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264.7 세포

검색결과 1,087건 처리시간 0.043초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대식세포 RAW 264.7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 (Glucosylation of Resveratrol Improves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the Viability of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라메스 프라시드 판데이;이지선;박용일;송재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26
    • /
    • 2017
  •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성질과 대식세포의 생존능력과 관련하여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에서 연구하였다. 인비토로에서 대식세포에서 총 4개의 레스베라트롤 및 당화된 유도체 (E)-resveratrol, (E)-resveratrol 3-O-${\beta}$-${\small{D}}$-glucoside (R-3-G), 및 (E)-resveratrol 4'-O-${\beta}$-${\small{D}}$-glucoside (R-4'-G)를 여러 가지 농도로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 (NO)와 인터루킨 6 (IL-6) 발현을 연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물질로 처리한 후 인비토로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도 연구하였다. 대식세포 생존능력 평가분석 결과를 보면, 두 개의 레스베라트롤 모노글루코사이드인 R-3-G와 R-4'-G은 (E)-resveratrol와 비교하여 A549 and HepG2 세포에서 50-80% 감소된 독성을 보여준다. 당이 없는 레스베라트롤과 비교하면, 당화된 레스베라트 유도체는 긍정적으로 전사적으로 IL-6 및 iNOS 발현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NO 및 대식세포에서 IL-6의 생산이 조절된다. 레스베라트롤의 당의 역할은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에 대한 한약조성물 KOCO-P1의 세포활성 연구 (Study on Biological Effect of Multi-Herbal Drug KOCO-Pl o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 박완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57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Effect of multi-herbal drug 'KOCO-P1' o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Methods : Multi-herbal drug 'KOCO-P1' was composed of Ginseng Radix, Astragali Radix, Polygonati Rhizoma, Liriopis Tuber, and Scrophulariae Radix. Cytotoxicity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K0C0-P1 was verificated by MTT assa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K0C0-P1 against EtOH, Nicotine was inspected by Hydroperoxide assay. Results : K0C0-P1 showed no cytotoxicity on RAW 264.7 cells for 24, 48, 72 hours. KOCO-P1 at 200, 100, and 50 ug/mL reduced the production of H202 in Raw 264.7 cells by EtOH. KOCO-P1 at 50 ug/mL reduced the production of H202 in Raw 264.7 cells by Nicotine. Conclusions : KOCO-P1 could be supposed to have antioxidative effect on macrophage with no cytotoxicity.

  • PDF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성체줄기세포 유래 엑소좀(exosome)의 면역 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 of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osom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정수경;박미정;이지현;변정수;구나연;조인수;차상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3-390
    • /
    • 2016
  • 본 연구는 대식세포에서 LPS를 이용하여 염증 유사 세포 모델을 만들고 염증 유사 대식세포 모델에서 성체줄기세포의 면역 조절 능력을 평가하였다. LPS 자극에 의해 증가된 IL-1β, TNF-α 및 IL-10의 생성은 성체줄기세포를 공배양한 실험군 뿐만 아니라 성체줄기세포를 배양한 상층 배양액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성체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염증 유사 대식세포 모델에 처리하여 유사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성체줄기세포 자체의 염증 억제 기능보다는 성체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여 성체줄기세포가 분비하는 bioactive molecules에 의해 세포 간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엑소좀은 염증 관련 질환 분야에 치료적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새로운 염증 치료제 개발의 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에 있어서 NO의 역할 (The role of nitric oxide as an effector of macrophage-mediated cytotoxicity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 박건채;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89-196
    • /
    • 1997
  •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가 질편모충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관찰하고자 질소 중간산물에 영향을 주는 약제를 첨가한 후 nitrite 생산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식세포로는 마우스(BAkBlc) 복강 대식세포와 마우스 복강 내 종양세포인 RAW264.7 세포로 LPS(lipopolysaccharide)나 $rIFN-{\gamma}$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독성의 측정을 위해서 질편모충을 methyl-[$^3H$]-thymidine으로 표지하였고 NO의 측정은 Griess reagent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는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RAW264.7 세포는 $rIFN-{\gamma}$ 또는 $rIFN-{\gamma}$ 및 LPS로 활성화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독성 및 nitrite 생산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S로 활성화시킨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와 $rIFN-{\gamma}$로 활성화시킨 RAW264.7 세포에 NO 생산에 영향을 주는 NG-monomethyl-L-arginine(L-NMMA), NC-nitro-L-arginine methyl ester(NAME), arginase를 첨가하였을 때 약제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 생산이 감소하였다. NO synthase coractor인 tetrahydrobiopterin($H_4B$)을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넣었을 때 질편모충 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하였다. Ferrous sulfate를 두 종류의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과 nitrite생산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을 종합하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따라 NO 생산 및 세포독성이 증가하였고. NO 생산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은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 및 RAW264.7 세포에 의한 질편모충에 대한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아 NO는 질편모충에 대한 대식세포의 숙주 방어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DNA array를 이용한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탐색 (IDENTIFICATION OF GENES INVOLVED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CDNA ARRAY ANALYSES)

  • 조영준;이장희;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8-284
    • /
    • 2002
  • RAW 264.7과 이것이 분화한 파골세포양 세포에서 파골세포 분화관련유전자의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cDNA array 방법을 사용하였다. 1176 cDNA spot grid가 있는 Mouse Atlas cDNA array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역전사 효소 중합반응 검사를 시행하였다. cDNA array 결과 6개의 유전자가 2.5% 이상 발현이 증가하였으며(PKC beta II, POMC, PTEN 등), 16개의 유전자가 2.5%이상 발현이 감소하였다(Osteopontin, Cyclin D1, Cathepsin C, PTMA 등). PKC beta II 유전자의 역전사-효소 중합 반응검사결과 이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파골세포 분화 결과 RAW 264.7세포주에 비해 파골세포양 세포에서 PKC beta II 유전자의 발현이 많았다.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는 RAW 264.7 세포주와 이것이 분화된 파골세포양 세포와 차이를 보였고, 이 유전자의 발현증가와 RAW 264.7 세포주의 파골세포 분화와 연관을 보였다.

  • PDF

5종의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및 표피세포 증식 활성 (Anti-inflammatory and Cellular Proliferation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Kinds of Oriental Medical Plants)

  • 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22-1029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5종의 한약재인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창포(Acorus calamus L.), 지치(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 창이자(Xanthium strumarium L.), 인동초(Lonicera japonica)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창이자는 RAW264.7 세포에 100, $2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냈고(p<0.05), 창포는 RAW264.7 세포에 $2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냈다(p<0.05). 다른 한약재들은 RAW264.7 세포에 $200{\mu}g/ml$ 농도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5종의 한약재 추출물들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수오, 창포, 창이자, 인동초는 LPS 유도된 RAW264.7세포에서 NO 생산과 $PGE_2$생산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효과를 보였다. 특히, 창이자는 $52.9{\mu}g/ml$ ($IC_{50}$)로 가장 뛰어난 NO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50{\mu}g/ml$ 농도 구간에서 가장 뛰어난 $PGE_2$ 생성 저해능을 나타냈다(73.6%). 창포와 지치는 HaCaT 세포에 대하여 세포가 증식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지치는 $100{\mu}g/ml$ 농도구간에서 1, 3, 5일 배양 시 21.1, 53.5, 99.6%의 증식능을 보였다. 창포 또한 $10{\mu}g/ml$ 농도구간에서 1, 3일 배양 시 11.2, 26.0%의 증식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5종의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HaCaT 세포 재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독활기생탕가미방(獨活寄生湯加味方)이 파골세포 분화 억제와 조골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khwalgisaengtang-gami Water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blast Function in RANKL-induced RAW 264.7 Cell)

  • 제윤모;유동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6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okhwalgisaengtang-gami water extract(DGG) on osteoporosis. Methods: The osteoclastogenesis and gene expression were determined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And osteoblastogenesis was also determined in rat calvarial cell.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es. 1. DGG decreased the number of TRAP positive cell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2. DGG inhibited TRAP activity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3. DG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AFTc1, MITF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4. DG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NOS, COX-2, IL-6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5. DGG decreased the expression of cathepsin K, MMP-9, TRAP in RANKL-stimulated RAW 264.7 cell. 6. DGG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of rat calvarial cell. 7. DGG increased ALP activity in rat calvarial cell 8. DGG increased bone matrix protein, collagen synthesis and nodule formation in rat calvarial cell.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DGG might decrease the bone resorption resulted from decrease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it's related gene expression. And DGG might increase the bone formation resulted from increase of osteoblast function.

종자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면역증강 효과 (Immuno-enhancing Effect of Seed Extracts on a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 유아름;박호영;김윤숙;하상근;홍희도;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1-1676
    • /
    • 2012
  • 9 종류의 종자 중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NO 생성능이 높은 메밀, 민들레, 봉선화, 해바라기 4종의 종자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4종의 종자 추출물이 RAW 264.7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AW 264.7 세포와 T세포를 이용하여 면역 활성능 관련 지표를 조사하였다. 4종의 종자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면역 활성의 지표가 되는 NO, cytokine(TNF-${\alpha}$, IL-$1{\beta}$, IL-6, IL-10)의 생성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Molt-4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가 증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자 추출물을 섭취하였을 때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자극이 있기 이전에 체내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cytokine 등의 면역매개물질을 생성하여 인체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원을 공격,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통해 자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에서 길경을 함유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골다공증 효과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Mixed Herbal Extract Involving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in Osteoblastic MC3T3-E1 and Osteoclastic RAW 264.7 Cells)

  • 정재인;이현숙;김형준;김용민;김수현;유동진;김은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5
    • /
    • 2018
  • 목 적: 본 연구는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 root)를 함유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ExMH-PGR)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C3T3-E1 조골세포주와 RAW 264.7 파골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방 법: 배양액에 다양한 농도의 ExMH-PGR를 첨가하여 MC3T3-E1 세포와 RAW 264.7 세포의 세포증식을 비교하였다. MC3T3-E1 세포에서 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콜라겐 합성, 오스테올칼신 생성, 무기질 축적을 분석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ExMH-PGR는 $25{\mu}g/mL$ 농도까지 유의한 수준으로 ALP 활성, 콜라겐 합성, 그리고 오스테올칼신 형성을 증가시켰다. $50{\sim}200{\mu}g/mL$의 ExMH-PGR은 TRAP 활성과 actin ring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결 론: ExMH-PGR은 조골세포의 활성을 촉진하고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 대식세포에서 L-AHG에 의한 M1 분극화 및 친염증 신호 경로의 억제 (L-AHG-mediated Suppression of M1 Polarization and Pro-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 장원영;박신영;김기윤;전도연;배영석;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443-452
    • /
    • 2024
  • 아가로오스의 효소가수분해산물로 부터 확보할 수 있는 3,6-무수갈락토오스(L-AHG), 네오아가로비오스(NA2), 네오아가로테트라오스(NA4) 및 네오아가로헥사오즈(NA6)의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를 대장균 유래 지질다당류(LPS)로 자극할 때 세포표면의 TLR4 수용체의 역할을 통해 유도되는 친염증성 M1 분극화 및 이에 따른 친염증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서, 이들 아가로오스 분해산물들 중에서 단당류인 L-AHG만이 유일하게, LPS 자극에 의해 RAW264.7 세포에서 유도될 수 있는 M1 분극화의 대표적인 마커인 iNOS 효소의 발현과 이에 따른 NO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저해하였고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을 촉매하는 COX-2의 발현 수준도 LPS 자극후에는 증가하였지만, L-AHG의 존재에 의해서는 그 증가 수치가 다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RAW264.7 세포에 대한 L-AHG의 세포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L-AHG는 LPS로 처리된 RAW264.7 세포내에서 유도되는 친염증 신호전달경로에 있어서 초기 신호전달 단계인 TAK1 활성화 단계까지는 별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TAK1의 촉매작용에 의한 JNK 및 p38 MAPK의 활성화 인산화(activating phosphorylation)는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특히, 대식세포의 친염증 신호전달경로에서 TAK1 활성화는, 그 하류 단계에서 NF-kB의 활성화가 성공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TAK1에 의한 하류 신호분자인 p38 MAPK 활성화는 NADPH 활성화 및 이에 따른 친염증성 ROS 분자들의 생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LPS에 의해 자극된 대식세포내의 친염증 신호전달경로에 있어서 TAK1-JNK/p38 MAPK 경로의 L-AHG에 의한 저해는 대식세포의 M1 분극화 및 친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기전이 되며, 그 활용성이 크게 기대된다. 아울러 L-AHG가 LPS와 RAW264.7 세포의 표면분자인 TLR4와 상호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유세포분석기와 형광표지가 된 FITC-LPS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L-AHG는 대식세포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LPS-TLR4 상호결합은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L-AHG의 항염증 작용의 표적이 LPS가 TLR4 수용체를 통해 유도하는 세포 내 신호전달경로에 있음을 지지해 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아가로오스 유래 희귀 단당류인 3,6-무수갈락토오스(L-AHG)가 LPS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RAW264.7 마우스 대식세포의 M1 분극화 및 염증 반응에 대해, TLR4의 친염증 신호전달경로의 TAK1-JNK/p38 MAPK 단계를 저해하는 항염증 활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