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hanus sativus L.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8초

Microspore-derived Embryo Formation in Response to Cold Pretreatment, Washing Medium, and Medium Composi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Chun, Chang-Hoo;Na, Ha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94-499
    • /
    • 2011
  • Cold pretreatment, washing medium and composition of nutrient media may have marked effects on microspore embryogenesis. When microspores isolated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cv. Gwanhun) flower buds were washed with Nitsch & Nitsch (NLN) medium liquid medium containing $130g{\cdot}L^{-1}$ sucrose (NLN-13), yields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were greater than when using B5 liquid medium containing $130g{\cdot}L^{-1}$ sucrose. Microspore viability is known to decrease rapidly with storage; however, in this experiment, microspore viability was maintained for 24 h at $4^{\circ}C$ without media. Among the various medium concentrations used ($0.25{\times}$, $0.5{\times}$, $1.0{\times}$, $2.0{\times}$, and $4.0{\times}$ NLN liquid medium), $0.5{\times}$ NLN liquid medium induced the most efficient formation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In addition, microspore-derived embryos yields were greater when microspores were cultured in $0.5{\times}$ NLN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0.25{\times}$, $0.5{\times}$, and $1.0{\times}$ NLN microelements, compared to medium not supplemented with microelements. In this study, the highest yield of microspore-derived embryos was observed when the microspores derived from flower buds were washed using NLN-13 liquid medium and then cultured on $0.5{\times}$ NLN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0.25{\times}$ NLN microelements, followed by incubation at $25^{\circ}C$ for 30 days.

배무채(xBrassicoraphanus)의 화학성분 분리 (Isolation of Chemical Compounds from xBrassicoraphanus)

  • 이연희;안규석;이수성;박영두;유시용;김성훈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3-408
    • /
    • 2007
  • xBrassicoraphanus is an intergenic breed crossed between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and Raphanus sativus L. that have been daily consumed. xBrassicoraphanus was known to have good tastes and biological activities. Nevertheless, its constituetnts were not elucidated yet. Thus, in the present study, to indirectly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xBrassicoraphanus, 12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leaves and roots of xBrassicoraphanus.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evidences,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xBrassicoraphanus. were identifi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linolenic acid and coniferyl alcohol, while the chemical structur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roots of were xBrassicoraphanus were characterized as ${\beta}-sitosterol$, indole-3-acetonitrile, ferulic acid, methyl ferulate, linolenic acid methyl ester, 1-methoxyindole-3-acetonitrile, goitrin, 4-hydroxycinnamyl alcohol, coniferyl alcohol, palmitic acid and daucosterol. These can be classified as three steroids, two indole cyanides, two cinnamic acid derivatives, one cinnamyl alcohol derivative, three fatty acid derivatives one isothiocyan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unds isolated from xBrassicoraphanus were almost identical with known components of Brassica campetris L. ssp pekinensis or Raphanus sativus L.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about the difference of amounts of constituents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ant species amounts.

Microspore-derived Embryo Forma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during the Isolated Microspore Culture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Han, NaRae;Kim, Sung Un;Park, Han Young;Na, Hae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382-389
    • /
    • 2014
  • Raphanus sativus L. cv. Taebaek, a efficiently microspore-derived embryo (MDE)-forming cultivar, and 'Chungwoon', a non-MDE-forming cultivar were selected as donor plants for isolated microspore culture. Radish flower bud of 2.0 (small, S), 4.0 (medium, M), and 6.0 (large, L) ${\pm}$ 0.5 mm in length were isolated to determine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flower bud size and MED yield. Anatomical observations reveale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lower buds between the two cultivars. In both cultivars, the stigmas were much longer than the floral leaf in M-sized flower buds. The MDE yields for 'Taebaek' per petri dish were 6.6 and 1.3 for M- and L-sized of flower buds, respectively, but MDE formation was not induced in the S flower buds. On the other hand, 'Chungwoon' failed to form MDEs in all flower buds. The microspore density of 'Taebaek' was 1.3 times more than that of 'Chungwoon' for M sized flower buds. Of the M-sized buds from 'Taebaek' and 'Chungwoon', 92.1 and 81.6%, respectively, were in the late uninucleate microspore stag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frequency of MDE formation. Anatomical observations of MDE formation revealed that the microspores were able to divide to form a primordium from which cell division took place continuously in the 'Teabeak' cultivar. However, the microspores of 'Chungwoon' failed to progress beyond the primodium stage, resulting in lack of MDE formation. By contrast, after the formation of the primordium,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embyos from microspore were observed in the 'Taebaek' cultiva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MDE forming potentials of radish cultivars.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 육종 계통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Inbred Lines against Turnip mosaic virus)

  • 윤주연;최국선;김수;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60-64
    • /
    • 2017
  • 무(Raphanus sativus L.) 육종 계통들에 대한 순무모자이크 바이러스(Turnip mosaic virus, TuMV)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개 무 육종계통들의 잎에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BR 병원성을 가지는 국내 분리 계통을 즙액 접종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한 무 개체들은 $22^{\circ}C{\pm}3^{\circ}C$에서 재배하였으며 4주 동안 바이러스 병징 발현을 육안으로 조사하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무 육종계통들의 다른 병징 발현에 의해 분석한 결과, 16개 무 계통은 약한 모자이크, 모틀링에서 심한 모자이크 전신 병징을 보였으며 감수성으로 판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 외피단백질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하여 확인되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병징을 발현시킨 원인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4개 무 육종계통들에서는 모자이크 등 전신 감염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동일한 무 육종 계통들의 개체들에서 8주 동안 병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조사한 결과 4개 무 육종 계통들의 상엽들에서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4개 무 육종계통들이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예시해준다.

한국산 무 (Raphanus sativus L.) anionic peroxidase를 이용한 당 정량법 연구 (Glucose Determination by Using Korean Radish Anionic Peroxidase)

  • 김재홍;김성호;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0-105
    • /
    • 2000
  • 한국산 무(Raphanus sativus L.)로부터 황산암모늄 분별침전과 CM-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anionic peroxidase(POD)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한국산 무 anionic POD를 비색효소로, o-tolidine 혹은 4-aminoantipyrine/diethylaniline(4AA/DEA)을 비색기질로 사용하여 63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당 정량반응을 실시하였다. 한국산 무 anionic POD는 비색기질로 4AA/DEA을 사용한 경우 o-tolidine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높은 비색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Glutosr의 농도증가에 따른 검정곡선을 작성하였을 때 o-tolidine과 4AA/DEA을 사용한 경우 상관계수가 각각 r=0.9983과 r=0.9963로서 두 가지 방법의 검정곡선이 모두 좋은 직선성을 보여 주었다. 한국산 무 anionic POD와 horseradish POD의 기질산화에 대한 반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o-dianisidine과 guaiacol Km값을 조사한 결과, 한국산 무 anionic POD가 horseradish POD보다 o-dianisidine에 대해 약 40배, guaiacol 대하여 약 2배의 높은 기질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산 무 anionic POD를 비색효소로 사용하여 검출감도가 높은 당 정량용 진단시약을 개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 PDF

이산화염소수 및 열수처리에 따른 무(Raphanus sativus L.) 새싹 종자의 미생물 제어 효과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 박기재;임정호;김지혜;정진웅;조진호;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87-491
    • /
    • 2007
  • 새싹 채소 중 무순의 위생적인 재배 조건을 위한 종자에 대한 이산화염소수와 열수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열처리를 단독처리 또는 복합처리를 통하여 무종자의 발아율과 미생물의 감소를 조사한 결과, 단독처리시 100 ppm 농도 이상의 이산화염소수로 10분 이상 처리시 대조구와 비교하여 1 log cycle이상 감소하였으나, 열수처리 온도 $45^{\circ}C{\sim}55^{\circ}C$에서는 미생물의 감소가 1 log cycle 이하의 미미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율은 이산화염소수의 처리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며 열처리 온도 $45^{\circ}C{\sim}50^{\circ}C$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발아율이 증가한 반면, $55^{\circ}C$/10분 이상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감소하여 $55^{\circ}C$/20분 처리 시 대조구에 비하여 발아율 약 10% 이상 감소하였다. 이산화염소수 50 ppm, 100 ppm과 열수 온도 $45^{\circ}C,\;50^{\circ}C$간의 복합처리는 발아율의 증가와 미생물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0 ppm의 농도에서 병행 처리 시 약 2 log cycle의 미생물 감소효과와 발아율이 $97.0{\sim}97.7%$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산화염소수와 열수의 복합처리는 무 새싹채소의 종자에 미생물적 안전성을 증가 시킴과 동시에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the Gene Encoding Radish (Raphanus sativus L.) PG-inhibiting Protein

  • Hwang, Byung-Ho;Kim, Hun;Lim, Sooyeon;Han, NaRae;Kim, Jongke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299-307
    • /
    • 2013
  • A radish (Raphanus sativus L.) polygalacturonase-inhibiting protein (PGIP) gene was cloned and compared to the PGIP gene (BrPGIP2) from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sp. pekinensis) in order to gain more information on controlling a disease and improving produce quality. To clone the radish PGIP gene, primers were designed based on conserved sequences of two PGIP genes (BnPGIP1 and BnPGIP2) from rape (B. napus L. ssp. oleifera), Chinese cabbage and Arabidopsis thaliana. PCR cloning was performed with cDNA from the stigma of radish 'Daejinyeoreum' as a template to confirm DNA fragments which were about 600 base pair in size. Sequence analysis revealed 84.1% homology with BrPGIP2 and 70.1% with BnPGIP1. DNA walking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open reading frame of 972 bp, and the gene was named RsPGIP1. RsPGIP1 consisting with 323 amino acids (aa) has a high leucine content (54/323) and contains 10 leucine-rich repeat domains, as do most BrPGIPs of Chinese cabbage. The gene expression of RsPGIP1 was induced by abiotic stresses and methyl jasmonate. It showed enrichment in the stigma and the primary root than a leaf. Cloning RsPGIP1 will aid to further apply practices on postharvest quality maintenance and disease control of the root.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천춘진;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24-1230
    • /
    • 2014
  •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열무에서 분리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분리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from Raphanus sativus L.)

  • 이선주;홍진성;최장경;김은지;이긍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1-215
    • /
    • 2011
  • 모자이크증상을 나타내는 열무로부터 Cucumber mosaic virus의 한 계통을 분리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Vigna unguiculata,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Gomphrena globosa에서 분리 바이러스의 기주반응과 dsRNA 분석, RT-PCR 검정, PCR-RFLP, 혈청학적 분석을 통하여 CMV의 한 계통임을 확인하였다. 이 CMV 계통을 다양한 지표식물에 접종하였을 때, Nicotiana benthamiana와 N. glutinosa, N. tabacum, 고추, 오이 그리고 멜론에서는 전형적인 강한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났으나, 열무, 배추, 적갓은 매우 약한 병징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새롭게 분리된 CMV 계통은 가지과, 박과 및 배추과 등 광범위한 작물에 감염성을 나타내었으며, 배추과에서의 감염성 차이를 근거로 Gn-CMV로 명명하였다. Double-stranded (ds) RNA를 분리한 분석에서 Gn-CMV는 기 보고된 CMV 계통과 마찬가지로 3.3, 3.0, 그리고 2.2 kb의 독립된 게놈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SDS-PAGE와 Western blotting 분석으로 통하여 28 kDa의 외피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RT-PCR로 얻어진 증폭산물을 Cac8I, ClaI and MspI을 이용한 PCR-RFLP를 통하여 CMV subgroup I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