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epper Powder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3초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Heat Level (Hot Taste) of Korean Red Pepper Powder

  • Ku, Kyung-Hyung;Lee, Kyung-A;Park, Jae-B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29-35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t level rating of several varieties of Korean red pepper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Korean red pepper samples were as follows: 0.54~290.15 mg% capsaicinoids, 79.22~139.09 ASTA value, and 16.76~29.92% free sugar content. The heat level of the Korean red pepper samples was evaluated by trained panelist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 value (0.001%) of the panelist’s results were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In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PC1 (capsaicinoids) and PC2 (free sugar) were shown to represent 31.98% and 25.77% of the total varian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anelists trained for red pepper heat rating were evalua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trained panelists showed a high F value (p=0.05) an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 high correlation efficient of 0.84~0.93 for the test samples with a 40 Scoville heat unit (32,000 SHU red pepper powder) was reported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Korean red pepper heat level by a trained panel. However, the panel showed a low correlation efficiency of 0.70 $R^2$ when the 60 SHU test samp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almonella assay system에서 고춧가루에 의한 Alfatoxin $B_1$의 돌연변이유발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Aflatoxin $B_1$ Mediated Mutagenicity by Red Pepper Powder in the Salmonella Assay System.)

  • 박건영;김소희;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6-161
    • /
    • 1991
  • 고추가루의 돌연변이유발, 보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매운맛의 재래종과 덜 매운맛의 교배종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3분획한 것과 고추의 주요한 매운 성분으로 알려진 capsaicin을 Ames mutagenicity test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고추가루 추출획분들을 모두 direct한 돌연변이유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MNNG가 존재할 때의 보돌연변이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은 rat S9이 존재할 때의 indirect한 mutagenicity도 일으키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고추가루의 주요 매운 성분인 capsaicin도 Aroclor 1254, phenobarbital로 induce시킨 rat S9과 Aroclor 1254로 induce시킨 hamster S9 등의 activation system을 이용하여도 돌연변이유발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고추가루 추출획분들은 TA100 strain에서 모두 aflatoxin $B_1$의 mutagencity를 오히려 억제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 효과는 고추가루의 첫번째 획분(1st fraction)이 가장 컸었다.

  • PDF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akdugi with Frozen Mashed Red Pepper during Storage)

  • 설민숙;황성연;박소희;이현자;김종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6-443
    • /
    • 2004
  • 냉동마쇄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의 4$^{\circ}C$ 저장기간중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 직후 고춧가루를 첨가한 깍두기 마쇄액이 가장 높았고 마쇄 고추를 첨가한 깍두기액이 가장 낮았으며 숙성이 진행될수록 차이가 감소하여 숙성 5주째에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총산 함량은 전반적으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L값은 깍두기 마쇄액이 깍두기액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마쇄고추를 사용하여 담근 것이 고춧가루를 사용한 것보다 높게 나왔으며 전반적으로 숙성 3주부터는 모든 시료에서 L값의 감소를 보였다.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깍두기액이 전 숙성기간동안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액에서는 숙성초기에 고춧가루 첨가구가 마쇄고추 첨가구보다 높게 나왔으나 숙성 2주가 지나면서 반대로 마쇄 고추를 사용한 것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b값은 깍두기 마쇄액에서 숙성 2주까지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3주째부터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이다가 숙성 2주째에는 서로 일치하였고 숙성 3주째부터는 다시 마쇄고추 첨가구의 값이 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 변화에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citric, quinic, malic acid는 감소 하였고 lactic과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또한 citric, lactic 및 malic acid는 마쇄고추 첨가구가, quinic acid는 고춧가루 첨가구가 더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cetic acid는 숙성 후반기인 4주째부터 마쇄고추 첨가구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는 QDA결과 적색도 및 상큼한 맛에서,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종합적인 기호도, 외관 및 맛에서 마쇄고추 첨가구가 고춧가루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마쇄고추 품종인 칠보, 포청천, 부촌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깍두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하면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것보다 특히 적색도와 유기산 함량을 증가시켜 깍두기의 기호도에 더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온질소순환 건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춧가루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_2-Circulated$ Low Temperature Drying Method)

  • 김정희;류승희;이민자;백종원;황홍철;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5-31
    • /
    • 2004
  • Characteristics of good-quality red pepper powder produced using $N_{2}$-circulated low-temperature drying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made through conventional sun and hot-air drying methods. Kimchi and kochujang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red pepper powder,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compared. Results revealed Hunter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of $N_{2}$-circulated low temperature-dried red pepper were highest. Absorbance of crude capsanthin in hot air-dried red pepper powder ($0.584{\pm}0.00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sun-dried ($0.848{\pm}0.001$) and $N_{2}$-circulated low temperature-dried products ($0.832{\pm}0.002$. Use of $N_{2}$-circulated low-temperature drying method resulted in the highest amounts at reducing sugar and total vitamin C. Capsaicin content of $N_{2}$-circulated low temperature-dried products were higher than hot air-dried ones. The aL values of kochujaug made with sun-and low temperature-dried red peppers were higher than that of kochujang made with hot-dried red pepper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red pepper powders made using $N_{2}$-circulated low-temperature drying method have the best quality among all samples tested.

Non-destructive and Rapid Prediction of Moisture Content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and a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

  • Lim, Jongguk;Mo, Changyeun;Kim, Giyoung;Kang, Sukwon;Lee, Kangjin;Kim, Moon S.;Moon, Jihe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3호
    • /
    • pp.184-193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chnique for the non-destructive and rapid prediction of the moisture content in red pepper powder using near-infrared (NIR) spectroscopy and a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model. Methods: Three red pepper powder produc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particle sizes using a standard sieve. Each product was prepared, and the expected moisture content range was divided into six or seven levels from 3 to 21% wb with 3% wb intervals. The NIR reflectance spectra acquired in the wavelength range from 1,100 to 2,300 nm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of the moisture content in red pepper powder. Results: The values of $R{_V}{^2}$, SEP, and RPD for the best PLSR model to predict the moisture content in red pepper powders of varying particle sizes below 1.4 mm were 0.990, ${\pm}0.487%$ wb, and 10.0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IR spectroscopy and a PLSR model could be useful techniques for measuring rapidly and non-destructively the moisture content in red pepper powder.

마쇄처리 고추의 냉동저장중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the Mash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 설민숙;이현자;박소희;김종군;황성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9-216
    • /
    • 2004
  • 마쇄처리 고추를 냉동 저장하면서 그 이화학적 변화 및 이용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청천을 태양건조후 고춧가루로 만든 것과 마쇄한 다음 브렌칭, 비타민 C 첨가, NaCl 첨가, aging 처리 등을 하고 냉동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비교하였다. L, a, b값 가운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포청천의 경우 기존 고춧가루의 31.51에 비하여 마쇄처리 고추는 모두 $33.53{\sim}33.84$로 마쇄처리한 것이 적색도가 좋았다. Capsanthin 함량은 마쇄 냉동저장시 비타민 C 첨가구가 1.8% 감소하여 비타민 C 첨가가 capsanthin 함량유지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은 냉동저장중 고춧가루의 경우 11.9%, 18.32% 감소하여 dihydrocapsaicin이 capsaicin 보다 빠르게 감소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마쇄 냉동저장한 것이 고춧가루보다 신미성분의 감소가 적었다. 마쇄처리 고추에서는 비타민 C를 첨가한 것이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감소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비타민 C는 마쇄고추를 브렌칭할 때 잔존량이 12.0 mg/100 g으로 마쇄고추의 44.0 mg/100 g에 비하여 파괴가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NaCl 첨가구의 경우도 13.2 mg/100 g으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비타민 C를 첨가한 경우는 52.0 mg/100 g이 잔존하였고 냉동저장시 마쇄고추의 69.0%에 비하여 32.9%가 감소하여 비타민 C 첨가가 고추에 함유된 비타민 C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어린이 김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어린이 김치에 적합한 고추가루-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Kimchi for the Children -The Proper Red Pepper Powder for Children대s Kimchi-)

  • 송영옥;빈성미;문정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3-898
    • /
    • 1996
  • 어린이 김치 표준화의 일환으로 어린이 김치의 기호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추가루의 적합한 선정을 위해 경상도 일대에서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는 4종류(A, B, C, D)의 고추가루에 대해 고추가루의 일반성분 및 색도, capsaicinoid류 및 당 함량 등을 분석하였고 이들 고추가루로 담근 김치에 대한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4종류의 시판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일반 성분은 수분이 11.59~13.48%, 조지질이 7.59~8.39%, 조회분이 4.34~7.45% 로 나타났다. 고추가루의 색깔에 있어서 Hunter 색차계로서 측정된 적색도 a값, 황색도 b값은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했으며, 밝기를 나타내는 ASTA color값은 A(178.20)>C(142.80)>B(114.28)>D(98.06) 고추가루 순으로서 역시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하였다. 고추가루의 매운맛을 나타내는 capsaicinoids에 있어서 capsaicin 함량은 D고추가루가, dihydrocapsaicin은 C고추가루가 가장 높았다. 또한 capsaicin dihydrocapsaicin에 각각 1 : 0.6의 가중치를 주어 산출된 capsaicin equivalent 는 D>C>A>B고추가루 순이었다. 고추가루의 유리당 함량은 주된 성분인 과당, 포도당 모두 B>A>D>C고추가루 순이었고 서당은 A>D>C>B 고추가루 순이었다. 총 당 함량 역시 B고추가루가 16.81%로서 다른 제품에 비해 가장 높았다. 한편 4종의 고추가루를 달리하여 담근 김치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색깔 면에서 발효기간 전반에 걸쳐 A고추가루가 가장 우수하였고 종합적인 맛에 있어서도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A고추가루로 담은 김치는 초등학생들의 관능검사 결과 현재의 초등학교 급식김치 보다 색깔을 비롯한 5개 전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1). 그리고 이때 사용된 A고추가루의 일반특성은 capsaicin equivalent 24.lsmg%, 총 당 함량 15.79% 그리고 ASTA color값 178.2였다.

  • PDF

마쇄고추를 첨가한 김치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Chang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the Mashed Red Pepper)

  • 황성연;박소희;강근옥;이현자;복진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1-231
    • /
    • 2005
  • 김치에 첨가되는 고추를 건조하지 않고 세척, 마쇄한 다음 냉동 저장한 고추를 김치에 사용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김치의 pH는 제조당일에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마쇄액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마쇄고추로 담근 김치의 마쇄액과 김치액에서는 그보다 더 낮게 나왔고 숙성 2주까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감소하다 숙성 3주이후에는 시료간에 pH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산도는 담근 초기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산도를 보였으나 숙성 2주째에는 동일하였고 숙성 3주부터는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의 김치액과 마쇄액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숙성 전 기간을 통해 김치의 L값과 a값은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액이 가장 높았고 b값은 가장 낮았다. 유기산 함량에서는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에서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citric acid는 숙성 2주까지는 동일하게 마쇄고추를 첨가한 김치가 더 높았으나 숙성 3주부터는 마쇄고추 및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의 QDA 결과 담근 직후와 숙성 2주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 매운맛, 상큼한 맛이, 숙성 5주째 김치에서는 적색도와 상큼한 맛에서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는 담금 직후, 숙성 2주째 및 숙성 5주째에서 모두 마쇄고추를 사용한 김치가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보다 외관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마쇄고추를 김치에 사용할 경우 기존의 고춧가루를 사용할 경우에 비해 김치의 L값과 a값 및 citric acid함량을 증진시켜 관능검사시 적색도와 상큼한 맛을 높여 소비자의 종합적인 기호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춧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토마토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prepared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Chili Pepper)

  • 전관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1-144
    • /
    • 2015
  • 고춧가루를 첨가하여 토마토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은 고춧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은 증가하였다. pH는 고춧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는 유기산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의 경우 L값,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Lycopene과 ${\beta}$-carotene은 고춧가루가 첨가됨에 따라 높아졌는데, 토마토뿐 아니라, 고춧가루의 적색도에서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았으며, 고춧가루가 가지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고춧가루를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저장 기간에 따른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총 균수는 모든 시료에서 대부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con에 비해 3% 첨가한 TC3와 5% 첨가한 TC5 시료는 15일까지 3,500 cfu/g, 1,200 cfu/g 수준으로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이후 20일, 25일, 30일까지 총 세균수는 급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춧가루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성차이 검사에서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는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낮은 강도를 보였으며, 입자감에서는 높은 강도를 보였는데, 고춧가루가 토마토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서 소스의 농도가 높아진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소스만 기호도 측정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고춧가루 2% 첨가한 TC2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파스타면과 함께 측정한 결과, 3% 첨가한 TC3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고춧가루 첨가한 토마토소스 제조 시 고춧가루의 첨가량은 3%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고춧가루를 첨가시킨 매운 맛의 토마토소스는 토마토 가공 제품으로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고춧가루의 색도측정(色度測定)과 품질(品質)과의 관계(關係) (Color Measurement of Red Pepper Powde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 전재근;박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8-23
    • /
    • 1979
  • 고춧가루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할 수 있는 객관적(客觀的) 기준(基準)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 적색소(赤色素)인 capsanthin의 함량(含量)및 coliform bacteria의 오염도와의 관계를 연구(硏究)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고춧가루의 육안판별방법(肉眼判別方法)은 개인간(個人間)의 색감(色感)의 차이(差異)로 인(因)하여 객관성(客觀性)이 없었다. 2. Capsanthin 함량(含量)에 따라 분류한 등급방법(等級方法)은 객관성(客觀性)을 보였으며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에 기준(基準)이 될 수 있었고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이 capsanthin 함량(含量)에 비례(比例)하였다. 3.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색도계(色度計)의 Hunter 값 a/b을 사용하여 수치(數値)로 표현(表現)할 수 있었으며 capsanthin의 함량(含量)과의 관계는 다음 식과 같으며 Capsanthin 함량(含量) (mg/g-고춧가루)=$0.257{\times}10^{0.703}(a/b)$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의 방법(方法)으로 응용(應用)할 수 있다. 4. 색도(色度)와 미생물(微生物)의 오염과의 관계는 명확(明確)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