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27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3초

In vitro Evidence that Purified Yeast Rad27 and Dna2 are not Stab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Suggests that an Additional Protein(s) is Required for a Complex Formation

  • Bae, Sung-Ho;Seo, Yeon-Soo
    • BMB Reports
    • /
    • 제33권2호
    • /
    • pp.155-161
    • /
    • 2000
  • The saccharomyces cerevisiae Rad27, a structure-specific endonuclease for the okazaski fragment maturation has been known to interact genetically and biochemically with Dna2, an essential enzyme for DNA replication. In an attempt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enzymes, we expressed and purified both Dna2 and Rad27 proteins. In this report, Rad27 could not form a complex with Dna2 in the three different analyses. The analyses included glycerol gradient sedimentation, protein-column chromatography, and coinfection of baculoviruses followed by affinity purification. This is in striking contrast to the previous results that used crude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proteins is not sufficiently stable or indirect, and thus requires an additional protein(s) in order for Rad27 and Dna2 to form a stable physical complex.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our genetic findings that Schizosaccharomyces pombe Dna2 i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several proteins that include two subunits of polymerase $\delta$, DNA ligase I, as well as Fen-1.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N-terminal modification of Rad27 abolished its enzymatic activity. Thus, as suspected, we found that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determination, N-terminal methionine inde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ucleolytic cleavage reaction.

  • PDF

JORDAN DERIVATIONS ON PRIME RINGS AND THEIR APPLICATIONS IN BANACH ALGEBRAS, II

  • Kim, Byung-Do
    • 충청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5-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at the noncommutative version of the Singer-Wermer Conjecture is affirmative under certain conditions. Let A be a noncommutative Banach algebra. We show that if there exists a continuous linear Jordan derivation D : A ${\rightarrow}$ A such that [D(x), x]$D(x)^3{\in}$ rad(A) for all $x{\in}A$, then D(A) ${\subseteq}$ rad(A).

BIO-RAD 정도관리 물질을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의 Acceptable Range 설정에 대한 제언 (Radioimmunoassay Using Quality Control Materials BIO-RAD of the Suggestions for Setting Acceptable Range)

  • 박희원;김태훈;노경운;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108-114
    • /
    • 2012
  • 면역측정법을 이용하는 검사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상업용 제3자 정도관리물질이 BIO-RAD사에서 제공하는 물질이다. 현재 BIO-RAD 정도관리 물질에 포함된 Reference Sheet에는 비방사면역측정을 이용한 검사방법과 검사장비별로 각 측정물질의 Acceptable Range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방사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측정kit나 기기에 대해서는 실무에 적용할 만한 Acceptable Range에 대한 언급이 다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방사면역측정검사에 대한 Acceptable Range를 설정하여 검사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 누적된 데이터를 제조사에 권고하여 발행되는 Reference Sheet에 기재하고자 한다. 본원에서는 2009년부터 부분적으로 BIO-RAD 정도관리 물질을 사용하여 2011년에는 일부 특정 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검사종목에 BIO-RAD 제 3자 정도관리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측정된 내부정도관리 데이터를 BIO-RAD사의 Unity Real Time program (version 1.0.9.27)을 이용하여 Acceptable Range를 설정하였다. BIO-RAD 정도관리 물질을 사용하는 약 50가지 검사종목의 20개 Point Data의 평균값, 표준편차, 변이계수를 구하여 측정kit별 Acceptable Range를 산출하였으며, 자동화 면역 측정기기인 Roche Elecsys/ E170/ cobas e Systems의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외부정도관리 프로그램과 같이 BIO-RAD 정도관리 물질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병원과 peer group을 설정하여 측정 kit별, 기기별 Acceptable Range를 제조사에 권고하여 Reference Sheet에 방사면역검사실에 적합한 Acceptable Range를 기재하여 검사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 국내외적으로 방사면역측정법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

Hed1 Promotes Meiotic Crossover Forma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Kong, Yoon-Ju;Joo, Jeong-Hwan;Kim, Keun Pil;Hong, Soog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405-411
    • /
    • 2017
  • Homologous recombination occurs between homologous chromosomes and is significantly involved in programmed double-strand break (DSB) repair. Activation of two recombinases, Rad51 and Dmc1, is essential for an interhomolog bias during meiosis. Rad51 participates in both mitotic and meiotic recombination, and its strand exchange activity is regulated by an inhibitory factor during meiosis. Thus, activities of Rad51 and Dmc1 are coordinated to promote homolog bias. It has been reported that Hed1, a meiosis-specific protein in budding yeast, regulates Rad51-dependent recombination activity. He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Hed1 in meiotic recombination by ectopic expression of the protein after pre-meiotic replica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DNA phys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expression of Hed1 delays the DSB-to-joint molecule (JM) transition and promotes interhomolog JM formation. The study indicates a possible role of Hed1 in controlling the strand exchange activity of Rad51 and, eventually, meiotic crossover formation.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발달성 언어장애아의 의사소통 의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MUNICATIVE INTENT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이경숙;이호분;신정현;노경선;임연화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07-216
    • /
    • 1997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향후 RAD라 칭함)집단과 발달성 언어장애(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향후 DLD라 칭함)집단을 대상으로 외관상 유사한 사회성 문제를 지니고 있으나,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의 시도라는 좀 더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의도에서는 집단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활 연령과 언어 연령으로 두 집단을 짝지어 의사소통 의도의 빈도와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유형 및 발달 단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DLD아동의 의도 표현 방법이 RAD아동보다 세련되고 정교화 되었음을 보여 주었으며,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두집단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내용을 살펴보았더니, DLD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행동 통제의 순으로, RAD아동은 행동 통제>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의 순으로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나타냄으로써, 주로 사용하는 의도의 내용 범주간에도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용한 의사소통 의도의 다양성 비교에서도 총 12가지의 의사소통 의도에서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더 다양한 수의 의사소통 의도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LD아동보다는 RAD아동에게서 의사소통의도로 잰 사회적 결함의 심각성이 더 드러났음을 알 수 있다.

  • PDF

2축 회전판형 UF 모듈의 Oil Emulsion 분리 특성 연구 (Study of Two-shaft Rotary Disc UF Module for the Separation of Oil Emulsion)

  • 김제우;노수홍
    • 멤브레인
    • /
    • 제6권4호
    • /
    • pp.219-22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2축 회전판형 한외여과막 모듈의 순수투과율 예측모델과 1% 절삭유의 분리특성 및 투과율 예측모델을 유도하였다. 2축 RDM은 한외여과막(UOP사, 직경 0.22m)을 씌운 같은 크기의 회전판막 20개를 장착한 후 막간격과 각속도($\omega$)에 따른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2축 RDM의 순수 투과율은 각속도가 41.89rad/s에서 9.95% 감소하여서 1축 RDM의 감소율 3.01%보다 높았다. 2축 RDM은 회전판막이 겹친 부분에서 난류의 발생으로 미끄럼 흐름에 의한 압력 강하는 $(2.5{\omega}r)^{2}$에 비례하였다. 회전판막 간격이 3mm인 $J/J_{o}$(절삭유의 투과율/순수 투과율)는 각속도가 31.42rad/s에서 2.62rad/s로 감소할 때 0.64에서 0.31로 감소하였고 간격이 7mm 일 때의 $J/J_{o}$는 0.64에서 0.27의 감소하여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1축 RDM에 사용된 투과율 예측모델식을 변형하여 유도된 2축 RDM의 모델식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5-Fluorouracil 투여가 마우스 공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조사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ation of Radiation with 5-Fluorouracil on Mouse Jejunal Crypt Cells)

  • 허승재;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87-93
    • /
    • 1985
  • 방사선조사와 5-Fluorouracil(5-FU)과의 병용시 5-FU투여로 인한 마우스 공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과 방사선조사 효과 증강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C_3H$마우스 110마리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용 세시움 방사선 조사기를 이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시행군은 $1,000{\sim}1,600rad$를, 5-FU와 병용군은 $800{\sim}1,400rad$의 방사선조사와 복강내 5-FU투여를 병용하였다.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은 조사 후 90시간 후에, 병용요법군은 120시간 후에 마우스 공장을 횡절단하여 마우스공장 소낭선 측정 법을 이용하여 평군치사선량과, 5-FU주입이 공장 소낭선세포 생존케 미치는 dose effect factor(DEF)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 방사선조사 분전 5-FU주입군, 방사선조사 6시간 후에 5-FU주입군의 평균치사선량(Do)은 각각 135, 135, 114rad였다. 2. 방사선조사 단독시행 군에 비하여 방사선조사 15분전 5-FU주입군과, 방사선조사 6시간 후에 5-FU주입군의 DEF는 각각 1.13, 1.27이였다.

  • PDF

자궁경암(子宮頸癌) 방사선치료(放射線治療)에 의한 직장손상(直腸損傷) (Rectal Injuries after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김정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권1호
    • /
    • pp.103-109
    • /
    • 1983
  • 47 out of 56 cases of intact uterine cervix cancer treated by radiation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were followed 18 months or more after treatment. (7 patients died before 18 months, 2 cases lost to follow-up). Age distribution reveal 5 cases in 30's, 18 cases in 40's, 17 cases in 50's, 7 cases in 60's. Histologically, all cases were squamous cell type except one case of adenocarcinoma. 1. 45 cases were treated by combined external Co-60 irradiation and intracavitary irradiation by Cs-137 small sources. 1 case was treated by external irradiation only, and 1 case by intracavitary only. 2. Rectal injuries were observed in 13 cased (27.6%), 4 cases in Grade 1, 8 cased in Grade 2 and 1 cases in Grade 3 which needed surgical management. 3. Average intervals of rectal injury following treatment was 9.2 months varying from 5 to 15 months. 4. Relation between rectal injury and point A dose reveal 6 cases between 7000-7999 rad and 6 cases between 8000-8999 rad and 1 case above 9000 rad. Even though there is no direct relation between point A dose and rectal injury, it is expected that rectal injury increases as point A dose increase. 5. In the normal condition, rectal injury can't be attributed to one major cause. Radiation dose, small source distribution, general condition of patients, local anatomy of the individual patient, history of PID and previous surgery, all play complex roles.

  • PDF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 간에서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이 단백질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tein and lipioperoxide on White Ginseng(WG) and Fermenta Ginseng(FG) Extracts on the liver in Mice that was irradiated by radiation)

  • 고인호;장재철;고정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3호
    • /
    • pp.43-50
    • /
    • 2004
  •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 간에서 백삼 및 발효인삼 추출물이 지질과산화, 단백질 함량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6 Mev Linac X선이 조사된 간에 대한 방사선 방호효과를 연구하기 위해서 실험동물을 생쥐 5마리를 1군으로 하여 대조군(Co), 방사선조사군(Rad), WGE+Rad투여군, FG+Rad투여군 등 총 4개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생쥐를 도살 16시간 전에 절식시킨 후 각 실험군을 경추탈구로 희생시킨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시료를 이용하여 각각 2주간 동안의 실험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방사선조사군(Rad)에서는 대조군(Co) 대비 MDA함량은 4시간, 1일, 7일째, 14일째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p<0.01)있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백삼(50 mg/kg/day)과 발효인삼 추출물(500 mg/kg/day)을 방사선 조사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각각 방사선조사군(Rad)대비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 투여군(WG+Rad, FG+Rad)은 1일째 WG+Rad투여군을 제외하고 4시간째, 7일째, 14일째에서 유의성 있게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SOD, CAT, GPX, Peroxidase의 항산화효소와 내인성 항산화 물질을 인삼추출물이 활성화시킴으로서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발효인삼은 모든 실험군에서 MDA함량을 감소시켜 지질과산화의 억제작용이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2. 방사선조사군(Rad)에서 단백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4시간, 1일, 7일째 계속 증가하고 특히,14일째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p<0.01)있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방사선조사군(Rad)대비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 투여군(WG+Rad, FG+Rad)은 4시간째, 1일째에서 FG+Rad투여군이 약간 증가하고 WG+Rad는 거의 함량이 비슷하였으며 7일째, 14일째에서 유의성(p<0.05)있게 함량이 FG+Rad투여군에서 감소하였고 WG+Rad는 거의 함량이 비슷하였다. 이는 방사선 조사에 대한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이 회복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가 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백삼과 발효인삼추출물은 방사선조사에 의해서 생긴 간세포의 장해에 대한 방호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인삼추출물의 성분이 항산화효소(SOD, catalase)의 활성도증가와 MDA함량의 감소 및 단백질 함량의 회복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 PDF

고강도강 내진성능 향상부재를 적용한 건물 성능 비교 (Examination of Seismic Performance for Structure with Seismic Members made by High Strength Steel)

  • 김문정;하태욱;조석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81-288
    • /
    • 2015
  • 댐퍼를 비롯한 대부분의 내진성능 향상 부재는 골조를 구성하는 주요구조부재가 소성상태에 진입한 다음 나타나는 층 강성 저하에 대한 대처가 없어 대지진 시 건물의 층 파괴를 방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논문은 건물의 주요부재가 탄성항복한 뒤에도 건물의 층 강성을 일정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고강도강 내진성능 향상부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1) 골조의 소성화 항복 후 저감된 수평내력을 보강하는 탄성 부재를 제안방식으로 설계 시 기존 면적을 방해하지 않는 작은 단면으로 최대 층간변형각 0.02rad 까지 내력 저감 보강 가능 (2) 제안 내진성능 향상부재의 최저 적용으로도 설계 레벨을 상회하는 거대 지진에서 과다변형집중방지에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