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information source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방사선 탐지장치용 검출센서의 차폐체 및 Collimator 구조 분석 연구 (The Analysis of the Collimator & Radiation Shield for the Radiation Sensor for the 3Dimension Radiation Detection)

  • 황영관;이남호;박성훈;정상훈;김종열;최명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7-709
    • /
    • 2014
  • 핵폭발이나 원자력 발전시설 사고와 같이 대규모 방사선사고 발생 시 주변지역은 감응방사선 또는 방사선 낙진으로 인해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지역을 원격에서 탐지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분포 및 오염 정도를 확보한다면 오염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오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염 물질을 탐지하기 위한 스테레오 검출기 개발의 일환으로 MCNP코드를 이용하여 검출기의 차폐체 및 콜리메이터를 설계하고 교정된 감마선 조사시설을 통해 일정한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차폐체 및 콜리메이터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방사선 탐지를 위한 효율적인 검출기 구조를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A Source-Related Approach for Discussion on Using Radionuclide-Contaminated Materials in Post-accident Rehabilitation

  • Kazuji Miwa;Takeshi Iimot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68-76
    • /
    • 2023
  •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using radionuclide-contaminated soil and debris generated by radiation disasters, a strategy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protection while considering the source of the contaminated materials is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he radiological protection criteria that are likely to be applied to the source-relat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recommendations and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safety standards are summarized. We proposed five interpretations of radiation protection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using a part of low-level-radionuclide-contaminated soil and debris in the post-accident rehabilitation. Interpretations I to III are based on the idea of "using a reference level to protect the public in post-accident rehabilitation," whereas IV and V are based on the idea of "using the dose constraint to protect the public in the post-accident rehabilitation when the sources are handled in a planned activity." The former idea is subdivided into three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source, which is managed by the reference level, and the latter idea is divided into two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dditional dose from using contaminated materials is deemed acceptable. Results and Discussion: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five interpretations presented, we suggested the concrete values of protection criteria via two feasible cases. In this case study, we proposed radiation protection by the dose constraint based on the Interpretation IV and chose 1 mSv/yr for the public and 20 mSv/yr for workers dealing with radionuclide-contaminated materials. Conclusion: We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demonstrated how the concept of radiation protec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using radionuclide-contaminated materials within the framework of an international system of protection. This study's findings ca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using radionuclide-contaminated materials as an alternative option for recovery and reconstruction after a radiation disaster from the viewpoint of radiation protection.

방사선원 3차원 위치탐지를 위한 방사선 영상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Gamma-ray Camera)

  • 이남호;황영관;박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86-492
    • /
    • 2015
  • 방사선 영상장치는 방사능 누출사고의 조기처리 및 확산 피해 최소화에 필수적인 장비이며, 가까운 미래에 빅마켓으로 성장될 원전폐로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방사선 영상장치는 방사선 오염원의 위치를 방향 정보만으로 탐지하여 가시화하고 있고 방사선원의 거리 측정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원리를 적용하여 방사선원의 3차원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의 방사선 3차원 영상장치의 구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 대의 방사선 센서와 CCD 카메라, 그리고 팬틸의 컴팩트한 구성으로 설계된 방사선 3차원 영상장치(K3-RIS)는 위치변환 제어에 의한 스테레오 방사선 영상 취득과 연속모드 제어 및 고속 스테레오 영상정보처리 기능이 특징이다. 개발한 장치의 기능검증을 위해 감마 방사선원(Cs-137)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선원간의 거리와 무관하게 3% 이하의 거리측정 오차를 확인하였다.

다종 감마선 공간분포 측정을 위한 고감도 검출센서 및 탐지모듈 개발 (Development of High-Sensitivity Detection Sensor and Module for Spatial Distribution Measurement of Multi Gamma Sources)

  • 황영관;이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05-707
    • /
    • 2017
  • 스테레오기반의 공간방사선 탐지장치는 방사선원에 대한 공간분포정보 뿐만 아니라 탐지장치로부터 선원까지의 거리정보를 얻을 수 있어 기존 방사선 영상화 장치보다 선원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감마선원의 스펙트럼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고속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감도가 높은 고감도 검출센서가 필요하며 고선량에서의 포화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종 감마선 공간분포 측정을 위해 고감도 센서를 구성하고, 검출모듈의 기능을 개선하여 고선량에서의 포화상태를 해소함으로써 단일센서로 탐지범위 증대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스테레오기반의 감마선 탐지장치의 성능개선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 PDF

방사형식에 의한 미소균열의 파괴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rce Mechanism of Micro-crack by Radiation Pattern)

  • 이상은
    • 지질공학
    • /
    • 제16권2호
    • /
    • pp.179-187
    • /
    • 2006
  • 인공적인 슬릿을 형성한 모르타르와 노치를 형성한 화강암 시편이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전위이론을 토대로 방사형식에 의한 미소균열의 파괴 메커니즘이 변환기에 탐지된 종파의 초동, 모니터링을 위한 변환기의 위치와 최소자승법 적용에 의해 결정된 파괴원 위치 사이의 공간적인 분포에 의해 평가되었다. 해석결과 전위면의 방위는 육안으로 관찰된 시편의 균열방향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암석재료내 미소균열의 파괴 메커니즘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Awareness Patterns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Fields Related to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 Eunok Han;Yoonseok Cho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9-2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egulatory percep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The intent is to reduce the gap between regulation measures and addressing real concerns while improving practical safety management measures and regulations for all stakeholders. Materials and Methods: Radiation safety officers at a total of 244 reporting companies using radiation generators (79.8%) and sealed radioisotopes (15.1%)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and Discussion: The perception that regulation is stronger than the actual risk of the radiation source used was 3.47 points (out of 5 points), indicating a score above ave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considerations were education and training (48%) as a human factor, safety devices of the radiation source (71.3%) as a hazardous material factor, the use of radiation (50.8%) as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e radiation effect of nearby facilities (67.2%) as a physical environmen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experience (F= 5.030, p< 0.01), the group with high subjective knowledge (t= 6.017, p< 0.001), and the group with high objective knowledge (t= 1.989, p< 0.05) was found to be better a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cause each staff member has individu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ormation on how to solve radiation accidents via educational content. Applying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ased 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hown in this survey will help improve safety.

MCNP 기반 스테레오 방사선 검출기 콜리메이터 설계 및 선량검출효율 분석연구 (The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detection efficiency and the design of the radiation detector's collimator using MCNP)

  • 황영관;이남호;강기병;박종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7-1019
    • /
    • 2013
  • 핵폭발이나 원자력 발전시설 사고와 같이 대규모 방사선사고 발생 시 주변지역은 감응방사선 또는 방사선 낙진으로 인해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지역을 원격에서 탐지하여 오염물질에 대한 분포 및 오염 정도를 확보한다면 오염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오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염 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스테레오로 구성할 검출기 개발의 일환으로 MCNP코드를 이용하여 검출기의 차폐체 및 콜리메이터를 설계하고 임의 위치의 방사선원으로부터 검출되는 선량을 전산모사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방사선 탐지를 위한 효율적인 검출기 구조를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스테레오 감마선 탐지장치를 이용한 감마선원 분포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The Study Image Aquisition System for Radiation Source Using the Stereo Gamma-ray Detector)

  • 황영관;이남호;이승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4호
    • /
    • pp.197-203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전력생산을 위해 원전 증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후 원전에 대한 해체 및 원전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원전 사고 시 발생되는 감마선원의 누출은 신속하고 정확한 탐지해야 그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기 개발된 장비는 선원에 대한 방향정보만을 나타내고 있어 정확한 공간상의 분포를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스테레오 감마선탐지장치는 누출된 감마선원에 대한 분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거리탐지를 위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거리탐지를 위하여 스테레오 보정을 LED광과 보정패턴을 사용하여 진행하였고, LED 광원과 감마선원을 대상으로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두 실험에서 5%이하의 오차를 갖게 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고속 경량화 된 감마선 영상화 장치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운량을 고려한 국내 16개 지역의 일사량 예측방법 (A Study on the Solar Radiation Estimation of 16 Areas in Korea Using Cloud Cover)

  • 조덕기;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15-21
    • /
    • 2010
  • Radiation data are the best source of information for estimating average incident radiation. Lacking this or data from nearby locations of similar climate, it is possible to use empirical relation ships to estimate radiation from days of cloudines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in order to predict the daily global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There fore many different equations have proposed to evaluate them for certain areas. In this work a new correlation has been made to predict the solar radiation for 16 different areas over Korea by estimat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taking into account cloud cover. Particularly, the straight line regression model proposed shows reliable results for estimating the global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with monthly average deviation of -0.26 to +0.53% and each station annual average deviation of -1.61 to +1.7% from measured values.

LED 광원 크기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조명 성능 변화와 공차 특성 (Variation of Illumination Performance with Source Size and Tolerance Characteristics of Freeform LED Lenses)

  • 양재석;김대찬;오범환;박세근;유일현;이승걸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점광원을 기준으로 설계된 자유 형상 렌즈(freeform lens)의 조명 성능과 LED 광원 크기와의 관계 및 공차 특성을 살펴보았다. 비교를 위해 발산 조명 모델(divergent illumination model)을 적용한 두 가지 렌즈와 중첩 조명 모델(overlapped illumination model)을 적용한 한가지 렌즈를 설계하였다. LED 광원이 커짐에 따라 평균 조도에 비해 조도 균일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정렬 오차에 의한 성능 저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LED 광원의 방출 특성 변화는 LED 광원 크기에 관계없이 조명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발산 조명 모델로 설계된 렌즈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LED 방출 특성 변화에 대해서는 중첩 조명 모델로 설계된 렌즈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적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