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mmend inten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4초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 방안 (Institutionalization of a Patient-Sitter Program in Acute Care Hospitals)

  • 유선주;최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370-379
    • /
    • 2013
  • 본 연구는 환자 및 보호자의 간병부담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에서 수행한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에 대한 도입배경, 운영방법, 실시성과, 제한점 등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보호자 없는 병원의 제도 도입 필요성, 운영방법 등 제도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보건복지부 시범사업은 2007년 보호자 없는 병원 시범사업과 2010년 간병제도화 시범사업,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2007년 시범사업의 결과를 살펴보면, 환자보호자의 간호간병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9.1점(10점 만점)으로 높았고, 재이용 의사 97.8%, 추천의사 98.0%로 높았다. 2007년 시범사업에서 도출된 적정 간호인력(안)은 간호사 1인당 2.3인, 간호보조인력 1인당 4.0인으로 나타났다. 2010년 시범사업 결과는 환자보호자 만족도는 8.0-9.1점(10점 만점)으로 높았고, 재이용, 추천 의향도 높았다. 그러나 2007년 시범사업에 비해 의료기관 유형 및 간호인력 배치 수준이 다양한 점 등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호자 없는 병원을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적정 간호인력 배치기준 설정, 간호서비스 제공인력 구성 및 업무 표준화, 간호인력 확보를 위한 재원 마련 및 간호요구도 평가, 질 관리 모니터링 등을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Visiting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ravel Routes of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s Visitors)

  • 심규원;장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33
    • /
    • 2018
  •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여행경로에 따른 탐방특성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탐방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한려해상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 총 671명이고, 현장조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봄, 여름, 가을 3차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내용은 탐방특성(방문동기, 여행경로, 탐방 소요시간, 참여활동 등)과 만족도(탐방 만족도, 재방문의향, 추천의향) 등이며,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한려해상국립공원만 방문하는 단일목적지의 탐방객이 한려해상국립공원 이외에 다른 여행 목적지가 있는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방문동기 중 건강증진, 휴양 휴식 치유를 위한 동기 항목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주지에서 국립공원까지 오는데 소요된 시간은 단일목적지 방문객이 다목적지 방문객 보다 소요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한려해상국립공원만을 방문한 단일목적지 탐방객의 탐방 후 만족도 평균값은 다목적지의 탐방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방문의향 및 추천 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아동전문병원 입원환아 부모의 병원서비스 만족도 (Parent Satisfaction with Inpatient Hospital Services in Children's Hospitals)

  • 정용선;김진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73-281
    • /
    • 2005
  • Purpos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parent satisfaction with inpatient hospital services in children's hospitals and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parent satisfaction.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Parents of 165 children who were inpatients in two children's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t the time of discharge.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highest parent satisfaction domain was nursing service, and the lowest parent satisfaction domain was hospital service and accommodations. Parents were less likely to be satisfied with hospital facilities, equipment, noise and cleaning and less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lack of information they received and with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health care professionals. Parents with longer length of stay and with older children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Moreover, parent satisfaction was related to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related to intention to recommend this surveyed hospital over others. Conclusions: Efforts to improve parent satisfaction in children's hospital service and accommoda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ealth care. Communication by health care professionals with parents and a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necessary to improve quality of care.

  • PDF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점포선택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안경원을 중심으로 - (Influences on Store Sele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 Centered on Optical Shops -)

  • 차정원;이정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92
    • /
    • 2015
  • 목적: 안경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안경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안경원 선택 속성"이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경원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서울 및 경기북부지역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v.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고객들의 안경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목표 지향", "문화활동 지향"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 요인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안경원 선택" 요인들 중에서는 "고객응대"의 항목이 "추천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양해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안정추구 지향", "목표지향", "문화활동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이 안경원을 선택할 때 21개 안경원 선택항목을 고려하여 안경원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들이 "안경원 추천의사"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고객응대"를 잘하면 안경원을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길찾기 능력이 이용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Wayfinding Ability to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Recommendation: Focusing on COEX Mall)

  • 박경하;염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109-117
    • /
    • 2013
  • 본 연구는 개인의 길찾기 능력이 방문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을 분석하여 길찾기와 길찾기 능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길찾기의 능력이 장소에 대한 방문자들의 태도와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이용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재방문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의 이용만족도는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는 지하상업시설물이 갖는 공간구조상의 특성을 감안한 지상과는 다른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 특히 복합상업시설물이 갖는 서비스 공간의 주요 사항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일부 중년여성의 유방암 수검행동 변화단계와 인지-행동적 요인간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n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 of Change on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Women in a Community)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7-89
    • /
    • 2006
  • Objective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ailoring to women's individual beliefs and stage of cancer screening adoption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cancer screening will ensue. To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behavior, many studies for cancer screening have used the Transtheoretical Model(TT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ty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screening by stages of change among women, forties aged. Methods: Building on the TTM constructs, we collected the data to test the association with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for breast cancer screening by stage of change among women, forties aged (N=232),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stages of change were grouped according to screening participation and intention for breast cancer as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preparation, action, and maintenance. We found out the association between breast cancer screening and cognitive and behavioral factors, and testified the difference between stages of change by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Duncan test). Results: Analyses of 232 women showed that participation on mammography was 68.1% within lifetime and 46.1% within last 2 years, and we found out the association with breast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ognitive-behavioral factors. The stages of change based on participation and intention were different from the decisional balance, the screening attitude, and the self-efficacy(p<0.01). The decisional balance was differ from stages of change because the difference on opinions about pros(positives) and cons(negative) were likely to significant by stages of change(p<0.05, p<0.01). Conclusion: To increase the screening rate for breast cancer, it should be developed the tailored message and recommend guideline. And the tailored message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the pros of breast cancer screening(mammography) and to decrease the cons, and considered the woman's stage of adoption.

농촌교육농장 방문자의 행동의도 및 방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Visit Educational Farms)

  • 곽병진;노경수;신호균
    • 농촌계획
    • /
    • 제22권1호
    • /
    • pp.37-4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bjective insight for factors that affect people's visiting behavior to educational farms. Seco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nderlying dimensions representing motivations and constraints for visiting educational farms. Third,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among the classified groups with respect to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ach construct. Finally, identifying strategies of educational farm-related organizations could develop to reinforce visit motivations, offset visit constraints and ultimately increase behavioral intention for potential possible visitors to revisit and recommend educational farms.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current farm villages and markets with many stakeholders in agricultural industries. Nevertheless, there are some limitations as followed: first, despite the possibility of their effects, the study did not consider other factors, which could affect revisiting behavior such as destination image, experiencing attributes etc. Second, the study needs improvements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because the cross-sectional research could not rule out the alternative explanations.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ture study requires time series approach instead of cross sectional approach. Secondly, future study might utilize comparative study regar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rms or a nation-wide approach. Thirdly, future study can suggest a combined educational farms considering practical educational farm cases. Lastly, it is considered that developing evaluation measures such as quality authentica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educational farms' stabilization.

전문도서관의 문화행사 참가에 따른 이용자들의 도서관 만족도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 K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s' Levels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fter Participating in Cultural Events in the Special Library: Focusing on K Special Library)

  • 박상욱;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51
    • /
    • 2020
  • 이 연구는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전문도서관의 문화행사의 개최와 참가 도서관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K 전문도서관에서 독서 활동 행사와 독서 진흥 행사, 전시 행사, 강연 행사 등을 시행하였다. 시행 후 참여자들 대상으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재이용의도, 인식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전문도서관에서 제공한 문화행사에 참가한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과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 및 권유 의도, 인식도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서만족도 부분에는 문화행사의 참여와 개최에 실제적인 유의미한 영향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패션 챗봇 상품추천 서비스의 지각된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신뢰 및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of Fashion Chatbot's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on Perceived Usefulness, Trust and Consumer Response)

  • 이유리;김효정;박민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0-98
    • /
    • 2022
  • Artificial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have recently become common in fashion e-retailing and are expected to improve online shopping by making it easy to recommend produc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erceived quality of a fashion chatbot affects consumers' trust and perception of usefulness, which in turn influence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e study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in perceived quality and consumer response variables between high and low groups of self-efficacy. A total of 341 consume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rust, and that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impacted trust. Perceived usefulness 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people who had higher self-efficacy showed higher scores on perceived usefulness, trus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chatbots as compared to people who had lower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pplying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theory to fashion chatbot studies. It also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commerce marketers developing retail strategies.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이 간호사의 교대근무 적응, 일과 삶의 균형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방법 (The Effects of a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on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Mixed-Methods Study)

  • 최수정;김미순;전미경;최진주;손숙연;김은혜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3호
    • /
    • pp.223-23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nurs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on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nurse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 Methods: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methods study was perform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051 nurses both in participant and non-participant groups. For the qualitative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shift improvement pilot, including 12 staff nurses, 7 nurse managers, and 3 substitute nurs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key variables of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nurs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participants in th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indicated that it enabled nurses to recover their circadian rhythm, and achieve a better work-life balance, and they wanted to continue working as a nurse, and hoped expanded application of the pilot project. Conclusion: In order for expanded implementation of the pilot project and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shift system, we recommend establishing compensation standard, systematizing the use of substitute nurses, developing guidelines for shift schedules, and expanding th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to other departments such as the emergency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