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ve journal writ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in Terms of Productive Reflection)

  • 윤혜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3-7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반성을 Davis(2006)의 '생산적 반성'으로 개념화하고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 저널 44개를 분석하였다. '생산적 반성'이란 한마디로 교사의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반성을 말하며 반대로 '비생산적인 반성'이란 수업의 여러 측면들을 단순히 기술하며 분석이 거의 없고, 여러 아이디어를 연관시키기보다는 나열만 하는 경우를 말한다. 생산적 반성이 일어나고 있는지의 여부는 수업의 제 측면('지도', '내용 지식', '학습자/학습', '평가')을 얼마나 연결지어 생각하는지(통합), 그리고 얼마나 분석적으로 생각하는지(분석)로 살펴볼 수 있다. 분석 결과 초등 예비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에서 대부분 '지도', '내용 지식', '학습자/학습'의 세 측면을 포함하고 있지만(86.4%) '학습자/학습'이나 '내용 지식'의 측면을 강조하는 경우(각각 36.4%, 15.9%)보다는 '지도'측면을 강조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86.4%). 이에 반해 '평가'측면은 반성 저널에서 언급된 경우가 거의 없으며 전혀 강조되고 있지도 않았다. 수업의 제 측면을 연관 지어 생각하거나 분석적으로 생각하는 생산적 반성의 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4점 만점에 1.8점). 반성 저널의 대부분은 '학습자/학습'과 '지도'두 가지 측면에서만 통합을 보였으며(72.7%) 전혀 통합이 없는 저널도 22.7%나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가 수업에서 일어난 일을 해석하고 수업의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평가 측면을 보다 주목하고 고려할 수 있도록 하고, 피드백이나 토론 등을 통하여 수업의 제 측면을 연관시키고 통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ading Framework on College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in Argumentation-Based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 남정희;이동원;박성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813-8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난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일반화학실험을 수강하는 대학교 1학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7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두 학기 동안 총 10개의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그 중 수업의 초기, 중기, 후기에 해당하는 3개의 주제를 비교하였다. 논의기반 일반화학실험에서 읽기틀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읽기틀을 사용한 수업이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한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서의 인성역량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thod of Evaluation of Character Competence in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Based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ompetency(CoProC) Instruction Model)

  • 김민정;박지훈;박종석;손정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151-165
    • /
    • 2021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에 기반한 화학 수업을 고등학교 3학년 86명에게 적용하고 이에 따른 인성역량 변화를 인성역량 검사, 논의과정 분석, 반성 글쓰기 분석으로 알아보았으며, 평가 결과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평가 간 상관관계는 낮았으나 모두 인성역량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고 세부 인성역량 요소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인성역량 검사는 자기평가로써 학생들이 학습의 주인의식을 갖고 참여하도록 하였고, 논의과정 분석은 과정평가로써 학생의 말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인성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평가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반성 글쓰기 분석은 학생이 학습 전 과정을 되돌아보면서 행동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인성역량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였다. 따라서 세 인성역량 평가 방법이 상호 보완적으로 함께 실시되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대한 세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for Older Adults)

  • 지행중;한정란;박성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23-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노인교육방법으로서 노인자서전 쓰기의 효과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자들은 2007년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에서 10회기의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전 과정에 강사와 보조진행자로 직접 참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교육 중에 이루어진 학습자들의 '이야기'와 교육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완성한 자서전, 그리고 수업 중에 중요한 내용을 메모한 메모노트 등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Haenninen(2000)이 제시한 '내러티브 진행 이론'에 의하여 이야기의 흐름을 분석하고, 노인들이 삶의 의미로 구성해가는 행위 범주들을 통하여 생애사적으로 재구성되었다. 노인들이 구성하는 '내적인 이야기'는 자신의 삶과 삶의 조건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해 가는 정신적인 과정이었다.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초기에 참여자들은 삶에서의 사건을 객관적인 사실로서 '성찰되지 않은 이야기'로 회상하지만, 점차 교육이 진행되면서 삶의 사건들은 '성찰된 이야기'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노년기 삶의 새로운 목표를 갖게 되는 '의도적인 반성'을 통하여 '초월적으로 성찰된 이야기'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와 같이 참여자들이 점차 초월적인 성찰자가 되어가는 과정은 자아통합을 완성시켜가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의 다양한 효과를 교육적,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모던 연극에 대한 반성과 한국연극의 미학적 지평 : '정치적 글쓰기' (Reflection of post-modern theater and aesthetic horizon of Korean theater: "political writing")

  • 하형주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159-188
    • /
    • 2014
  •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modern writing tends to refuse an immediate conveyance of messages achieved by linear, unified writing. Such writing does not attempt any social participation and has no leading ethics, offering diverse perspectives. It simply relies on material property ignoring the 'here and now'. This discussion depends on the sensuous immediacy of works that are pure and uninterpretable, causing the "death of author" phenomena. Although the time was late, since the 1990s, discussion and work on deconstructive theater has been executed in the Korean theater world. This deconstructive work was achieved when lineal narratives were shattered through the shocking insertion of fragmentary episodes and imagery. Moreover, such plays were shocking presentations of severance in conversation; lack of communication; loss of pride and love; and a world devastated by violence and madness. In the 2000s, such a movement helped form a new paradigm in the theater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parody of traditional dramas, while drawing general attention to postmodern theater. However, as the problems of postmodern theater are perceived through study, the limit of plays with a postmodern tendency is pointed out: such plays merely display 'deconstruction'. This thesis will examine reflective thought on postmodern theater seeking "deconstruction without alternatives" and the aesthetic concept of "le politique" by Jacques Ranciere. It will also look through the overlap of images as interval-estrangement, "lettre morte", and simulacre representing mise-en-scene aesthetics weaving "political wri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extend the new aesthetic horizon of Korean theater, examining in 2009 and by Koh Sun-Woong in 2011, directed by Park Chung-Hee in 2010 and directed by Park Keun-Hyung in 2009.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반성적 사고 촉진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timulation of Reflective Thinking)

  • 최지윤;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04-112
    • /
    • 2013
  • We examined the strategies to stimulate the reflective thinking using science notebook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core skills for the future. The strategies we derived have four steps which are input, output, solving mission and reflection as my own mirror. We applied the strategies to the 6th grade class for autumn semester in order to examine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 We could observe that students looked into their own learning and had a time to look back their activities in the class. We could also confirmed that science notebook would be effective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s stimulating the reflective thinking. In addition, we could specify the strategy of using science notebook in the class. At a 'input' sta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choose their own learning style as their preference and teacher need to give them proper feedback. Interaction with peers should be emphasized during the activities as 'question attack' and 'question defense' in 'output' stage and 'solving mission' stage. You should suggest the students various method to record their thought from looking back their classroom activities instead of mere writing. We also examine the students achievement from the students' notebook and Meta Cognitive Awareness test. As a result, students who had studied using science notebook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higher achievement than controlled students.

초등학교 과학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Based Science Class on Students' Character Competency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Dissolution and Solution' Unit)

  • 박지앵;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6호
    • /
    • pp.509-520
    • /
    • 2022
  • 이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초등 과학교육과정 '용해와 용액' 단원에서 선정한 5개 주제에 대하여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인성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과 후 인성역량 검사결과와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수업 중 작성한 반성글쓰기 활동지 및 수업 후 자신의 인성역량 변화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에 기반한 초등 과학수업은 초등학생의 인성역량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교수피드백을 적용한 성찰일지 작성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with Teaching Feedback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진영;김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03-5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8년-2019학년도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교수피드백이 적용된 성찰일지 작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사전점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t=2.10, p=.037), 학습태도(t= 4.54, p=.034)에서 시행군과 대조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교과목에 교수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다면 학습동기, 학습태도 향상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겠다.

수학저널 쓰기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양상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 이지은;황우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65-587
    • /
    • 2014
  •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메타인지적,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인 전략들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적용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저널 쓰기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양상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함에 있다. 수학저널은 총 13문항으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하위요소별로 1~2문항씩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 수학저널에서 메타인지전략은 학습 목표 설정, 문제해결전략탐구, 반성적 사고, 예를 들어 설명하기 등으로 표현되었다. 인지전략은 아이디어간의 구조 파악하기, 위계화하기, 핵심 내용 파악하기 등으로 표현되었다. 동기전략은 학습에 대한 만족감과 불안감, 차후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좌절감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수학저널 쓰기학습을 통하여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활용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학습을 돕는다는 점에서 수학 교육학적인 시사점이 있다.

  • PDF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al Fairy Tale Writing Activities)

  • 설정현;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60
    • /
    • 2007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 쓰기 활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동화'라는 쓰기 활동을 새롭게 구안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이미 학습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학습한 수학 내용을 재구성하고 응용하였다. 또한,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이 매우 활발해졌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한 수학적 지식에 대한 재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학생들은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통해 수학의 실제적인 활용 장면을 스스로 찾을 수 있게 되었으며, 수학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동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대한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긍정적인 수학적 성향을 형성해 나갔으며, 스스로 의지를 가지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수학학습에 집중하게 되었다. 수학동화 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이 보여준 이와 같은 특성은 오늘날의 수학교육이 추구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측면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해 볼 만 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