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Factors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7초

독서교육시스템을 위한 텍스트수준 측정 공식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ling Readability Formulas for Reading Instruction System)

  • 최인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232
    • /
    • 2005
  • 본 고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독서자료의 텍스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텍스트수준 측정 공식을 구성함으로써 텍스트의 수준 평가를 자동화하는 데에 있다. 컴퓨터로 계량화할 수 있는 언어적 요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집단에 부여된 텍스트수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글자수, 어절수, 이형어절수, 문장수, 단락수 요인이 텍스트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회귀방정식들 중에서 이형어절수 모형이 최적의 공식으로 드러났으나,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이형어절수요인과 새 어절출현비율요인을 결합한 모형은 설명력이 더욱 향상된 공식으로 밝혀졌다. 공식에 따라 측정된 텍스트수준 점수는 학년 내에서 매우 세분된 단계까지 나타내고 있으므로 각 학생별로 그들의 독서능력에 적합한 자료를 추천할 수 있다.

독서역할모델이 고등학생의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Impact of Reading Role Model Influencing Reading Effectiveness to High Students)

  • 정대근;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1-224
    • /
    • 2015
  • 이 연구는 독서역할모델인 부모, 교사, 친구가 고등학생의 독서몰입, 독서만족, 독서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인 성별, 고등학교 계열, 학년에 따라 달라지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독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역할모델은 친구로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인문계열보다는 전문계열의 학생들이 친구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부모요인은 남학생, 고등학교 3학년 및 인문계열 학생에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반면, 교사의 경우 인문계열 학생보다 전문계열 학생들에게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대부분의 요인에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웹 기반 독서 준비성 측정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b-based Measurement System for Reading Readiness)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09-32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독서 준비성 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여타의 전문가 집단 또는 상업적 벤더에 의해 개발 운영되고 있는 웹 기반 독서 준비성 측정 시스템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이를 토대로 토털 개념의 웹 기반 독서 준비성 측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독서 준비성 측정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에는 이를 재점검하는 기회를 갖게 하고 도입하지 않은 도서관에는 그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방촬영시 관찰조건에 따른 임상영상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Image on Observational Condition in Mammography)

  • 김미현;김창복;지연상;동경래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9-95
    • /
    • 2010
  • High contrast and high resolut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examining mammography images. Despite of the inconveniences of screen-film, most clinics still prefer them to computed radiography(CR) and direct radiography(DR). The reading of screen-film mammography images is influenced by the brightness from the X-ray illuminator, the exam room and incoming light from outside sources.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mmo phantom images would be variated by the changes in the reading environment. There was no influence on reading results from the examiners close distance eyesight(p > 0.05); however, reading of micro lesions improved with greater darkness in the X-ray film reading room and the brightness of the X-ray illuminator(p < 0.05). Also, observation of fiber and mass images were maximized at a distance of 50 cm from the reader. Now,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se small classification groups using a magnifying glass without being physically close to the image. For the image of mammography, obtaining high quality images is important but in order to get an accurate clinical lesions of the reading also needs to be considered the optimal environmental factors.

  • PDF

The Impacts of Influential Factors on Flow in Digital Reading

  • Kang, Minjeong;Eune, Ju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3호
    • /
    • pp.54-62
    • /
    • 2015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following four influential factors on flow in digital reading: contents, platforms, motivations, and places. The contents factor was subdivided into "news articles" and "journal papers"; platforms is comprised of "mobile phones," "tablets," and "laptops"; motivations consists of "pleasure" and "assignments"; and "home," "on the go," and "out of home" are the subdivisions of the places factor.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he study's participants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1) The flow during the reading of news articles is influenced by motivations, whereas the flow during the reading of journal papers is influenced by platforms. 2) Regarding mobile phones, motivations significantly affected the flow, whereas content typ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flow for tablets; also, laptops provided the best flow and articles can be read on the platform regardless of motivations. 3) Reading for pleasure rather than for assignments positively influenced the flow for all of the platforms. 4) With respect to news articles, the places providing flow are different across platforms. However, for journal papers, the places out of home provided good flow. For tablets, the places for flow significantly depended on the content type, which is not the case for laptops.

학생 독서능력에 대한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ading Ability - focused on Jeollabuk-do)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71
    • /
    • 2014
  • 이 연구는 전라북도 학생 1,285명의 독서능력,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의 독서수준을 진단하고, 종속변수인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나머지 3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독서능력의 신장방안을 모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반적인 독서수준 중에서 독서경험 즉, 독서량과 독서시간의 수준은 다른 변수에 비해 상당부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중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은 수준의 독서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학생의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인 독서수준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과관계 분석에서 독서환경은 독서교육에, 독서교육은 독서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독서교육 보다 독서경험의 영향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통해 학생의 독서능력 신장을 위해 독서경험 확대와 독서교육의 체계화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독서방식이 아동의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성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Methods on the Tendency of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54
    • /
    • 2007
  • 본 연구는 음독과 묵독, 다독과 정독, 발췌독과 통독의 각 상대적 개념의 독서방식이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어린이 62명을 대상으로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 검사지 결과와 질문지로 조사한 독서방식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성향에 영향을 주는 독서방식은 묵독보다 음독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다독보다는 정독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췌독과 통독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형태, 줄 길이, 줄 간격이 한글 웹 문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Reading Type, Line Length, and Interlinear Spacing on the Legibility of Korean Web Documents)

  • 신종현;박민용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7-205
    • /
    • 2003
  • Many people get plenty of information from World Wide Web, and the study of the factors that affect on reading task on web browser is presenting important issue. But domestic studies on legibility of Korean on web environment were relatively poor and the study about suitable text layout for skimming wasn't carried out also. At this poi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reading, three levels of line length, and three levels of interlinear spacing on comprehension and reading rate when subjects read the materials on web browser. Reading speed, error rate, subjective preference and SACL(Stress and Arousal Checklist) evalua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s. Eighteen volunteer subjects participated in eighteen web document sessions with two different reading types, three different line lengths, and three different interlinear spacings. Statistical results from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indicate that 50 characters per line of line length and 100 percents of interlinear spacing improved reading rate, overall error rates were reduced when reading normally, and SACL measures were increased at fast reading type. Consequently, in order to design text layout to retrieve information in WWW environment effectively, just applying guidelines of traditional printed material is not proper.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consider reading type, line length, and interlinear spacing.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also addressed.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7-212
    • /
    • 2008
  • 본 연구는 독서교육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살펴보고,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비교하여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프로그램 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국의 독서교육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은 교육학과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해교육을 중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독서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중시하고 여러 가지 독서활동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된 인접학문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어교과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읽기와 독해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의 3요소인 독자, 독서자료,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이론과 철학을 포함시키고, 교육경험과 실습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이 있는 인접학문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되어야 한다.

  • PDF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affecting text reading time and preference(II) : Focusing on non-square form letter

  • Yi, Joon-Suk;Jin, Young-Sun;Park, Min;Lee, Jong-Hyoung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380-384
    • /
    • 2000
  •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conveyance in reading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line length, letter size, line spacing arrangement as well as typeface itself. This study examined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by asking people to read the texts that was constituted with non-square form letter and rank the preference of texts through conjoint analysis. In the case of reading time, justifi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leading, line spacing, letter width, line length, font size, font type in their order of importance. And in the case of preference decision, letter width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font size, justification, line spacing, leading, line length, font type. The result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how to consider human preference in the hangul typog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