an interest in the need for a new organization and system where university research can contribute socioeconomically.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A Theoretical Review on Place Branding as a Major Toolkit of Soft Regional Development)

  • 이정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73-893
    • /
    • 2008
  • 본고는 연성 지역개발의 주요 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검토이다. 장소브랜딩은 장소마케팅의 진화된 형태로서, 도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다 정교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도시 지역의 본질적 가치와 정체성 개발 방법, 다중의 도시 지역 정체성 경영을 위한 브랜드 리더십과 브랜드 아키텍쳐 개념, 이미지를 자산으로 계량화하는 브랜드 자산 개념 등을 통하여 장소마케팅 실천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을 보완하며,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소마케팅과 브랜딩 실천의 전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여, 연성지역개발의 틀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창조성'과 '상징'을 중시하는 오늘날 도시 지역 개발의 중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토대가 될 것이다. 다양한 전공영역으로부터 접근이 이루어지는 이 분야는 연구의 축적이 일천하여 향후 보다 심층적인 이론과 경험 연구가 필요하다. 지리학 지식과 전통은 이 학제적 연구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