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perception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3초

IT 시대의 청소년기 학생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동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in Adolescent Students in IT Age)

  • 성정민;이선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07-514
    • /
    • 2017
  •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본인의 구강건강상태를 스스로 대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구강병의 질병부담에 대한 역학적 지표로서 혹은 치료필요나 치료결과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소년을 편의추출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동을 구성하는 요인을 찾아 연관성을 분석함으로 적절한 구강건강행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은 33.1%가 좋거나 매우 좋다고 응답한 반면 67.8%는 보통 또는 그 이하라고 응답하였고, 아침에 칫솔질을 실천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2.6배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칫솔질 실천을 할 때가 실천하지 않았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았다(<0.001). 이는 구강보건 교육을 통해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올바로 인지하고, 올바른 건강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이야 말로 예방적 교육의 목표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적절한 학교 구강보건교육의 프로그램과 그 기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간호사가 활용하는 근무성적 평정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Head Nurses'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on Staff Evaluation)

  • 김소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5-45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ethodologies of the staff evaluation used by the headnurse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s, and to measure the degree and type of perceived purpose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staff evaluation principles into preactice. A hundred and eleven from four general hospitals with 600 beds and over were conveniently sampled. Data were gathered from August 20, through September 10, 1994 ; demographic data of respondents and 'methodologies used for staff evaluation' by questionaires, level of 'perceived purposes of staff evaluation' and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principles of staff evaluation into practice' by Likert-type rating scal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Raw and percentile scores and means were calculated and data were processed further by t-tests and ANOVA. Results are as follows ; 1. Traditional methodlogies : checklists(90.1%) and ranking methods(45.9%) revealed to be the two mostly prefered and used methods. 2. Of the 20 item-descriptions of the 'purpose of staff evaluation': 10 'control, evaluative' and 10 'non-control, developmental' the first(mean=3.19) to the ninth(mean=2.74) in rank order revealed to be the 'control, evaluative purpose', while the tenth in rank order revealed to be the first among the 'non-control, evaluative' item(mean-1.57). 3. Level of purpose of staff evaluation perceived as 'control ; evaluative'(mean=43.76, S.D.=5.01) revealed to be significantly(t=-3.86, p<.05) highter than 'non-control ; developmental'(mean=40.65, S.D.=3.41). 4. Level of implementation of 'staff evaluation principle into practice' revealed to be moderately high(mean=2.40).

  • PDF

20대 소비자의 탁주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of Takju among Consumers Ages 20 to 29)

  • 정은경;김수정;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7권1호
    • /
    • pp.47-5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of Takju (Makgeolli) among consumers ages 20 to 2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t was found that 86.2% of the respondents drank Takju once or twice a month, and the high satisfaction group drank Takju with a frequency of 8 times a month (P<0.01). Respondents selected market (44.4%) and restaurants (34.9%) as the most common place of purchase, whereas pub (42.2%) and Takju bar (32.8%) were the drinking places selected. Regarding the preferred ingredients, respondents liked pear the most followed by Lycium chinense, corn, pine nuts, ginseng, and citrus fruit. The most compatible foods with Takju were identified as Buchimgae (Jeon) (97.4%), Kimchi (45.6%), Bokkeum (36.4%), Namul & Muchim (25.0%), and Jjim (21.5%). Pajeon was mentioned as the most compatible food with Takju, followed by Bulgogi, Gamjatang, Agwijjim, Dubukimchibokkeum, and Ojingeotwigim. Regarding consumers' satisfaction of Takju, taste was the most highly valued, with color, price, alcohol content, function, flavor, diversity of raw materials, and accuracy of label also highly considered. Further, to formulate a plan to encourage consumption of Takju, the high satisfaction group decided that promotion of local festivals and events related to Takju, standardization of quality, creation of brands, expansion of distribution network, and organization of relevant departments are the most important compared to other items (P<0.05).

서울지역 학교 영양(교)사의 PHF에 대한 인식 및 CCP 관리기준 수행실태 조사 - HACCP 시스템 CCP 3~CCP 7을 중심으로 - (Research Study on Seoul Region School Nutritionists' Perception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and Execution Conditions of Managing CCP Control Standard of the HACCP System - Focusing on CCP 3~CCP 7 -)

  • 이애랑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7-530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Seoul regi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nutritionists to analyze execution conditions of HACCP control standards, focusing on PHF and CCP 3~CCP 7, in order to determine more efficient methods for school meals' sanitation system settlement. All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via email. A total of 305 survey papers were collected, and 300 school result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percentage of nutritionists perceived the following foods as potentially hazardous foods(PHF): raw or cooked animal foods (94.7%), blossomed seed products (93.7%), packed pickled radish (36.7%), unopened mayonnaise (30.2%), and unopened snails & corn cans 54.8%. Exactly 51.2% of nutritionists believed that foods were properly supplied via CCP 3's food quality standard. Exactly 33.9% of nutritionists answered that they had never corrected the digital thermometer since there were no issues with the CCP 4's digital thermometer correction frequency level. As for CCP 5's chroline disinfection of green vegetables, 57.1% of nutritionists answered that vegetables were slightly softened while 36.2% said there were no changes at all. According to the nutritionists, the most difficult execution level of CCP levels (excluding CCP 3, CCP 4) was CCP 7 (37.1%), CCP 6 (16.4%), and CCP 2 (16.4%). For the above results, proper training/education must be enforced so that nutritionists can have a clear notion of the PHF. A solution must be developed enhancing the execution of CCP 4's digital thermometer correction frequency level. For CP 5's chroline disinfection of green vegetables, food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to suggest an appropriate number and method of cleansing. Furthermore, cooking employees are needed that properly use and manage cooling & heating equipments to maintain heated foods above $57^{\circ}C$ under the CCP 7 standard.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분석 (Analytical Results of Panel Surve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이수영;이영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73-7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07년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원자료 중 연구 질문에 따라 해당 연구대상을 2, 3년제 전문대학 및 4년제 대학 이공계 학생 298명으로 제한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은 성별, 출신 고등학교, 대학 유형, 전공계열 등과 무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직업세계의 이해 측면은 남성 이공계 대학생이 여성 이공계 대학생보다 미래직업 업무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탐색 계획과 활동 측면에서는 대학유형별로 2년제, 3년제 대학보다 4년제 대학의 이공계 대학생들이 미래직업 계획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이공계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저학년 초기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항만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ort-related Industry on Regional Economy)

  • 정분도;홍금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3-320
    • /
    • 2009
  •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대외지향적 성장정책을 추구하여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즉 원자재와 부품을 수입하여 이를 제조 가공 수출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었던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항만산업은 대외교역을 뒷받침하는 기간산업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항만산업의 발전은 자체적인 부가가치 생산 및 고용창출효과 이외에도 국민경제 전반의 물류효율화 및 물류비절감에 기여함으로써 대외경쟁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항만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인식은 대체로 낮은 편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항만산업의 발전여건은 상당히 열악한 편이며 특히 우리나라 주요 선사들의 선박확보량을 감축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관련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국가의 기반산업을 시장논리로만 접근할 경우 시장실패시치러야할 대가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 자체적인 항만산업을 유지하고 발전없이 외국에 의지할 경우, 국가비상시의 수송수단 확보, 외국업체들의 담합에 의한 운임상승, 국내하주들의 안정적인 운송수단 확보 등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될 경우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할 수 있다. 정부와 관련업계는 컨테이너 화물 유치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적극적인 항만마케팅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에 힘쓰는가 하면 항만배후지역을 보세구역화하여 수출입물량의 가공, 포장 등을 통해 재수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 PDF

한국 노인의 정신 건강과 구강 건강 문제의 연관성에 관한 융합 요인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Problems in Korean Elderly)

  • 최정희;이성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21-12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 건강과 구강 건강 문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2018)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7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시행하였다. 씹기 불편감 문제는 스트레스 인지 와 우울증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오즈비가 증가하였다(p<0.05). 말하기 불편감 문제는 정신 건강 상담을 받은 그룹에서 오즈비가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결과 노인의 정신 건강과 구강 건강 문제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정신 건강 관리와 구강 건강 문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삶의 질 향상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청소년의 정신건강특성이 만취경험에 미치는 영향: 2022년 청소년 건강행태자료 이용 (The Effec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on Heavy drinking Experience: A Study Based on the 18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2)

  • 임재란;이주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147-154
    • /
    • 2023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만취경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향후 음주 예방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제18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2022년)의 원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근 30일 동안 만취한 경험이 있는 53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만취경험은 성별, 학업성적, 경제 상태, 성관계 경험, 흡연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 특성 중 스트레스 인지, 우울, 외로움,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등이 만취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고려할 때 음주 습관에 대한 예방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정신건강과 음주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기에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정간편식의 제품속성에 대한 인식차이: 대학생들과 소비자를 중심으로 (Different Perception on Product Attributes of HMR: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and Consumers)

  • 양회창;김종백;김안식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47-56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ordinary consumers on the HMR product attributes.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on HMR product attributes between ordinary consumers and college students who belong to the current and future consumption groups of HMR will provide information for clear marketing strategies and PR on target consumers from the aspects of companies. Also, overall difference on HMR was investigated through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with each product attribute. This result will provide information to food companies that produce or supply HMR products to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Finally, IPA was conducted between groups on product attribute to find which difference exists between groups. This resul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to companies as suggested in the first purpos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rocedure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the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on HMR product attributes. Second, with using IPA, the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on HMR product attributes of the respondents were checked to investigate marketing strategy direction on overall HRM product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verified using IPA on the college student an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marketing strategy on HRM products was to be proposed to food companies. Results - It was known that consumers consider HMR product attribute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such as nutrient content(nutrition), country of origin, brand, main raw material, packaging, and awareness of manufacturer. They keep after purchase more importantly than college students who considered only volume and price than consumers. In comparison with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HMR product attributes,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more satisfied than ordinary consumers only in flavor, condition of food additives, and volume. Also, HMR related food companies must maintain taste, cooking method, manufacturing date, expiration date, and safety on current products continuously.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from the groups, the attributes such as cooking method, manufacturing date, expiration date, and safety were considered significantly with high achievement by the two groups. It was known that college students considered food texture to be important, but consumers considered storage method to be important after purchasing it. Conclusions - There is necessity to differentiate effectiveness of products when releasing HMR products subject to consumers and college students. The result will give great assistance to the improvement of companies, produce or supply HMR products. It will also provide entry strategies on target groups of companies that are planning for entry. The factors that consumers commonly considered not to be significant were brand, package form(appearance), cooking time, and sale(purchase) location, which were found in the comparison with the groups that awareness about manufacturers and storage method after purchase corresponded to college students and that distribution route corresponded to ordinary consumers.

우리 쌀 밥맛 향상을 위한 취반기술 개발 연구 -제1보 소비자의 쌀 구매 및 밥 소비에 관한 실태조사- (Cooking Technique Deve1opoment to Improve the Taste of Cooked Rice: -A consumer survey on purchasing rice and cooked rice consumption-)

  • 이혜연;박희정;박영희;조용식;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100호
    • /
    • pp.452-460
    • /
    • 2007
  • 우리 쌀의 소비촉진을 유도하기 위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밥맛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농촌진흥청 행사에 참여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쌀 구매 및 밥의 소비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가정에서의 쌀 구매 형태에서는 $1O{\sim}20$ kg의 구매단위가 가장 많았고, 구입 기준은 밥맛이 약 50%로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다수(약 50%)가 대형마트에서 구입하고 있고, 구입 후에는 포장지 그대로(32.4%) 또는 전용용기(57%)에 담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1달에서 4개월 이내에 대부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0%). 가정에서의 취반 시 쌀(52.1%) 및 물(77.6%)의 개량은 주로 눈짐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취반은 하루에 l회 또는 2회(약 70%), 주로 전기압력밥솥(44.6%)이나 가스압력밥솥(32%)을 이용하며 1회에 $2{\sim}5$인분(65%) 분량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취반 후 밥은 즉시 먹거나(41.8%) $1{\sim}2$일(48.6%) 안에 소비하였으며 소비 시까지는 주로 보온밥솥(63.6 %)에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밥맛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품종(37.9%), 생산지역(21.3%), 보관기간(11.9%)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품종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40%) 아는 응답자 중에는 일미(16.6%), 일품(14.0%), 추정(13.5%)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으로부터 소비자들 사이에 쌀은 필수지출 항목으로 인식되어 주식으로 지속적으로 소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량에 의한 취반은 낮은 비율이며 식미 향상을 위해 취반기구 및 쌀 품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