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Factors

검색결과 422건 처리시간 0.031초

독서감상 표현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cklist Development of Articulating Reading Appreciation)

  • 이수상;임여주;주소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05-228
    • /
    • 2021
  •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에게 맞춤형 도서를 추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수집의 한 방편으로 '독서감상 표현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감상은 이해가 선행되는 작업이므로, 읽기이해력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읽기이해의 하위 요소를 범주화하고, 독자반응이론과 리터러시 교육을 실제 독서교육 현장에 적용한 논문들에서 독서 후 질문 구성에 참조가 되는 단어와 구문을 추출하여 문장의 형태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은 독서지도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되었으며, 사실·추론적 이해 관련 문항 4개, 평가적 이해 관련 문항 3개, 감상적 이해 관련 문항 7개, 총 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가 최종 완성되었다.

경기도 가평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독서인증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Reading Certification System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Gapyeong, Gyeonggi-do)

  • 유연이;강순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5-255
    • /
    • 2012
  • 독서인증제는 독서교육 방법의 하나로 학생들의 독서 및 독후활동 이후 이를 담임교사나 사서가 인증해주고 그에 대한 보상을 통해 독서동기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지역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독서인증제의 운영현황 및 효과를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문헌조사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과 독서인증제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사서와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현황, 효과, 만족도, 독후활동, 독서동기 요인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권장도서 선정, 다양한 보상체계를 위한 자체 예산배정, 참여율이 저조한 학생을 위한 독후활동 개발 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각 초등학교에서 독서인증제 시행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독서인증제 적용에 대한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시 수업에서의 해석과 번역의 문제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n Korean English Poetry Reading Classes)

  • 이삼출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55-83
    • /
    • 2016
  • 한국 대학에서 영시에 대한 수요를 높이기 위해 실제 수업과정에서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텍스트 해석 과정에 개입되는 언어학적, 문화적, 문학적 변수들을 확인한다. 담론의 구성에서 내용의 의의에 이르기까지 시 텍스트는 산문을 포함하여 다른 담론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본보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글을 읽는 것이 필수적인 영문과 학생이 시를 읽기 싫어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학습자가 시를 읽으면서 실제로 미학적인 쾌락을 느끼고 구체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 수업의 환경에서 시 텍스트를 어떻게 번역하는가, 특히 오역이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면 학습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교수자의 개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영어 문장의 언어적, 문화적 특성상 일차적 의미 혹은 축자적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에게는 그 자체로 매우 복합적인 언어적, 문화적, 예술적 경험이 생성, 변용, 축적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오역을 일종의 문화번역의 경우로 간주하고 한국 대학 영시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 텍스트를 선정, 학습자들이 오역을 생산하는 기제와 그 기제의 원인을 규명한다.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Reading Replies)

  • 이재신;이민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2권
    • /
    • pp.249-27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 학문적 관심사로 떠오른 댓글의 읽기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로 하여금 기사와 댓글을 읽게 하여 기사주제에 대한 태도가 댓글에 의해 변화하는가, 또한 이러한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기사에 첨부된 댓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피험자가 기사주제에 대한 태도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댓글을 읽은 후 태도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별도의 요인들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즉 댓글에 대한 신뢰도와 주제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수록 댓글을 읽은 후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하였으며 정보추구 성향과 댓글 이용동기가 높을수록 사후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함이 발견되었다.

  • PDF

The Effect of Hangul Font on Reading Speed in the Computer Environment

  • Kim, Sunkyoung;Lee, Ko Eun;Lee, Hye-Wo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9-457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ngul font on reading speed when texts are displayed on the computer screen. Background: Reading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font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f Hangul font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Fonts could affect reading performance directly and indirectly, interacting with other visual-perceptual factors such as size, word spacing, and line spacing. Method: In experiment 1, two variables were manipulated; a frame condition(square frame non-square frame) and a stroke condition(serif sans-serif). According to each condition, one of the four fonts was applied to the texts. The height of the four fonts was controll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aloud the presented texts. In experiment 2, the non-square frame fonts were adjusted to have approximately the same size, width, letter spacing, and word spacing as the square frame fonts. The experimental design and task used in experiment 2 were identical with experiment 1. Results: In general, reading speed was faster in the square frame fonts than in the non-square frame fonts. The reading spe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stroke conditions. Conclusion: The frame of Hangul font significantly influenced reading spe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 of Hangul font is a factor to affect reading performance. Application: The frame of fo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of new fonts. The square frame fonts should be the preferred choice to enhance legibility.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 Reading Campaign: The Case of 'One Book, SeongBuk' Campaign in Seongbuk-Gu, Seoul)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01-221
    • /
    • 2013
  • 대중독서운동이란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을 자극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 문화적 운동이다. 대표적인 대중독서 운동인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은 지역사회에서 시민들로 하여금 한 권의 책을 읽고 함께 토론함으로써 문화적 경험을 공유하게 하고, 공동체 의식을 북돋울 수 있다는 점에서 독서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2012 독서의 해'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서울시 성북구에서 실시된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사례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후,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배경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 성북구의 대중독서운동인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의 내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들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지역단위의 대중독서운동에 대한 이해 증진에 일조하고자 한다.

동적 환경에서의 립리딩 인식성능저하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Variant Factors of Recognition Performance for Lip-reading at Dynamic Environment)

  • 신도성;김진영;이주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1-477
    • /
    • 2002
  • 최근 립리딩에 대한 연구는 음성인식방법에 있어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잡음환경에서 견인한 음성 인식을 하거나 음성정보의 부가적인 특징벡터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립리딩 연구의 대부분은 실험실 환경하의 제한된 결과로서, 실제 다양한 동적 환경에서의 견인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현재 우리는 입술정보만을 이용한 자동22단어 인식기를 만들었으며, 이미지 기반 립리딩의 성능은 53.54%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현된 립리딩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립리딩 성능이 환경 적인 변화에 대해서 얼마나 안정할 수 있는지, 그리고 립리딩의 인식성능 저하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입술이미지의 동적 변이로서는 이동, 회전. 크기변화와 같은 공간적 변화와 빛에 의한 조명변화를 고려하였다. 실험용 데이터로는 영상변환에 의한 시뮬레이션 된 데이터와 동적 변화가 심한 자동차 환경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입술의 공간 변화가 인식성능 저하의 한가지 요인으로 작용함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공간변화보다 더 심각한 성능저하 원인은 시간흐름에 따른 조명조건의 변화로써 70%이상의 왜곡이 발생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립리딩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가장 큰 요인은 빛의 변화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읽기 순서 바꾸기 : 타블렛PC 전자만화책의 레이아웃 연출 (Breaking Z-path : A Digital Comics Layout Strategy for Tablet PC)

  • 여미주;시정곤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4호
    • /
    • pp.49-64
    • /
    • 2011
  • 만화는 넓이와 위치값을 가지고 있는 연속적인 칸을 배열하여 이야기를 전개하므로 문자언어인 텍스트에 비해 공간 예술에 가까우나, 보통 만화를 읽을 때 한 페이지 안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쪽으로 시선이 흐르는 전형적인 텍스트 읽기 관습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만화 공간 문법의 여러 요소에 따라 부분적으로 읽기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칸의 배치와 내용, 혹은 프레임 바깥에 존재하는, 만화책을 읽는 독자 시선의 흐름 순서를 뒤바꾸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해보았다. 나아가, 책이라는 매체와 가장 흡사하나 페이지 제한이 없는 무한 캔버스인 타블렛 PC용 전자만화책의 공간에서, 상호작용 기능을 활용하여 읽기 순서를 바꾸는 레이아웃 기법을 제안해 보았다. 이에 향후 전개될 타블렛 PC용 전자만화의 레이아웃 형태를 전망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ion Children: focused on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9-2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46개 기관의 초등학생 5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기관 46개관 중 42개관(91.3%)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도서관은 11개관(23.9%)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에서의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avruta-based Reading Discussion Program Operation in Library)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9-207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브루타 기반의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참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서토론 프로그램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사전 및 사후점수 간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사후조사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전조사 대비 사후조사 결과 변화에 나타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월 평균 독서량' 특성, '조사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학업성적' 특성, '설득능력' 요인에 대해서는 '성별', '학업성적', '독서에 대한 흥미'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하브루타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는 독서 및 토론능력 구성 요인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한 결과, '비판적 독서능력' 요인과 '비판적 사고능력'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도서관에서 하브루타 기반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