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transit railroad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초

GIS Buffering 분석에 기반한 교통축별 최적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 (A Criterion on the Selection of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by Transportation Corridor based on GIS Buffering Analysis)

  • 김만웅;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D호
    • /
    • pp.477-483
    • /
    • 2010
  • 기존 대중교통시스템은 한정된 수송용량, 포화상태인 도로 교통체계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교통수단이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교통당국에서는 기존의 도시철도의 규모를 축소시킨 경량 전철 위주로 신교통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각 도시별로 대중교통(버스 또는 도시철도)을 계획할 때 특별한 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이 없어 해당 지자체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시의 교통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한 대중교통수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대중교통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별로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선정 및 평가에 대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구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for Selecting Operator of Rail Traffic-Control)

  • 오재경;정성봉;김지연;김시곤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27-335
    • /
    • 2014
  • 최근 정부에서는 철도경쟁체제 도입에 따른 관제권 이관을 추진함에 따라 관련 기관간 첨예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관제권 운영주체 선정에 대한 합리적 객관적 평가항목과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으로 안전성, 보안성, 효율성, 공정성 등 5가지 항목을 도출하고, AHP분석을 위해 각 항목에 대해 3가지 수준으로 위계를 설정한 후, 각 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관련 분야별 비교를 위해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철도운영자, 시설관리자 그리고 관련 학연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제권을 담당하는 기관을 선정할 때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으며, 이해관계에 따라 공정성 또는 보안성, 그리고 효율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제업무에 대한 적정 운영주체를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철도운영자가 2.75점, 그리고 철도시설관리자가 3.83점으로 향후 철도시장 다변화에 따른 관제권의 운영주체는 철도시설관리자가 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철도 관제권 운영주체에 대한 선정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항목 및 기준을 활용한다면 좀 더 합리적 객관적 운영주체 선정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도시공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the Urban Space at Station Influenced Areas by the Open of Incheon Urban Railroad Line 1)

  • 안정근;박만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41-148
    • /
    • 2011
  • 인천광역시는 도시 전체의 심각한 교통체증 경감을 위하여 도시철도 1호선(총연장 31.1km)을 1999년 10월 개통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1호선 개통이 역세권 도시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역세권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에서 발간된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심형 및 농촌형 역세권은 철도개통에 따라 뚜렷하게 도시공간 변화에 영향을 미쳐 역세권을 형성함에 따라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도시기능을 분담하였으나 주거형, 준주거형, 교외형 역세권은 철도개통 후 도시공간 변화에 큰 변화가 없어 역세권이 형성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도시철도 개통시 주거형 및 준주거지형 역세권에서는 역세권 입지 특성을 고려하여 주민 및 산업인구를 유인하고 다양한 시설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계획적 역세권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교외형 역세권에서는 역사개발 후 자연 발생적 역세권 개발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도시철도 역사 개발시 역세권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양호한 생활여건 조성에 앞장서야겠다.

루프이음을 가진 모듈식 슬래브 연결부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exural Performance of Modular Slab Connections with Loop Joints)

  • 김동완;신정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59-467
    • /
    • 2016
  • 최근, 도로를 따라 지하 5~7m의 저심도에 설치되는 저심도 도시철도시스템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신개념의 모듈식 개착 시공법을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 슬래브간의 연결부에 대한 구조성능 검증을 위해 루프이음을 가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부재들의 4점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11개의 실험체가 제작되었으며 단면형상, 이음부 형상, 이음길이, 횡방향 보강철근을 변수로 이음이 없는 전단면 및 반단면 실험체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루프이음 실험체는 항복하중과 최대하중시 변위량 차이가 컸으며 이는 항복이후 접합부에서 발생한 균열이 확장됨에 따라 강성저하로 변위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0mm의 루프이음을 가진 반단면 실험체의 경우, 이음이 없는 기준 실험체에 상당하는 휨성능을 확보하며 200mm 초과시 휨성능 향상의 정체기를 보였다.

철도차량용 금속계 소결마찰재의 조성에 따른 트라이볼로지 특성 (Effects of Composition of Metallic Friction Materials on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n Sintered Metallic Brake Pads and Low-Alloy Heat-Resistance Steel for Trains)

  • 양용준;이희성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0권6호
    • /
    • pp.330-336
    • /
    • 2014
  • Sintered metallic brake pads and low alloy heat resistance steel disks are applied to mechanical brake systems in high energy moving machin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cently developed 200km/h trains. This has led to the speed-up of conventional urban rapid transit. In this study, we use a lab-scale dynamomet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position of friction materials on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tered metallic brake pads and low alloy heat resistance steel under dry sliding conditions. We conduct test under a continuous pressure of 5.5 MPa at various speeds.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friction materials for 200 km/h train, we test and the evaluate fric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friction coefficients, friction stability, wear rate, and the temperature of friction material, which depend on the relative composition of the Cu-Sn and Fe components.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average friction coefficient is lower for all speed conditions, when a large quantity of iron power is added. The specimen of 25 wt% iron powder that was added decreased the wear of the friction materials and the roughness of the disc surface. However when 35 wt% iron powder was added, the disc roughness and the wear rate of friction material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ron powder, the surface roughness, and temperature of the friction materials increased, so the average friction coefficients decreased. An oxidation layer of $Fe_2O_3$ was formed on both friction surfaces.

직류전기철도 전식대책 실증실험(1) 누설전류 배류시스템 (Field Test of Mitigation Methods for Stray Currents from DC Electric Railroad(1) Stray Current Drainage System)

  • 하윤철;배정효;하태현;이현구;김대경;최정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20-222
    • /
    • 2007
  • With the wide spread of direct current (DC) electric railroads in Korea, the stray currents or leakage currents from negative return rails become a pending problem to the safety of nearby underground infrastructures. The most widely used mitigation method for this interference is the stray current drainage method, which connects the underground metallic structures to the rails with diodes (polarized drainage) or thyristor (forced drainage). Although this method inherently possesses some drawbacks, its cost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o protect the interfered structures has been the main reason for the wide adoption. In this paper, we show the field test results for the application of stray current drainage system to a city gas pipeline paralleling a depot area of a metropolitan rapid transit system. The process for optimal positioning is briefly illu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and constant potential drainage schemes was also described.

  • PDF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 대응체계현황 분석을 통한 개선방향 도출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s of Response Systems against Railway Casualties and Accidents of Urban Railways)

  • 모천석;김시곤;권영종;강갑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969-9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철도안전과 관련된 규정들을 검토하고 역 근무자 인터뷰, 8개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서울도시시철도공사, 서울메트로, 인천교통고사 등)의 현재 실시하고 있는 예방대책 현황조사를 통하여 사고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예방대책 수행에 어려움을 미치는 근본원인을 관련 규정의 미흡, 조직문화와 근무환경, 소극적인 운영기관의 예방대책으로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3가지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우선 도시철도 철도안전사상사고 행동 규정 제작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생 안전도우미 활용 및 운영기관 고위 관리자의 안전 교육 등 조직문화와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사고예방캠페인, 이용객의 교육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고감소를 위한 개선방향은 향후 운영기관의 예방대책 수립시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사료된다.

전동열차의 운행에너지 절감을 위한 최적 운행 패턴 모델링 (Modeling of the Optimal Operation Pattern for Energy Saving of The Trains)

  • 김정현;이세훈;전상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87-1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역간 거리를 정해진 운전 시분내에 주행에너지를 최소화하며 주행하는 열차의 특성을 파악하고 수학적으로 모델링한다. 도시철도차량 자동주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ID제어기 대신 목표값에 추종하면서도 자동 주행 중 소비에너지가 최소화되도록 최적제어기를 사용하여 철도 차량를 모델링하였으며 실제 동일한 운행조건하에서 설계한다. 실제 선로 조건을 적용하여 별도의 차상장치나 선로주변시설 없이도 자동운전 중 주행에너지를 최소하여 주행에너지를 절감하고자 한다. 따라서 8호선 실 노선 구간별 운전시분 내에서 실측 데이터 분석을 위해 직선구간/구배구간/곡선구간 등 구간을 선정하고 그 구간에서 열차의 운행패턴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하는 열차운행을 방법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 사상사고 유형·원인 분류 및 표준화 방안 (Classification and Standardized Coding for Urban Railway Casuality Accident Types and Causes)

  • 모천석;김시곤;권영종;강갑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73-117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사고유형과 원인분류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철도 운영기관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의 4,086건 철도안전사상 사고를 분석하여 표준화 코드를 작성하였다. 사고유형의 표준화는 사상자유형, 사고대상, 사고 위치, 사고형태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이를 포함한 4자리의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사고원인의 표준화는 원인제공자, 음주여부, 1차 원인, 2차 원인을 포함한 4자리의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표준화코드는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체계적인 비상관리 및 긴급대응에 기본이 되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판단된다.

고장 분석을 통한 승객서비스 장치의 신뢰성 향상방안 연구 (A Study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Passenger Service Equipment using Failure Analysis)

  • 노범택;정광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09-616
    • /
    • 2016
  • 승객서비스 장치는 역정보 등 다양한 열차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승객 접점장치로 고장이나 오류 시 열차운행에 영향은 적지만 승객들은 큰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기반 유지보수(RCM)를 운영자 입장에서 적용했던 기존 시각에서 벗어나, 승객 입장에서 중요장치인 승객서비스 장치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데이터를 기초로 승객서비스 장치에 대한 고장분석 및 FMEA/FMECA수행, 심각-발생도 매트릭스 및 위험우선순위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 설정기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와이블분포를 통해 고장패턴, 고장률 등 고장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승객서비스 장치의 고장 최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