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t small intestin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초

젖산균 발효유섭취가 흰쥐의 장기내 알루미늄축적 억제효과 (Effects of Fermented Milk Feeding on Aluminum Accumulation in Rat)

  • 박성수;김중만;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14-1417
    • /
    • 2000
  • 젖산균(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2185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발효유가 흰쥐기관의 알루미늄 축적 감소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에 알루미늄화합물$[Al_2(SO_4)_3]$을 혼화하여 먹이면서 음용수로 증류수를 준 대조군, 증류수 대신 S. thermophilus 발효시킨 발효유(ST)와 이를 살균한 발효유(STS), L. acidophilus로 발효시킨 발효유(LA)와 이를 살균한 발효유(LAS)를 먹게 한 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사육한 후 뇌, 뼈, 폐, 심장, 간, 소장, 대장에 축적된 알루미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의 체 조직에 축적된 알루미늄 양은 뼈>폐>심장>대장>신장>간>뇌>소장의 순이었으며, S. thermophilus와 L. acidophilus로 발효된 발효유와 그 발효유를 멸균시킨 것을 각각(STS, ST 와 LAS, LA) 섭취한 군은 각각의 대조군(100%)에 비하여 축적량이 뼈의 경우 각각 46.71%, 51.03%와 66.57%, 79.23%, 폐의 경우 각각 19.04%, 29.20%와 67.73%, 76.98%, 심장의 경우 각각 50.72%, 56.46%와 72.59%, 86.63%, 대장의 경우 각각 29.94%, 35.94%와 53.81%, 81.01%, 간의 경우 각각 20.89%, 47.43%와 60.39%, 82.10%, 뇌의 경우 각각 21.82%, 38.33%와 63.85%, 81.15%, 소장의 경우 각각 3.97%, 14.13%와 60.43%, 62.42%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알루미늄화합물을 흡수한 흰쥐 체내 알루미늄 축적량 감소는 젖산균 발효유가 멸균시킨 젖산균 발효유보다 효과가 컸다.

  • PDF

Echinostoma hortense를 실험 감염시킨 흰쥐 장상피에서 림프구 (IEL)증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IEL Number in the Intestine of Rats Infected with Echinostoma hotense)

  • 류장근;노병의;이지숙;양용석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9-118
    • /
    • 1999
  • 저자들은 호르텐스극구흡충을 실험적으로 흰쥐 (Sprague Dawley)에 감염시켰을때 장상피 내 림프구 (intraepithelial lymphocytes: IEL)의 증감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피낭유충을 경 구 감염시킨 다음 1주일부터 8주일까지 격주별로 소장점막에서 IEL의 수치, 융모/선와의 비 (villus/crypt ratio)등을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감염 흰쥐는 격주별로 희생시켰으며 소장의 십이지장과 공장부위의 조직을 획득하여 조직 절편을 제작하였고, Hematoxylin-eosin 및 Giemsa 염색을 실시한 후 IEL 수, 위치의 변동을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다. 융모 위축과 선와 증식 , V/C ratio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장병변은 감염 1주일 경과한 소장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이 병변은 8주일까지 계속되고 있었다. IEL은 감염 1주일에 급속하게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8주일 때에는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대조군에서 IEL은 대부분 장상피층의 기저부에 위치하였으나, 감염 초기에는 많은 IEL이 장상피세포의 핵주변부와 상층부에 분포하는 것이 특이하였다. 이와 같이 호르텐스극구흡충 감염시 나타나는 IEL수 및 위치의 변동은 장병변의 진행과정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글루템 가수분해물에 의한 칼슘의 가용화 및 체내이용성 증진 효과 (Enhanced Effect of Gluten Hydorlysate on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Calcium in Rats)

  • 이연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1호
    • /
    • pp.40-47
    • /
    • 1997
  • Dietary peptides hav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regarding their beneficial effects on nutrient metabolism since the caseinphosphoptides obtained from casein hydrolysate are generally believed to enhance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Ca. Th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hydrolyzed fractions of gluten on Ca bioavailability. The gluten hydrolysate of dietary components was produced by enzymatic hydrolysis of gluten whereas gluten hydrolysate supernationt and its precipiate resulted from centrifugation. In experiment I, the rats were for 4 weeks fed the 4 kinds of diets containing same amount of nitrogen and calories and diffeing only in the forms of nitrogen sources. The diets were gluten (G), gluten hydrolysat(GH), gluten hydrolysate supernatant(GHS) and gluten hydrolysate precipitatie(GHP). Determination was made for the body weight gain, serum Ca concentration, Ca solubility in small intestinal contents, bone weight, length and stength, bone ash and Ca content, and Ca balance,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as regards growth, serum Ca, and bone dimension and Ca content among rat groups. More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with regard to Ca absorption and intestinal solubility in the rats receiving the GH or GHS diet which containe crude gluten peptides, than in those subjected to G or GHP diet. In experiment II, in vitro determination for Ca solubility was made to ascertain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effects of gluten peptides on Ca absorption. The 10mM Ca in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7.0) incubated for 3 hours at 37$^{\circ}C$ by the GHS fraction, was observed to be capable of increasing the Ca solubility at 5-25mg/ml concentration of gluten peptide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gluten peptides from gluten hydrolysate may enhance the Ca absorp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Ca in small intestine.

  • PDF

변질된 건조고추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독소 생성 및 독성작용 (Mycotoxin Production and Animal Toxicity of Molds Isolated from Discolored Sun-Dried Red Pepper(Capsicum annuum L.))

  • 권선향;심선택;박은주;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7-181
    • /
    • 2008
  • 희나리 고추에서 분리한 곰팡이를 현미에 배양하여 실험동물(rat)에 투여하였을 때 Colletotrichum, Diaporthe, Diaporthopsis, Botryosphereia, Aspergillus, Fusarium의 경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된 곰팡이는 독성을 나타내었다. A. alternata를 배양한 현미를 투여한 실험동물은 사료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체중 감소를 보였고 2주안에 치사하였으며, 위, 소장, 간의 확대가 관찰되었다. Alternaria속 곰팡이는 17종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중 8종은 고추즙과 현미에 배양하였을 때 모두 상당량의 tenuazonic acid를 생산하였고, 현미 배지에서만 alternariol과 alternariol monomethyl ether 독소가 추가로 소량 검출되었다. 건조 과정에서 곰팡이가 번식된 고추는 유해한 대사물의 존재 가능성이 있으므로 식품 안전을 위해 곰팡이 번식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6 MV X-ray에 피폭된 흰쥐에 대한 아보카도 껍질 추출물의 방사선방호효과 평가 (Evaluating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Avocado Peel Extracts upon Rat Exposed to 6 MV X-Ray)

  • 김장오;신지혜;정도영;전찬희;이지은;이윤지;민병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53-5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Sprague-Dawley Rat을 통하여 아보카도 껍질추출물의 방사선방호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52 마리의 수컷 Rat을 무작위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NC Group은 일반대조군, PA Group은 아보카도껍질추출물 투여군, IR Group은 방사선조사군 마지막으로 PA+IR Group은 아보카도 껍질추출물 투여 후 방사선조사군으로 설정하였다. 아보카도 껍질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전 14 일동안 1 일 1 회 200 mg/kg으로 경구투여를 하였으며, 방사선량은 7 Gy의 6 MV X-선을 전신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4일, 21일에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혈구성분, 비장 지수의 변화 및 간과 소장의 조직병리학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혈구성분은 PA+IR Group이 IR Group보다 림프구(p<0.01), 적혈구(p<0.01), 혈소판(p<0.05)가 유의하게 회복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화도 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간에서는 PA+IR Group에서 핵의 응집, 세포질의 팽창 등이 소폭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소장움세포의 피해에 따른 융모길이 변화에서도 유의하게 피해가 감소(p<0.0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아보카도 껍질추출물은 방사선 조사에 따른 혈구 및 주요 장기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사선방호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Sesamol 급여 흰쥐의 대사물질 측정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and Its Metabolites in Rat Fed Sesamol)

  • 이민선;김현위;방선권;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참깨 내 리그난 성분 중 하나인 sesamol의 신체 내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지 측정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 Dawley수컷 흰쥐 20마리를 control군(n=10)과 0.5% sesamol군(n=10) 급여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한 후 조직 중 sesamol 대사물을 측정하고 조직의 과산화 지질 함량, glutathione 함량, glutathione-5-transferase활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동물의 장기무게에 있어 간과 신장 모두 일반식이군에 비해 sesamoi 급여군의 무게가 약간 높게 나타났고, 간 조직 내 glutathione함량은 일반식 이 가 sesamol를 급여한 군보다 높게 나타나 sesamol의 급여로 인한 glutathiones-transferase활성 증가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Sesamol이 간 조직 내 glutathlone perok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한 결과 sesamol 급여 군이 일반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sesamol이 생체내에서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높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samol을 급여함에 따라 catalase활성 또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E를 이용한 sesamol의 대사산물의 측정 결과 sesamol을 섭취시킨 쥐의 간과 신장에서 sesamol peak가 확인되었으나 대장과 소장, 췌장 및 위에서는 sesamol peak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FAH-MS spectrum측정 결과 분자량 138의 sesamol과 기타 241과 259의 intense를 나타내는 미지의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나, 물질 양이 적어 동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sesamol의 생체내에서 항산화redoxsystem을 거쳐 대사되고 간과 신장에 축적되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지방식을 이용한 흰 쥐 복강 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와 신경섬유의 표지부위 (Localization of Sensory Neurons Innervating the Rat Intestine Using the Cholera Toxin B Subunit(CTB) and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WGA-HRP))

  • 이동협;이창현;이무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5-96
    • /
    • 1998
  •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세포체 및 신경섬유의 표지부위를 관찰하기 위하여 복강내장을 부위별(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오름결장, 내림결장)로 나누어 2.5% WGA-HRP $30{\mu}l$와 0.5% CTB $20{\mu}l$를 장막과 근육층 사이의 4부위에 나누어 주입하였다. 그 후 48-96시간의 생존시간이 경과한 후 뇌줄기, 척수신경절과 미주신경절에서의 감각신경섬유와 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과 HRP 조직화학 기법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WGA-HRP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위와 맹장에서만 관찰되었으며, CTB에 표지된 감각신경섬유는 복강내장의 모든 장기에서 관찰되었다. 2.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는 뇌줄기내 좌우 고립로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에 국소적으로 강하게 표지되었다. 3. 척수신경절에서 위 (stomach)에 분포하는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관계없이 $T_2$에서 $L_1$까지 여러 신경절에 표지되었으며 이 중 좌우 $T_{8-9}$부위에 가장 많이 표지되었다. 4. 십이지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 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으나 다른 장기에 비하여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적었다. 5. 공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 $T_{12}$ 부위였으며, 우측은 $T_{13}$ 부위에 표지되었다. 6. 회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우 $T_6-L_2$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에서 $T_{11}$부위였고, 우측에서 $L_1$부위였다. 7. 맹장에서의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였으며 우측은 $T_6-L_1$부위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1}$이었으며, 우측은 $T_{11-12}$에 표지되었다. 8. 오름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좌측은 $T_7-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9-L_4$부위에 표지되어 좌우측 표지부위의 차이를 보였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9$이었으며, 우측은 $T_{11}$에 표지되었다. 9. 내림결장에서 척수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 세포체는 좌측은 $T_9-L_2$부위에 표지되었고 우측은 $T_6-L_2$부위에 표지되었다.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좌측은 $T_{13}$이었으며, 우측은 $L_1$에 표지되었다. 10.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좌우 미주신경절에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는 위에서 가장 많이 표지되었으며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에서는 표지된 감각신경세포체의 수는 위에 표지된 수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복강내장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섬유의 뇌줄기내 표지영역은 좌우 고립로 핵의 교질부, 교질부의 등쪽내측부, 교차연결부, 내측부, 넷째뇌실벽, 맨아래구역의 앞쪽경계 및 중심관의 등쪽 정중선인 교차연결부였으며,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영역은 미주신경절과 척수신경절 $T_2-L_4$ 부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위를 제외한 나머지 장기들에서는 $T_6-L_4$부위에 표지되었으나 소장에서 대장으로 갈수록 가장 많이 표지된 부위는 원위부 가슴신경절에서 근위부 허리신경절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추출방법(抽出方法)에 따른 내소화중탕(內消和中湯)의 효능(效能)에 대(對)한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onent Variation of Naesowhajung-tang by the Three Types of Extraction Method and the Effects of Each Type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 김진성;류봉하;박동원;류기원;윤주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9-38
    • /
    • 2001
  • When I evaluated the component variation of Naesowhajung-tang by the three types of extraction method, and each type's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 got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utput ratio of extracts made out of Naesowhajung-ta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13.8% of water extract(Sample-I), 13.5% of 50% ethanol extract(Sample-II), and 15.6% of water extract by spray dryer(Sample-III). 2. magnolol, honokiol, hesperidin, naringin, poncirin and glycyrrhizin Sample II had the largest amount of the following contents: magnolol, honokiol, hesperidin, naringin, poncirin and glycyrrhizin. 3. All the extracts of Naesowhajung-tang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smooth muscle contraction of the isolated ileum in mice and fundus-strip in rats induced by acetylcholine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4. High concentration Sample-II was recogniz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in Shay's rats. but not in the other rat group. 5. All the extracts of Naesowhajung-tang were recogniz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gastric ulcers induced by Ethanol-HCl in rats. 6. The increase of transport ability in the small intestine was recognized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all the samples was doubled, but not in the other concentrations. 7. The increase of transport ability in the large intestine was recognized only when the concentration of Sample-II was doubled, but not in other concentration. Us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 suggest that Sample-II has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an the others.

  • PD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의 피하주사 후 Male과 Female Rat에서 약물동태 및 조직분포 (Pharmacokinetics and Tissue Distribution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after Subcutaneous Administarion in Male and Female Rats)

  • 박병권;박승춘;윤효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3-2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armacokinetics and tissue distribution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rBST) after subcutaneous adminstration of $^{125}I-rBST$ in male and female rats. A solid state conjugation (Iodo-bead$^{(R)}$) method was confirmed useful for producing $^{125}I-rBST$ because the administration of the conjugated form enabled enough to determine time- concentration relationships of rBST in rats. Subcuatenous administrations showed sex differences that female ($t_{1/2,kc}$, 2.87 h) revealed rapid elimination as compared to male ($t_{1/2,ke}$, 4.81 h), with the absorption ($t_{1/2,ka}$ in male being 0.3 h and that in female 0.75 h) in the reverse order. F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rBST in male rats, the liver was the highest in amount, followed by kidney, testes, muscle, and stomach, at the slaughtering tame of 1, 6, 12 and 24 h. But the testes was the highest at the 48 h slaughtered animals, followed by liver, kidney, stomach, and muscle. In slaughtered females at 1, 6, and 12 h after the administration of rBST, the liver was the highest, followed by ovary, kidney, small intestine, and stomach. At 24 and 48 h slaughtered female rats, the ovary was the highest, the liver the second, and the kidney the third.

Anti-Myelosuppression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in SD Rat Injected with 5-fluorouracil

  • Park, Hye-Jung;Han, Jong-Min;Kim, Hyeong-Geug;Choi, Min-Kyung;Lee, Jin-Seok;Son, Chang-Gu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7-55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of red ginseng (RG) on 5-fluorouracil (5-FU)-induced side effects focusing on myelosuppression. Methods: Rats (n = 50)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ave, control (ip, 5-FU injection of 150 mg/kg), and RG pre-treatment (po, 25, 50 and 100 mg/kg for 5 days before 5-FU injection). On the $7^{th}$ day after 5-FU injection, we evaluated the effects using peripheral hematological parameters, colony-forming assay, cytokine levels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 Results: The peripheral white blood cell and the differential count were dramatically suppressed by 5-FU, while RG (50 and 100 mg/kg)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total white blood cell, neutrophil, lymphocyte and platelet counts. Also, RG (100 mg/kg) pre-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FU-GM colon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RG pre-treatment also ameliorated the histopathological damage in bone marrow, spleen, stomach and small intestine tissue.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RG has preventive effects against 5-FU-induced myelotoxicity and gastrointestinal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