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on of Creativity in the Northern Cities of Gyeongbuk Province : Centering on the Practice of Regional Development

경북 북부도시에서 창조성의 의미 -지역개발의 실행을 중심으로-

  • Lee, Sang-Yo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이상율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8.14
  • Accepted : 2011.10.16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As creative city is increasingly considered as a paradigm of urban development, it was explored that some of major concepts consisting of creative city such as creativity, creative class and creative industry have an implication. Those concepts reveal a diverse meaning rather than universal one in the application depending on regions and countries across the world.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creative city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book where the concept itself was not apparently distinctive. The result is that the inherent meaning of creative city was expanded to culture and athletic fields, though it was originated from taking advantage of natur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region, and cultural and historical based tourism. On the other hand, the role of regional authority was examined to explore how the concept of creative city is realized in practice.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local authorities in the aspect of leadership. network system within the region, and social network with outside.

창조도시가 도시 발전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받아들여지는 가운데, 창조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들 창조성, 창조계층, 창조산업 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창조도시의 개념에 관해서 지역 및 국가 간 다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관점의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창조도시에 관한 의미가 잘 부각되지 않는 국내의 중소 도시, 경북 북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창조산업의 의미가 지역의 자연, 농 특산품, 문화 역사적 자원의 관광자원화를 바탕으로 점차 문화, 체육 분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창조성의 의미가 그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모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과정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실현되어 가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지역 내에서 비교적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주로 인터뷰에 의해서 파악된 그 역할은 리더의 역할, 지역 내 네트워크 체계, 외부와 네트워크 관계에 그 비중의 차이점을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