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k system

검색결과 672건 처리시간 0.026초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 (Bounded Rationality under Analysis of Relative Priorities on Multi-cultural Policy)

  • 정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17-326
    • /
    • 2018
  • 본 연구는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정책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AHP모델을 작성하여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영역에서는 안정된 사회정착지원정책(1순위),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2순위), 사회 경제활동 지원정책(3순위), 협력적 거버넌스(4순위)의 순으로 정책 우선순위가 평가되었다. 둘째, 측정요소의 우선순위이다. 안정된 사회정착 지원정책에서는 사회정착 서비스 대상 확대정책, 다문화 가족 2세들의 사회적 역량개발 정책에서는 사회적 진출지원 정책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사회 경제활동지원 정책에서는 적극적 경제활동 지원정책, 협력적 거버넌스 정책 추진에서는 정책실천주체들의 협력시스템 구축이 가장 중요한 정책 우선순위로 평가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을 현실적 차원에서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면접점수 표준화 방법 모의실험 비교 (Simulation comparison of standardization methods for interview scores)

  • 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189-19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면접점수 표준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절사평균 방법, 순위평균 방법 및 z-점수평균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고자 한다. 모의실험 기법은 피면 접자의 참값 점수와 이것과 독립적인 잡음 변수가 심사자의 전문성에 의해 가중평균 형태로 심사자의 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다시 말해 심사자의 전문성이 커지면 개인의 참값 점수에 가까운 심사자의 점수가 관측되고, 심사자의 전문성이 작아지면 참값 점수 대신에 잡음 변수에 더 가까운 심사자의 점수가 관측된다. 여기에 심사자의 성향편의가 더해져 심사자의 최종 평가점수가 관측된다고 가정한다. 이 모의실험에서는 각 표준화 방법에 의한 심사자의 평균점수와 참값의 순위상관 값을 계산하여 이 값이 큰 방법을 좋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값의 분포가 정규분포이면 z-점수평균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라플라스 분포이면 전체면접에서는 z-점수평균이 순위평균보다 다소 성능이 좋았으나 반분면접에서는 순위평균이 z-점수평균보다 다소 성능이 좋았다. 절사평균은 일반적으로 성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순회 외판원 문제에서 최악 경로를 고려한 개미 알고리즘 (The Ant Algorithm Considering the Worst Path in Traveling Salesman problems)

  • 이승관;이대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343-2348
    • /
    • 2008
  • 개미 알고리즘은 조합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메타 휴리스틱 탐색 방법으로, 그리디 탐색뿐만 아니라 긍정적 피드백을 사용한 모집단에 근거한 접근법으로 순회 판매원 문제를 풀기 위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본 논문은 개선된 $AS_{rank}$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AS_{rank}$ 알고리즘은 최적 경로로 구성될 가능성이 높은 경로에 대해서만 페로몬 갱신을 수행하고 최적 경로를 구성할 가능성이 낮은 경로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것을 고려해 본 논문에서는 최적 경로로 구성될 가능성이 낮은 경로(에이전트들이 구성한 경로 중 최악 경로)에 대해 페로몬을 증발시켜 다음 탐색 과정에서 해당 경로 탐색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 사이클에서 에이전트들이 해당 간선의 선택 확률을 줄여줌으로써 기존 ACS 알고리즘에 비해 평균 탐색 시간과 평균 반복 횟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백제 공복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ystem of Official Costume of Baekche)

  • 서미영
    • 복식
    • /
    • 제56권8호
    • /
    • pp.60-73
    • /
    • 2006
  • This study analyzes the Baekche official costume system, including the dress, cap and belt systems, by relating documentary records with the results of excavat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system differed depending on the time. A system of dress based on official ranks was instituted during the region of King Goi in the third century. The rap amd belt systems were begun in the first half of sixth century The official costume system, as recorded in the Chinese history $Sus{\u{o}}$, included many subdivisions of cap colors, which followed belt colors. According to $Gudangs{\u{o}}$, dress and cap systems changed in the seventh century. The official costume consisted of a $jacket(j{\u{o}}gori)$, trousers(baji), and coat(po). The coat had wide sleeves and reached below knees. Its collar had straight neckline. Officials of all rank wore silk caps and belts of matching colors. Officials above sixth rank used silver flower decorations on their caps. Officials wore wide-crouch trousers and generally adjusted the hems of the trousers, but this practice stopped in the sixth century. Officials wore shoes or boots depending on occasion. From a historical viewpoint, Baekche is important for having bee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establish a government organization. The salient feature of the system of organization established in A.D. 260(the twenty-seventh year of the region of King Goi) was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colors to identify different ranks.

PageRank 특징을 활용한 RDP기반 내부전파경로 탐지 및 SHAP를 이용한 설명가능한 시스템 (RDP-based Lateral Movement Detection using PageRank and Interpretable System using SHAP)

  • 윤지영;김동욱;신건윤;김상수;한명묵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1
    • /
    • 2021
  • 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사이버공격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공격들을 방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외부에서 다양한 방식의 탐지 시스템들이 활용되었으나 내부에서 공격자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연구는 현저히 드물어 내부에 들어온 공격자를 탐지하지 못해 큰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탐지하는 내부전파경로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그중에서도 Remote Desktop Protocol(RDP) 내 특징을 추출해 탐지하는 방식은 간편하면서도 매우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 연구들은 각 로그온 된 노드들 자체의 영향 및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제시된 특징 또한 일부 모델에서는 떨어지는 결과를 제공하기도 했다. 또한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 판단에 대해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존재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모델의 신뢰성 및 견고성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ageRank 특징을 활용한 RDP기반 내부전파경로 탐지 및 SHAP를 이용한 설명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페이지랭크 알고리즘과 여러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해 여러 모델에서 활용 가능한 특징들을 생성하고 SHAP을 활용해 모델 예측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 비해 대부분의 모델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특징을 생성했고 이를 SHAP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증명했다.

에너지 데이터의 순위상관계수 기반 건물 내 오작동 기기 탐지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of Energy Data for Identification of Abnormal Sensors in Buildings)

  • 김나언;정시현;장보연;김종권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4호
    • /
    • pp.417-422
    • /
    • 2017
  • 비정상행위 탐지는 데이터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정상 행위 모델을 만들어, 이 정상 모델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 가를 찾아내어 탐지하는 기법이다. 즉, 특정 기기가 생성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기의 오류를 탐지하거나 사회망 데이터에서의 사용자 행위 변화를 찾아내어 비정상행위를 탐지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순위 상관 계수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기기의 비정상적인 데이터를 탐지하고자 한다. 에너지 절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여러방법들이 제안되었다.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공조 시스템(HVAC)이 건물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을 통하여 에너지 소비의 문제점을 찾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조 시스템에 속한 각 기기간의 순위 관계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상 현상 탐지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며, 사회망 데이터 내에서의 비정상행위 탐지 가능성도 함께 제안한다.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거점평가지표 개발 및 특성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the Interchange Centrality Evaluation Index Using Network Analysis)

  • 김수현;박승태;우선희;이승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25-544
    • /
    • 2017
  • 빅데이터 시대에 발맞추어, 데이터에 기반한 실효성 있는 국토공간 개편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교통 데이터를 활용한 국토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교통 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 정리 혹은 보정하는 수준에만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여기서 더 나아가 데이터를 가공함으로써 국토공간에 존재하는 숨겨진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교통 데이터가 네트워크 구조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네트워크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국토공간에 존재하는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심지를 파악하기 위해 PageRank와 HITS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알고리즘의 거점 평가 지표로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TCS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순교통량과 비교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단순히 교통량에만 의지하여 제시되었던 중심지들을 더 세분화된 특성에 맞추어 파악할 수 있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찾은 중심지는 시간적, 기능적 특성을 세분화하여 담고 있으므로 경제권 내의 중심지를 판단하는 객관적인 근거로서 지역 거점 선정과 같은 정책적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 수계 백제보에서 어류의 종 특성 평가 및 생태평가모델 적용 (Fish Species Compositions and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Assessment Models to Bekjae Weir, Keum-River Watershed)

  • 문성대;한정호;안광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31-741
    • /
    • 2015
  • The objectives of study were to evaluate fish species compositions of trophic guilds and tolerance guilds and apply ecological fish assessment (EFA) models to Bekjae Weir, Keum-River Watershed. The EFA models were Stream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SIBI) used frequently for running water and Len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LEHA) used for assessments of stagnant water. The region of Bekjae Weir as a "four major river project" was originally a lotic ecosystem before the weir construction (2010, $B_{WC}$) but became more like lentic-lotic hybrid system after the construction (2011, $A_{WC}$). In the analysis of species composition and ecological bioindicator (fish), fish species with a preference of running water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p < 0.05), whereas the species with a preference of stagnant water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p < 0.05). After the weir construction, relative abundances of tolerant species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nsectivores decreased. This phenomenon indicated the changes of biotic compositions in the system by the weir construction. Applications of SIBI and LEHA models to the system showed that the two model values decreased at the same time after the weir construction ($A_{WC}$), and the region became more like lentic-lotic hybrid system, indicating the degradation of ecosystem health. The model values of SIBI were 19 and 16, respectively, in the BWC and AWC, and the health conditions were both "C-rank". In the mean time, the LEHA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values was 28 in the BWC and 24 in the AWC, thus the health was turned to be "B-Rank" in the BWC and "C-Rank" in the AWC. indicating a degradation of ecological heath after the weir construction.

Computer-Aided Decision Analysis for Improvement of System Reliability

  • Ohm, Tai-Won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91-102
    • /
    • 2000
  • Nowadays, every kind of system is changed so complex and enormous, it is necessary to assure system reliability, product liability and safety. Fault tree analysis(FTA) is a reliability/safety design analysis technique which starts from consideration of system failure effect, referred to as “top event”, and proceeds by determining how these can be caused by single or combined lower level failures or events. So in fault tree analysi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ombination of events which affect system failure. Minimal cut sets(MCS) and minimal path sets(MPS) are used in this process. FTA-I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which calculates MCS and MPS in terms of Gw-Basic computer language considering Fussell's algorithm. FTA-II computer program which analyzes importance and function cost of VE consists. of five programs as follows : (l) Structural importance of basic event, (2) Structural probability importance of basic event, (3) Structural criticality importance of basic event, (4) Cost-Failure importance of basic event, (5) VE function cost analysis for importance of basic event. In this study, a method of initiation such as failure, function and cost in FTA is suggested, and especially the priority rank which is calculated by computer-aided decision analysis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decision making determining the most important basic event under various conditions. Also the priority rank can be available for the case which selects system component in FMEA analysis.

  • PDF

명 홍무연간 문무관 공복의 제정과 개정 시기 재검토 (A Re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 Revision of Official's Gongbok During Emperor Hongwu's Reign of the Ming Dynasty)

  • 이주영
    • 복식
    • /
    • 제63권5호
    • /
    • pp.87-101
    • /
    • 2013
  • This paper researches the system of the official's gongbok(公服)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ongwu(洪武帝) in the Ming dynasty, and it is based on DaMingLing(大明令), DaMingJili(大明集禮), HongwuLizhi(洪武禮制), ZhusiZhizhang(諸司職掌), DaMingHuidian(大明 會典), MingTaizuShilu(明太祖實錄), and MingShi(明史). Official's gongbok is consisted of clothes, belt(帶), bokdu, scepter(笏), and black shoes. The system of official's gongbok wa schanged through three stages. First, the system of the Yuan dynasty(元代) was maintained in January, 1368, which was the first year of the emperor's reign. Second, the gongbok system was established in November, 1368. The system stated that the clothes had to be red-colored(赤色) regardless of rank and the belt was divided into okdai(玉帶), seodai (犀帶), gumdai(金帶), and kwangsoeundai (光素銀帶). Third, the system was revised in June, 1391, which was the 24th year of his reign. According to the rank, the clothing colors were divided into scarlet(緋色), blue(靑色), and green(綠色). The belt was divided into okdai, seodai, gumdai, and ogaggai(烏角帶). 'Hongmu26nyunjung(洪武26年定)' recorded on the Wanli's edition(萬曆本) of the DaMingHuidian has the meaning of ZhusiZhizhang reg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