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uctase

검색결과 1,682건 처리시간 0.035초

Indole, Indole-3-calbinol 및 Benzofuran이 간장 microsome과 cytosol의 약물대사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Indole, Indole-3-carbinol and Benzofuran on Several Microsomal and Cytosolic Enzyme Activities in Mouse Liver)

  • 차영남;;;정진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85
  • 이물질(xenobiotics) 대사에 관여하는 간장 microsome과 cytosol 효소 활성에 indole, indole-3-carbinol 및 benzofuran이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위하여 마우스에 이들 약물을 각각 5 mmole/kg씩 10일간 투여하여 다음 몇 가지의 성적을 얻었다. Benzofuran은 microsome 효소인 aniline hydroxylase, 7-ethoxycoumarin O-deethylase, p-nitrophenol UDPGA-transferase, epoxide hydrolase와 cytosol 효소인 glutathione S-tranferase, NADH : quinone reductase, UDP-glucos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benzofuran과는 구조적으로 furan ring내의 N원소가 O원소로 치환되었을 뿐 주된 구조가 유사한 indole과 indole-3-carbinol 투여로는 UDPGA-transferase와 NADH: quinone reductase의 활성도 증가를 볼 수 없었으며, 특히 indole은 NADPH : cytochrome C reductase만을 증가시킨데 비하여 구조상 indole에 carbinol (methanol)기가 붙은 indole-3-carbinol은 수종의 mixed function oxidase와 아울러 특히 epoxide hydrolase의 활성도 역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benzofuran과 indole-3-carbinol에 의한 epoxide hydrolase 활성도 증가의 기전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utylated Hydroxytoluene첨가 식이 및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식이지방을 달리한 쥐간의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2-Acetylaminofluorene Administration and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 in Young Rats fed different Fats)

  • 윤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1호
    • /
    • pp.11-18
    • /
    • 1990
  • Sprague-dawley 숫쥐를 식이지방을 달리하여(I:Soybean oil p/s 4.0, II:beef tallow p/s 0.08) 이유후 8주동안 사육하였다. 이때 I,II군은 각각 기초식이군, 기초식이군에 0.3% butylated hydroxytoluene(BHT)를 첨가신킨 군, 생후 5~7주 사이에 4번의 2-Acetylaminofluorene(2-AAF)를 투여한 군 2-AAF를 투여하고 BHT도 먹인 군으로 나누었다. BHT는 이유 후부터 식이에 섞어 먹였으며 2-AAF를 투여하지 않은 군읜 2-AAF 주사에 의해 얻는 stress와 같은 효과를 주기위해 placebo로 polyethylene glycol 300을 투여하였다. Mixed function oxidase(MFO)계의 효소인 cytochrome p-450, cytochrome b$_5$및 cytochrome p-450 reductase와 과산화지질 등을 측정하였다. 성장기에 2-AAF의 투여는 성장지연을 초래하였으며 지질과산화물은 지방의종류, 2-AAF,BHT 등에 의해 큰 차는 없었다. Cytochrome p-450은 2-AAF에 의해 I-BHT-AAF와 II-AAF군에서 증가되었고 BHT에 의해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불포화지방을 먹인경우 cytochrome p-450과 cytochrome p-450 reductase가 2-AAF에 의해 증가되기보다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I,II군에 비해 별 차이가 없었는데 2-AAF의 농도와 식이의 불포화도가 높아 세포막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Cytochrome $b_5$는 각군 사이에 별 차가 없었다. Cytochrome p-450과 과산화지질(r=0.2475, p<0.05), cytochrome p-450 reductase와 cytochrome $b_5$ (r=0.2475, P<0.05)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2-AAF를 대사시키는 MFO계는 식이지방의 종류 및 BHT의 존재에 따라 영향을 받고, 특히 불포화지방식이인 경우 2-AAF를 대사시킬 수 있는 cytochrome p-450 유도 및 합성능력이 매우 저조함을 알 수 있으며 2-AAF는 어린 쥐의 성장을 지연시켰다.

  • PDF

오징어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Todarodes pacificus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51-12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그리고 대장암 세포주인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T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M층에서도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HepG2, MCF-7 및 HT-29 세포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간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는 달리 TPMM층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H층에서도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오징어내장의 hexane 분획층인 TPMH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QR 유도 활성 효과는 methanol 분획층인 TP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징어 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항암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TPMH 분획층과 TPMM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9종의 허브류로부터 ACE 저해활성,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에 대한 검색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 권은경;김영언;이창호;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1-698
    • /
    • 2006
  • 본 연구는 혈액순환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민간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허브류인 마조람, 라벤더, 딜, 로즈마리, 히솝, 장미, 레몬밤, 파인애플 세이지 및 에키네시아 등 총 9종 을 실험 시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부위별 및 용매별로 추출하여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hydroxy-methylglutalyl coenzyme 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장미꽃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 추출의 경우 43.3%였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 45%였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의 경우 장미꽃이 133.8% 로 가장 높았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에는 파인애플 세이지 잎이 91.2%로 가장 높았다.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에는 장미꽃이 열수 추출물 48.9%, 70% 에탄올 추출물 80.5%로 모두 높았다. 혈전용해활성도 장미꽃에서 열수 추출이나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꽃 추출물의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함초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유도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정복미;박정애;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8-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함초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QR) 활성 유도 효과를 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유방암 세포주인 MCF-7을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간암세포주인 HepG2에서 제일 효과가 컸고 사용한 3종의 암 세포주 모두 SHMM층에서 월등히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활성 유도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역시 SHMM층에서 유의적으로 QR 활성 유도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에서 함초의 methanol 분획층인 SHMM층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함초를 이용한 암예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며, 특히 함초의 methanol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자작나무 추출물에서 보이는 모유두(HDP) 세포 성장 촉진 효과와 작용 메커니즘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Betula platyphylla extract on human dermal papilla cell proliferation and its mechanism of action)

  • 안승현;이정연;홍은비;김지윤;정원석;문권기;김청택;성지하;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269-275
    • /
    • 2022
  •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수피 추출물에는 생리활성을 보일 수 있는 다수의 terpenoids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염증반응을 완화시키는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탈모예방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천연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자작나무를 여러 용매에서 추출 및 분리 정제하여 몇몇 분획을 획득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사람 모낭 모유두세포(HDP)에 대한 세포 독성 및 성장촉진 효과 그리고 β-catenin, VEGF, IGF1, Cyclin D의 발현변화와 5-α-reductase ac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분리한 4개의 분획 중 H3-2 분획은 알려진 유효물질인 ETB, LPO와 동등수준의 모낭 모유두세포(HDP)에 대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고 성장에 관여하는 주요인자들의 발현을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5-α-reductase activity에 ETB, LPO가 큰 영향을 보이지 못한 반면 최종분획물인 H3은 5-α-reductase activity 감소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치지느러미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독성 및 Quinone Reductase 활성 증가 효과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Fin of Thunnus Thynnus Extracts in Various Cancer Cells)

  • 신미옥;구미정;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7-153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fin of Thunnus Thynnus (TT). TT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TM),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subfractions by using solvent partition method, affording hexane (TTMH), methanol (TTMM), butanol (TTMB) and aquous (TTMA) soluble fractions. We determined the cytotoxicity of these four fractions in four kind of cancer cell lines, such as HepG2, MCF-7, B16-F10 and HT29 by MTT assay. The TT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150 ${\mu}g/mL$, displaying 95% on the HepG2 cell lines and 82% on MCF-7 cell line. The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irinking and blebbing of cells were also observed by TTMM treatment in HT29 cell.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was elevated by only TTMM and TTMH treatments in HepG2 cell. QR activity was increased to around 2.0 and 1.8 times in TTMM and TTMH treated HepG2 cell at 100 ${\mu}g/mL$,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control.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present work could suggest that the fin of TT has a potential to be usable as a chemopreventive agent against cancer.

Identification of an antimicrobial peptide from human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 B3

  • Kim, Yong-Joon;Kwak, Geun-Hee;Lee, Chu-Hee;Kim, Hwa-Young
    • BMB Reports
    • /
    • 제44권10호
    • /
    • pp.669-673
    • /
    • 2011
  • Human methionine sulfoxide reductase B3A (hMsrB3A) is an endoplasmic reticulum (ER) reductase that catalyzes the stereospecific reduction of methionine-R-sulfoxide to methionine in proteins. In this work, we identified an antimicrobial peptide from hMsrB3A protein. The N-terminal ER-targeting signal peptide (amino acids 1-31) conferred an antimicrobial effect in Escherichia coli cells. Sequence and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the overall positively charged ER signal peptide had an Argand Pro-rich region and a potential hydrophobic ${\alpha}$-helical segment that contains 4 cysteine residues. The potential ${\alpha}$-helical region was essential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within E. coli cells. A synthetic peptide, comprised of 2-26 amino acids of the signal peptide, was effective at killing Gram-negative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paratyphi, but had no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ldose Reductase Inhibition Effect of PhenolicvCompounds Isolated from Paulownia coreana Bark

  • Kim, Jin-Kyu;Lee, Yeon-Sil;Lim, Soon-Su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2010
  • Nine compounds, caffeic acid, naringenin, apigenin, luteolin, kaempferol, verbascoside, isoverbascoside, isocampneoside II, and cistanoside F,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of P. coreana bark.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1-9)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and literature data. All the isolates were subjected to in vitro bioassay to evaluate thei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rat lens aldose reductase. Among these, compounds 6 and 8 indicated the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rat lens aldose reductase with $IC_{50}$ values of 2.67 and 5.59 ${\mu}M$, respectively. Especially, The inhibition activity of acteoside was 3.9 times better than that of quercetin as a positive control (10.6 ${\mu}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henylethanoid glycosides are likely to be the potential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