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erion on the Selection of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by Transportation Corridor based on GIS Buffering Analysis

GIS Buffering 분석에 기반한 교통축별 최적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

  • 김만웅 (교통안전공단 철도항공안전본부) ;
  • 김시곤 (국립서울산업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6.15
  • Accepted : 2010.07.09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existing mass transport system, with its limited capacity and the saturated road networks, has given cause for a new means of transport to be developed, and strong demands for such new means of transport are observed more than ever. However, the traffic authority is seeking a new transport system that focuses more on LRT(Light Rail Transit), a downsized version of the existing urban railroad, rather than one that is appropriate to solve the traffic problems. Moreover, local governme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lanning their own mass transportation(bus or urban railroad) as they have no specified criteria for selecting a mass transport system. According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loud voice that calls for criteria to determine which mass transport system befits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This paper develops a mass-trans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based on the GIS Buffering analysis of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n the city, sets up the capacity for each mass transport system and present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n optimal mass transport system for each transportation corridor. It also presents a methodology that identifies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selection and evaluation, since it is most important to select the optimal mass-transport system that can meet the demand by each mass-transportation corridor.

기존 대중교통시스템은 한정된 수송용량, 포화상태인 도로 교통체계 등으로 인해 새로운 교통수단이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으나, 교통당국에서는 기존의 도시철도의 규모를 축소시킨 경량 전철 위주로 신교통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각 도시별로 대중교통(버스 또는 도시철도)을 계획할 때 특별한 대중교통시스템 선정기준이 없어 해당 지자체별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중교통축별로 어떠한 대중교통시스템이 적정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시의 교통축별로 GIS Buffering 분석기법에 기반한 대중교통수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대중교통시스템별 용량을 설정하여 교통축별 최적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대중교통이 운행하는 대중교통축별로 수요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정 대중교통시스템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선정 및 평가에 대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으로 구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간선 급행버스 시스템(BRT).
  2. 건설교통부(2005a) 수도권 BRT 도입 기본구상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국외사례 부분).
  3. 건설교통부(2005b) 건설교통부 육상교통국 홈페이지 내부자료.
  4. 교통신문(2007) 신교통 수단, 교통칼럼.
  5. 서울특별시(2005) 서울시 BRT도입 기본계획.
  6. 신희덕(2008)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EU의 신교통대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 안태훈(2008) 국내 신교통시스템 도입 절차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도시철도 관련 제도를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8. TRB(2003) Bus Rapid Transit, TCRP Report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