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OSA

Search Result 576, Processing Time 0.668 seconds

해당화의 채취 부위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different organs of Rosa rugosa Thunb)

  • 김명조;김주성;김기은;신국현;허권;조동하;박철호;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0-44
    • /
    • 2001
  •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beta}-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_{50}\;=\;0.5{\mu}g/ml$이하)와 줄기 $(RC_{50}\;=\;0.5{\m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sim}\;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beta}-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beta}-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 PDF

상표초, 백모근, 금앵자 추출물이 2K1C 고혈압 백서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Mantidis Ootheca, Rosa Laevigata, and Imperata Cylindrica on Blood Pressure in Renovascular Hypertension Induced by 2K1C)

  • 김혜윰;안유미;고민철;박지훈;이재윤;이수호;박승혁;김병숙;강대길;이윤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5-100
    • /
    • 2016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ypotensive effect of Mantidis ootheca (WMO), Rosa laevigata (WIC), and Imperata cylindrica (WRL) in renovascular hypertension rats. Experimental hypertension model is 2-kidney and 1-clip (2K1C) induced rats. 2K1C rats were treated with WMO, WIC, and WRL at dose of 100 mg/kg/day orally for 3 weeks, respectively. Treatment groups with WMO, WIC, and WRL significantly lowered blood pressure. Interestingly, WMO, WIC, and WRL ameliorated endothelium-dependent and independent vascular relaxation in the phenylephrine-precontracted thoracic aorta in hypertension models. In addition, 2K1C-induced hypertension model increased plasma renin activity, however, WMO, WIC, and WRL attenuated thos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MO, WIC, and WRL ameliorates vascular dysfunction in 2K1C-induced hypertension models via the regulation of nitric oxide and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다양한 식물배양세포주에서 자유라디칼 포착활성과 Ascorbate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scorbate Content in Various Plant Cell Lines)

  • AHN, Young-Ock;CHOI, Yong-Hwa;KWON, Seok-Yoon;LEE, Haeng-Soon;KIM, Suk-Won;PARK, Il-Hyun;KWAK, Sang-So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89-293
    • /
    • 1998
  • 다양한 유도조건에서 확립한 64종의 식물배양세포주의 MPA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활성이 높은 세포주를 대상으로 HPLC로 ascorb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13종의 세포주는 생체중 50mg 이하에서 DPPH 라디칼의 자연산화를 억제하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6종의 세포주의 MPA추출물을 실리카겔 TLC에 전개하여 DPPH용액을 분무한 결과, ascorbate와 같은 Rf 위치에서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존재하였다. DPPH 양성반응을 나타낸 덩굴장미(Rosa multiflora),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세포주의 ascorbate 함량($\mu\textrm{g}/g$ cell fresh wt)은 각각 48.5, 30.3, 16.8였다. 황금 캘러스 배양에서 ascorbate의 함량은 세포생장에 비례하여 정지기까지 증가한 후 계속적인 생장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

하천 제방 비탈면 녹화용 자생 지피식물의 종자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River bank)

  • 조용현;김은수;강희경;정용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15
    • /
    • 2012
  •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seed germination of the plants for greening of river bank slope, low-temperature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plant hormones treatment, and strat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eeds of 6 herbs growing naturally around river banks, such as Setaria glauca and faber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Lespedeza cuneata and the seeds of 3 shrubs, such as Lespedeza bicolor., Rosa multiflor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case of herbs, Setaria glauca and faberii. have stone seeds. In the treatment with $H_2SO_4$, they were germinated through dormancy breaking,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immersion time, and the germination rate of Setaria faberii was a bit higher than that of Setaria glauca. The germination rate of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as low in the treatment with $GA_3$, NAA, and the plant hormone,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has improved and the germination rate of Miscanthus sinensi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howed the improved seed germination rate in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case of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the leguminous plants, the treatment with $H_2SO_4$ was most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the decrease in germination time. Onl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rose among 3 woody plants showed the seed germination rate above 50%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 Thus, it was thought to be appropriate for greening. Rosa multiflora showed the attribute of germination in a dark condition at low temperature through stratification, despite its low germination rate. Based on the results as above, with respect to the greening using directly collected seeds,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are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they do not need any additional treatment, and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are also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reduce the germination time through the treatment on the seeds before sowing.

장미 삽목묘의 감마선 처리에 의한 화색 돌연변이체 유기 (Induction of Petal Color Mutants through Gamma Ray Irradiation in Rooted Cuttings of Rose)

  • 고갑천;김민자;강시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96-801
    • /
    • 2010
  • 이 연구는 감마선 처리에 의한 장미($Rosa$ $hybrida$ Hort.) 신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돌연변이 발생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장미 스피델라와 커버넷 두 품종에 감마선($^{60}Co$ 선원)을 선량별(0, 30, 50, 70, 90, 110, 130, 150, 170Gy)로 조사하여 돌연변이 유기에 적정한 선량과 변이의 발생 양상을 구명하였다. 약 50% 식물체가 고사하는 반치사($LD_{50}$) 선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스피델라'는 110Gy에서, '커버넷'은 150Gy이었다. 식물체의 50% 신초길이 감소 선량은 '스피델라'에서 70Gy 선량 정도 이었는데 비해 '커버넷'에서는 110Gy 선량에서 나타났다. 분홍색의 '스피델라'와 적색의 '커버넷'에 30-170Gy 선량의 감마선을 처리하여 다양한 색의 완전변이, 키메라, 모자익 꽃잎을 가진 변이체를 유기할 수 있었다. '스피델라' 에서 흰색, 상아색, 분홍색을 띤 상아색, 옅은 분홍색 그리고 진분홍색의 꽃잎을 가진 변이가 출현하였고, '커버넷'에서 분홍색, 진분홍색, 자홍색, 주황색, 그리고 진한 자색의 꽃잎을 가진 변이가 발생하였다. 돌연변이 유기를 위해서 식물체 생존율, 신초생장, 돌연변이 발생률을 고려할 때 '스피델라'는 70-90Gy, '커버넷'은 90-110Gy의 선량 처리가 적당하였다.

태안에서 서식하는 사구식물 4종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Kinds of Sand Dune Plants Living in Taean, Korea)

  • 김순석;차현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구식물인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해당화(Rosa rugosa)의 잎과 줄기의 methanol 추출물에서 측정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해당화(110.20 mg/g)가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순비기나무(38.07 mg/g)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조플라보노이드)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assay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총 폴리페놀 / 플라보노이드 함량 (TFC/TPC) 비와 항산화능, 두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FC/TPC 비율이 매우 높았던 순비기 나무의 잎과 줄기는 항산화능 실험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장 낮았던 해당화 잎이 DPPH, ABTS assay에서 가장 항산화능이 높았고, FRAP assay에서 모래지치 줄기가 가장 뛰어났다. 위 결과에서 항산화활성과 TFC/TPC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점을 확인하여 TFC/TPC의 값이 직접적으로 항산화능에 기여 한다고 판단된다.

아라키돈산과 철 유도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금앵자(金櫻子) 열수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능 (Water Extract of Rosa laevigata Michx. Protects Hepatocytes from Arachidonic Acid and Iron-mediated Oxidative Stress)

  • 고해리;제갈경환;송시연;김난이;강지원;변성희;김영우;조일제;김상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15
    • /
    • 2015
  • Objectives : Rosa laevigata Michx.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renal diseas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ytoprotective effect of R. laevigata water extract (RLE)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rachidonic acid (AA) + iron.Methods :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RLE against AA + iron-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 cell viability and changes on apoptosis-related proteins were assessed by MTT and immunoblot analyses. The effects of RLE on reduced glutathione level,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ere also monitored. Furthermore, to verify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NF-E2-related factor 2 (Nrf2) was examined by immunoblot analysis. Additionally, Nrf2 transactivation and its downstream target genes expression were also determined by reporter gene and realtime RT-PCR analyses.Results : RLE pretreatment (30-300 μg/ml) prevented cells from AA + iron-mediat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100 μg/ml RLE inhibited AA + iron-induced glutathione depletio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RLE accumulated nuclear Nrf2 and also transactivated Nrf2, which was evidenced by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2-driven luciferase activities and mRNA level of glutamate-cysteine ligase catalytic subunit,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 and sestrin 2. Moreover, protective effect of RLE against AA + iron was abolished in Nrf2 knockout cells.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LE has the ability to protect hepatocyte against oxidative stress through Nrf2 activation.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사재훈;이완;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16
    • /
    • 2004
  •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mu}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_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mu}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복숭아 과실에서 흰가루 증상 및 녹얼룩점 증상을 일으키는 Podosphaera pannosa (Podosphaera pannosa Causes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on Peach Fruits from Korea)

  • 신현동;조성은;최인영;서경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3-199
    • /
    • 2018
  • 1991년에 우리나라에서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var. persica) 과실에 흰가루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형태적 특징에 의거하여 Podosphaera pannosa로 동정되었다. 복숭아 과실이 P. pannosa에 감염된다는 사실은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알려져 왔다. 2011년에 Jankovics 등[11]은 세르비아 및 프랑스에서 채집한 10점의 시료를 연구하여 복숭아 과실의 '녹얼룩점(rusty spot)' 증상은 P. leucotricha에 의한 것이며, 천도(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과실의 '흰가루(powdery mildew)' 증상은 P. pannosa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에 발생한 흰가루병을 4점 채집하여 형태적 검경 및 분자적 분석을 통해 병원균의 정체를 밝혔다. 3점의 시료는 흰가루 증상, 1점의 시료는 녹얼룩점 증상을 나타냈다. 형태적으로는 4점 모두 P. pannosa로 동정되었다. 분자적으로는 2점의 시료에서 ITS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99% 이상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분자계통학적으로 동일한 클러스터에 소속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의 흰가루 증상과 녹얼룩점 증상은 모두 P. pannosa에 의해 발생됨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해당화 추출물의 주요물질 분석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from Rosa rugosa Extract)

  • 김준희;황윤선;박제훈;강민호;오예솔;김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41-846
    • /
    • 2022
  • 해당화로부터 초음파 추출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생산 및 이를 통한 화장품용 소재 발굴을 위해 HPLC와 HPLC-MS/MS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주요물질을 탐색하고 항산화 활성에 기반한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해당화 추출물의 HPLC 분석을 통해 해당화 추출물 내 갈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가 각각 17.4와 4.35 mg/g 포함됨을 확인하었으며 HPLC-MS/MS 분석을 통해 해당 물질이 해당화 추출물 내 주요물질임을 재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TPC, TFC와 RSA를 분석한 결과 72.3±1.5 mg GAE/g DM, 11.2±0.7 mg QE/g DM과 87.9±0.3%로 확인되었으며 HPLC 분석을 통해 확인된 갈산과 에피갈로카테킨이 해당화의 TPC와 TFC에 기여하는 주요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주요물질의 RSA를 측정한 결과 갈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가 해당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주요물질임이 재차 확인되었다. 따라서, 해당화 추출물이 우수한 생리활성 효능을 가지는 갈산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의 함량이 높고 이에 따른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함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확인됨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과 화장품 천연 항산화제소재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