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for a Diagrammatic Creativity

도형적 창의력 검사지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

  • 강덕구 (광주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 김석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 이재헌 (광주대학교 공과대학 산업정보공학과)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that could measure students' diagrammatic creativity at design college. For this purpose, we tested college students, who was selected by educational system, regional, and grade groups to use the examination, and suggested the standardization criterion by analyzing these data.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of this study consist of three step, the first that was to investigate the goodness of the examination paper, second step was to measur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for the goodness of questions, the last step was to suggest the standardize scores for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goodness and standardization analysis showed three structural factors(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of this examination were proper to measure the diagrammatic creativity, and the proposed examination tool seemed to be good enough to apply in practice.

본 연구는 도형적 창의성을 요하는 전공분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제작된 창의력 검사지의 표준화의 준거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을 학제별, 지역별, 학년별로 표집하여 방문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표준화 준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절차로는 첫째, 문항의 양호 도를 밝히기 위하여 기초 통계 값, 문항-하위영역(요인)간 상관계수, 문항-전체검사간 상관계수를 측정하였고, 둘째, 척도의 양호 도를 밝히기 위하여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측정하였고, 셋째, 도구의 표준화를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여 표준점수를 제시하였다. 양호도 분석 결과 본 검사지 구성의 3가지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으로 도형적 창의력을 측정하기에 문제가 없으며, 표준화 분석에서 개인의 도형적 판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