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mbination

검색결과 1,239건 처리시간 0.038초

Delayed auger recombination in silicon measured by time-resolved X-ray scattering

  • Jo, Wonhyuk;Landahl, Eric C.;Kim, Seongheun;Lee, Dong Ryeol;Lee, Sooheyong
    • Current Applied Physics
    • /
    • 제18권11호
    • /
    • pp.1230-1234
    • /
    • 2018
  • We report a new method of measuring the non-radiative recombination rate in bulk Silicon. Synchrotron timeresolved x-ray scattering (TRXS) combines femtometer spatial sensitivity with nanosecond time resolution to record the temporal evolution of a crystal lattice following intense ultrafast laser excitation. Modeling this data requires an Auger recombination time that is considerably slower than previous measurements, which were made at lower laser intensities while probing only a relatively shallow surface depth. We attribute this difference to an enhanced Coulomb interaction that has been predicted to occur in bulk materials with high densities of photoexcited charge carriers.

Theoretical Study of Auger Recombination of Excitons in Monolayer Transition-metal Dichalcogenides

  • Lee, Hyun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 /
    • 제73권11호
    • /
    • pp.1735-1743
    • /
    • 2018
  • Excitons are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monolayer transition-metal dichalcogenides(TMDC). In view of optoelectronic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cay mechanisms of the excitons of these materials. Auger recombination of excitons are regarded as one of the dominant decay processes. In this paper the Auger constant of recombination is computed based on the approach proposed by Kavoulakis and Baym. We obtain both temperature dependent (from type A, A' processes) and temperature independent (from type B, B' processes) contributions, and a numerical estimate of theoretical result yields the value of constant in the order of $10^{-2}cm^2s^{-1}$, being consistent with existing experimental data. This implies that Auger decay processes severely limit the photoluminescence yield of TMDC-based optoelectronic devices.

암모니움 카바메이트 분해 시 생성된 가스의 재결합 방지를 위한 물리적 방법의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Physical Method for Preventing Recombination of Gas Product from the Decomposition of Ammonium Carbamate)

  • 천민우;윤천석;김홍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10호
    • /
    • pp.639-647
    • /
    • 2017
  • Solid SCR에 사용 가능한 암모니아 저장물질의 하나인 암모니움 카바메이트는 열 분해시 이산화탄소 가스와 암모니아 가스를 생성하며, 분해 온도인 $60^{\circ}C$ 이하에서 암모니움 염으로 재결합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재결합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희석기체인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기초가시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재결합 현상을 계량화하기 위하여, 재결합 물질의 무게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를 만들어 자동차환경에서 사용되는 SUS재질의 3가지 관경에 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아크릴 튜브로 제작된 온도조절이 가능한 가시화 실험장치에, 암모니아 가스, 이산화탄소 가스, 희석기 체인 질소 가스를 공급하며, 재결합 방지를 위한 온도, 압력, 희석유량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Chapman-Enskog Theory에서 파생된 Diffusivity를 사용하여 재결합 조건을 유추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고자 한다.

Observation of Methyl Radical Recombination Following Photodissociation of CH3I at 266 nm by Time-Resolved Photothermal Spectroscopy

  • Suh, Myung-Koo;Sung, Woo-Kyung;Li, Guo-Sheng;Heo, Seong-Ung;Hwang, Hyun-J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318-324
    • /
    • 2003
  • A time-resolved probe beam deflection (PBD) technique was employed to study the energy relaxation dynamics of photofragments produced by photodissociation of $CH_3I$ at 266 nm. Under 500 torr argon environment, experimental PBD transients revealed two energy relaxation processes; a fast relaxation process occurring within an acoustic transit time (less than 0.2 ㎲ in this study) and a slow relaxation process with the relaxation time in several tens of ㎲. The fast energy relaxation of which signal intensity depended linearly on the excitation laser power was assigned to translational-to-translational energy transfer from the photofragments to the medium. As for the slow process, the signal intensity depended on square of the excitation laser power, and the relaxation time decreased as the photofragment concentration increased. Based on experimental findings and reaction rate constants reported previously, the slow process was assigned to methyl radical recombination rea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rate constant for methyl radical recombination reaction, a theoretical equation of the PBD transient for a radical recombination reaction was derived and used to fit the experimental results.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PBD curves with the calculated ones, the rate constant for methyl recombination is determined to be $3.3({\pm}1.0)\;{\times}\;10^6\;s^{-1}torr^{-1}$ at 295 ± 2 K in 500 torr Ar.

Aspergillus nidulans에 있어서 uvsH 유전자가 mitotic recombination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vsH Gene in Aspergillus nidulans on Mitotic Recombination Behabiour)

  • 채순기;한동민;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1-227
    • /
    • 1986
  • Aspergillus nidulans에서, UV나 4- NQO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에 있어 성내적으로 핑요한 uvsH돌연변이를 가 지고 있는 변이주를 이용하여 mitotic recombination 현상을 조사하였다. 비록 uvsH locus는 {pB 37과 centromere 사이에서의 자말적인 mitotic crossing over에는 영향플 주지 않았지만 uvsH/uvsH동형이애체에서 UV에 의한 Int te rgenic recombination은 얻어나지 않았다. 또한 서로 상보적이 아닌 riboA 1과 ribo A3 유전핵적 단시에서의 riboflavin에 대한 gene converSlOn에 있어셔 u uvsH 돌연변이는 자말석이든 LV보 유멜시켰던 이 과정에 관여하고 있지 않있다. 비록 정상석인 성 장에서는 거으1 차이가 없였지만, 세포들을 UV로 조사하였을 때 야생주에 비해 uvsH동형 이배체에서의 aneuploid발생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 PDF

High-Dose-Rate Electron-Beam Dosimetry Using an Advanced Markus Chamber with Improved Ion-Recombination Corrections

  • Jeong, Dong Hyeok;Lee, Manwoo;Lim, Heuijin;Kang, Sang Koo;Jang, Kyoung Wo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1권4호
    • /
    • pp.145-152
    • /
    • 2020
  • Purpose: In ionization-chamber dosimetry for high-dose-rate electron beams-above 20 mGy/pulse-the ion-recombination correction methods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and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are not appropriate, because they overestimate the correction factor. In this study, we suggest a practical ion-recombination correction method, based on Boag's improved model, and apply it to reference dosimetry for electron beams of about 100 mGy/pulse generated from an electron linear accelerator (LINAC).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theoretical model of the ion-collection efficiency developed by Boag and physical parameters used by Laitano et al. We recalculated the ion-recombination correction factors using two-voltage analysis and obtained an empirical fitting formula to represent the results. Next, we compared the calculated correction factors with published results for the same calculation conditions. Additionally, we performed dosimetry for electron beams from a 6 MeV electron LINAC using an Advanced Markus® ionization chamber to determine the reference dose in water at the source-to-surface distance (SSD)=100 cm, using the correction factors obtained in this study. Results: The values of the correction factors obtained in this work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ublished data. The measured dose-per-pulse for electron beams at the depth of maximum dose for SSD=100 cm was 115 mGy/pulse, with a standard uncertainty of 2.4%. In contrast, the ks values determined using the IAEA and AAPM methods are, respectively, 8.9% and 8.2% higher than our results. Conclusions: The new method based on Boag's improved model provides a practical method of determining the ion-recombination correction factors for high dose-per-pulse radiation beams up to about 120 mGy/pulse.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electron beams with even higher dose-per-pulse, subject to independent verification.

N4SSB 단백질의 C-말단기의 7개의 아미노산이 N4SSB 단백질의 in vivo 활성에 미치는 영향 (Role of C-terminal 7 Amino Acids of N4SSB Protein in Its in vivo Activity)

  • 최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8-253
    • /
    • 1998
  • Esherichia coli(E. coli) K12 균주를 숙주세포로 삼는 박테리오파아지인 N4는 single-stranded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인 N4SSB(bacteriophage N4-coded single-stranded DNA-binding protein) 단백질을 만든다. N4SSB 단백질은 N4 DNA replication 뿐만 아니라 late transcription과 N4 DNA recombination에도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다. N4 late transcription은 숙주세포인 E. coli의 $E{\sigma}^{70}$ RNA polymerase에 의해서 수행이 되나 N4SSB 단백질을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N4SSB 단백질이 생성될 때까지는 N4 late promoter로부터 RNA 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N4SSB의 N4 DNA replication과 late transcription, 그리고 N4 DNA recombination에 필요한 영역(domain)을 알아내기 위해서 여러 가지 돌연변이형 N4SSB 단백질을 만들어 N4 DNA replication과 late transcription, 그리고 N4 DNA recombination의 3가지 작용에 대한 in vivo 활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4SSB 단백질의 C-말단기에 있는 7개의 아미노산이 N4SSB 단백질의 활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C-말단기의 7개의 아미노산에는 세 개의 lysine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lysine이 N4SSB 단백질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 PDF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기본인식 조사 - 식품관련 전문가 그룹을 중심으로 - (Attitudes of Safety for the Food Developed by Gene-Recombination in Korea -Focus on the Specialist Group Related to Food-)

  • 김영찬;박경진;이홍석;김동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7-407
    • /
    • 1999
  •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기본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에 선행하여, 1999년 1월 식품 관련 전문가 1,400명에게 우편설문을 발송하여, 이중 회수된 464명(33.1%)을 대상으로 인식정도, 수용도, 구매의사, 표시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응답자의 98.7%로 거의 대부분의 식품관련 전문가들은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계에 종사하는 40대 이상 남성의 인식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 기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유전자재조합 기술이 식품의 생산에 있어 매우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안전성과 관련하여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잠재적 위험성의 존재에 대하여는 80.9%가 지적하였으나, 인식정도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즉, 인식정도가 낮을수록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는 높게 나타났고, 반면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낮게 나타나는(p<0.01) 경향을 보여,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인식정도가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구매의사에 있어서는 68.4%가 구입의사를 나타내었으나, 이중“구입하되 자녀에게는 먹이지 않거나(17.9%)”,“가격이 저렴하면 구입(27.0%)”등 조건이 있는 경우가 44.9%였다.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구매의사도 잠재적위험성에 대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즉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해 잘 알고 있을수록 구매하겠다는 비율이 더 높았고, 인식이 낮을수록 구매의사는 낮게 나타나(p<0.01)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인식정도가 구매의사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밖에 표시에 대하여는 85.3%가 표시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남성 보다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1).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하여 가장 보완되어야 할 분야로는‘식품안전관리’를 지적하였으며,“관련 제도 및 법규를 통한 정부의 규제”가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가장 시급한 부분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식품관련 전문가들은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안전성 등 잠재적위험성에 대해서 인식을 하고 있지만, 우려정도나 유전자재조합 식품에 대한 구매의사는 인식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밴드 모델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재결합계수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the Radiative Recombination Coefficients based on the two band model in Light Emitting Diodes)

  • 김현성;심종인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5-366
    • /
    • 2008
  • The spontaneous emission spectrum and the radiative recombination coefficient were analytically derived from the two band model for both the bulk (3-D) and the quantum well(2-D) structures of GaN-based Wurtzite crys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