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framework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초

독서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성과 내용 분석 (Analysis on Constitutes and Contents of Mobile Application for Reading)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97-421
    • /
    • 2017
  • 유비쿼터스 시대와 더불어 스마트 시대라고 불릴 만큼 스마트 기기의 사용이 빠르게 확산됨과 동시에,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스마트 폰이 갖고 있는 뛰어난 이동성과 편리성, 실시간성의 특징으로 많은 독자들이 독서용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독자의 특성을 고려한 양질의 콘텐츠 즉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는 독서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발맞추어 독서용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반면 그에 해당하는 양질의 분석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된 독서용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독서에 필요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bservable Behavior for Implicit User Modeling -A Framework and User Studies-

  • Kim, Jin-Mook;Oard, Douglas W.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3-18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for observable behavior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user modeling, and it reports the results of a pair of user studies that examine the joint utility of two specific behaviors. User models can be constructed by hand, or they can be teamed automatically based on feedback provided by the user about the relevance of documents that they have examined. By observing user behavior, it is possible to obtain implicit feedback without requiring explicit relevance judgments. Four broad categories of potentially observable behavior are identified : examine, retain, reference, and annotate, and examples of specific behaviors within a category are further subdivided based on the natural scope of information objects being manipulated . segment object, or class. Previous studies using Internet discussion groups (USENET news) have shown reading time to be a useful source of implicit feedback for predicting a user's preferences. The experiments reported in this paper extend that work to academic and professional journal articles and abstract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ting behavior and reading time. Two user studies were conducted in which undergraduate students examined articles or abstracts from the telecommunications or pharmaceutical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time can be used to predict the user's assessment of relevance, that the mean reading time for journal articles and technical abstracts is longer than has been reported for USENET news documents, and that printing events provide additional useful evidence about relevance beyond that which can be inferred from reading time. The paper concludes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ported results.

  • PDF

스마트카드 기반의 전력원격검침 프레임워크 (Smart Card based Framework for Electricity AMR)

  • 강환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21-129
    • /
    • 2009
  • 전력검침은 전력 사용요금을 부과하기 위하여 전력사용량을 측정하는 행위를 말하며, 이를 자동화한 시스템을 전력원격검침(AMR: Automatic Meter Reading)이라 한다. 전력원격검침은 검침 인력을 시스템으로 대체해 원가를 줄이고 고객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력원격검침 모델의 대안으로 스마트카드 기반의 전력원격검침 프레임워크 SCEMS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SCEMS 프레임워크는 자바카드 기반의 다기능 스마트카드를 사용하며, 스마트카드에 수집된 자료와 가구의 전력사용 패턴을 활용하여 다양한 요금제를 지원하는 등의 고객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된 원격검침 모델 연구는 전력산업의 환경변화에서 초래할 다원화, 이질화, 복합화에 대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1-29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서태도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선행 독서태도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독서태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크게 독서환경 변인, 독자 변인 및 독서행동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지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독서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독서태도의 행동적 요인을 행동의지와 몸짓으로 드러나는 독서행동으로 구분하여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논리성을 강화시켰다. 셋째, 독서태도의 대상으로 물리적인 책(텍스트)과 책읽기를 모델에 명시화하여 책의 중요성을 독서태도 모델에 반영하였다. 넷째, 독서경험을 통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스키마를 제공하여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의 변화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독서환경과 독서환경으로부터 유발된 자극이 독자와 독자의 독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피드백 되는지에 관한 영향 관계가 제시되어 독서태도의 형성과 작동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과학 텍스트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mantic Mapping as a Science Text Reading Strategy On High School Students' Inferential Comprehension)

  • 이수진;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5호
    • /
    • pp.362-377
    • /
    • 2023
  • 이 연구는 과학 텍스트 읽기 전략으로 의미지도가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학년 과학중점반 2개 학급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의미지도 읽기 전략을 활용하여 8개 주제의 과학 텍스트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과학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을 개발하여 추론적 이해 수준을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분류하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의 세부 항목인 3개 항목의 수준을 점수로 환산하였다. 학생들의 추론적 이해 변화 분석 결과는 의미지도 읽기 전략 수업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추론적 이해의 하위 유형 중 교량 추론과 정교화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lications of Content Schemata for Standardized Reading Tests

  • Lee, Jong-Hee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spc호
    • /
    • pp.79-98
    • /
    • 2003
  • This article reports that a testee's content schemata have detrimental effects on the validity of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in case that the reading passages constitute his prior background knowledge framed by regular academic pursuits focused on a major field of study. The empirical research findings on such a reliability issue have shown that the Korean subjects' familiarity with the content domain of the reading materials may substantially enhance their test performance, operated as unfair advantages over the other participants at the sam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who do not possess technical knowledg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test passages. Based on these results, it may be argued that the reading text should be composed of maximally neutral contents to every testee to avoid the possible overlapping between a test-taker's content schemata and the content domain of the materials. Therefore, this article claims that the tenets of schema theory with its long-standing foundation on culturally predetermined content and formal schemata need to be expanded to cover professional knowledge structures, like those acquired by higher education, as the hard-wired framework of an individual's original culture-specific background knowledge.

  • PDF

Developing the Korean EFL Readability Formula (KRF)

  • Choi, Seonghee;Kim, Kyong-Hahn;Lee, Yong-Bae;Hong, Ju-Hee;Cho, Eunky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3호
    • /
    • pp.1-24
    • /
    • 2012
  • It has long been shown that Korean EFL students have not practiced extensive reading in school curriculum. Their vocabulary knowledge is limited and a tool for measuring text readability for them has hardly been developed and used. The study aimed to check the current situations on the above issues and develop a reading framework appropriate for extensive reading with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cluding the Readability Formula in Korean EFL contexts (KRF). The study consists of four steps. The study does a survey to check the current Korean EFL situations on the issues, suggests a new vocabulary learning size, develops a readability formula as a tool for measuring text difficulty based on the newly suggested vocabulary size, and finally validates the formula with various kinds of English books, includ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model for the vocabulary size and the readability index for extensive reading in EFL contexts.

  • PDF

디지털 협력수업이 독서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Co-Teaching on Reading Literacy)

  • 박주현;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1-2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이 학생들의 독서 리터러시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하였고, 2차시에 걸쳐 교사 간 디지털 협력수업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결측값이 없는 10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OECD의 PISA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과 요인분석을 통해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으로 구성된 독서 리터러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자기보고 식으로 독서 리터러시 역량의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협력수업은 고등학생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OECD가 주관하는 PISA의 독서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디지털 협력수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rameworks for Outcomes Measuremen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a Public Library)

  • 박성재;한상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11-325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로 성과 평가에 기반 한 로직모델을 적용하였다. 로직모델의 요소로 제안된 6개 요소 중에서 가정과 외부적 요인을 제외한 투입, 활동, 산출, 성과 요인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로, 서울 시내 한 공공도서관에서 연구기간 동안 진행된 4개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프레임워크와 성과측정을 위한 지표를 제안하였다. 프로그램별로 다양한 성과지표의 개발이 가능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사례 연구로 진행되었지만 대상 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에서 일반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타 도서관의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의 평가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리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ing Library Outcomes Using a Logic Model)

  • 박성재;이용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9-287
    • /
    • 2015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논리모델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했다. 사례연구로 연구대상 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독서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독서대학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논리모델 성과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논리모델에 포함된 성과요소 중에서 도서관 데이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한 중기성과를 중심으로 성과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독서대학은 연구대상 도서관이 제시하고 있는 산출평가 방식의 결과물에서 나타나지 않은 성과들을 만들어냈다. 도서대출과 관련하여 독서대학 참여자의 52%는 긍정적인 성과를 경험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독서동아리 가입이 증가했고 다양한 주제분야의 도서를 읽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다른 독서관련 프로그램 참여율이나 독서대학의 재참여율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논리모델이 도서관 성과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