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of Student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1990년대 초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교육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1990's)

  • 윤금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77-407
    • /
    • 2008
  • 이 연구는 1990년대 초기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는 근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일제 강점기, 건국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에 속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목적은 시기별 독서 현상의 변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에 이르는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현주소를 찾아보려는 데 있다. 제반적인 독서 현상에 대한 분석은 그에 따른 향후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시키는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본론에서는 첫째, 1990년대 초기 독서 대중화 운동의 양상, 둘째, 1990년대 초기 독서경향 등으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독서경향에서는 사회 전반적인 독서운동의 양상과 공교육 내에서의 독서교육 현상을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일반독서와 학생독서를 구별하여 살폈다.

  • PDF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05-33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독서교육이 독서에 대한 상황적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Reading Education on Situational Interest and Motivation for Reading: Focusing on the 5th and 6th Grade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 강진희;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3-141
    • /
    • 2021
  • 초등학교 시기는 독서 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므로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 교육방안의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독서교육이 학생들의 상황적 흥미와 내재적 독서 동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독서교육을 운영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시행 후 영향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황적 흥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독서수업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적 흥미는 교사의 독서수업과 내재적 독서 동기의 관계에서 가장 큰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독서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준별 독서지원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Level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Using Multimedia Technology for Elementary School)

  • 최창훈;마대성;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1-219
    • /
    • 2005
  • 현행 초등학교 독서교육은, 학생들의 독서능력이나 수준과 관계없이 실시되고 있으며, 독서능력 측정을 위한 진단지의 부재, 텍스트 위주의 감상표현활동, 가정과 학교의 단절로 인한 독서교육 실시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서지원 시스템을 구안하였다.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단하여 수준에 맞는 도서를 안내하고, 멀티미어 기술을 활용한 감상표현을 함으로써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 PDF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동화책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Fairy-Tale Book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phone and Web browser)

  • 이재인;유승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9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창의 재량 시간이 대폭 늘어났다. 이에 많은 학교들은 독서, 논술로 재량활동 시간을 대체하고 있지만 기존 수업과 차별화가 되지 못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독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스마트폰 활용 증강현실 동화책을 디자인하고 개발하였다. Junaio로 제작한 웹브라우저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과 QCAR 툴로 제작한 스마트폰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쉽게 활용하였다. 개발한 증강현실 동화책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이해도가 매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독서 평가도구에 관한 연구 - 독자의 정서적 측면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Reading Assessment Tools from a Psychological Standpoint of Readers)

  • 최연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3-200
    • /
    • 2006
  • 현재 독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는 독서 관련 평가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소개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여러가지 평가 영역 중에서도 독자를 중심으로 한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는 학생들을 평생 독서가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자의 정서적 측면에 기반한 독서 평가도구를 독서 태도, 독서 흥미, 독서 동기유발 그리고 독서에 대한 자아개념, 이 4가지로 나누어 문헌조사법을 사용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차후에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 참고할 사항을 밝혀놓았다.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에는 스스로를 독자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항목이 가장 우선시되며, 독자 인근의 인간관계(교사, 학부모 그리고 친구)를 통한 평가 항목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절한 항목의 설정뿐 아니라 평가도구 실시자를 위한 관리법과 해석 및 활용을 위한 지침서도 함께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훈련이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developing through reciprocal teaching on reading comprehension, metacognition, self efficacy)

  • 김미정;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299-320
    • /
    • 2012
  • 본 연구는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독해력, 초인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5주 동안 총 10회기의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독해력과 그 하위 요인인 사실적 이해와 감상적 이해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초인지의 하위요인인 조정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새로운 읽기전략에 대한 경험과 또래집단 구성원간에 주고받는 도움과 성공 경험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학생의 활동보고서 및 연구자의 관찰결과와 함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에서 초등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 집단에서 공동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함께 노력하여 다른 구성원에게 도움을 주고받으며 즐겁게 참여하는 것이 긍정적인 프로그램 효과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상보적 수업을 활용한 읽기전략 학습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독해력, 초인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 PDF

Investigating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Managing Globalized Education

  • HUO, Naihean;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5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Previous studies rar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particularly in globalized higher education, while those studies examined reading problems and engagement with lower reading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cluding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on reading engagement that include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in glob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questions: how do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strategies affect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reading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data via online survey in globaliz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reading engagement while they were reading class material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higher education by providing better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skills in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strategies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better management systems in globalized education.

문헌정보학과 대학생을 위한 독서회 조직과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Student Reading Clubs for the Univers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61-283
    • /
    • 2019
  •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발달단계상의 과도기로, 아직 학생의 신분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모에게 의존을 하는 등 주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스스로 공부해야 하고 직업 탐색을 통해 나아갈 길을 모색해야 하는 등의 자기 결정권과 책임 또한 높아지는 시기이다. 따라서 중 고등학생 시기와 마찬가지로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이때 전통적 가치를 배우고 현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주제 분야의 책을 함께 읽고, 여러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인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면 성숙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문헌정보학과 대학생 독서회의 사례를 바탕으로, 대학생 대상의 독서회를 조직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초등고학년의 독서부진아에 대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A Study of Bibliotherapy for the 'Low-reading achiever' on Reading Attitude in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03-318
    • /
    • 2003
  • 독서부진 즉 읽기를 통한 학습 부진의 요인은 신체적요인, 인지적 요인,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징, 그들이 갖고 있는 스트레스, 독서지도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도는 높으나 읽기부진으로 정독하지 못하고 자아중심적인 초등고학년 아동을 위한 독서치료 사례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