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세포

검색결과 1,245건 처리시간 0.023초

금은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세포 보호효과 및 유전자 발현 양상 (Cytoprotective Effect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bserved Based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 조원준;윤희승;김용현;김정민;유일재;한만덕;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989-997
    • /
    • 2013
  • 금은화의 메탄올 추출에 의한 유기 용매별 분획에서 항산화 효과를 근거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H_2O_2$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와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용매별 분획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_{50}$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39.56{\mu}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H_2O_2$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세포사멸(($IC_{50}$)에 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과, $100{\mu}g/ml$의 농도에서 82.49%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IC_{50}$$H_2O_2$ 독성에 대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Raw 264.7 세포보호 효과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패턴은 BHA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관련 유전자군의 비교 분석에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과 BHA는 매우 유사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였으나, 세포 내 주요 항산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 중 하나인 heme oxygenase 1 (Hmox1)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4 배 이상 증가하였다. 항염증 관련 유전자군의 비교에서는 T-box transcription factor (Tbx21)가 BHA 처리군에서는 2 배 감소하였으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약 2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과 청국균으로 발효시킨 용안육의 항산화, 항암효과 및 일산화질소생성 (Antioxidant, Anticancer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Euphoria longana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subtilis)

  • 손미예;남상해;이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1-537
    • /
    • 2007
  • 태국산과 베트남산의 용안육 원료 및 그 발효물의 전자공여능, 일산화질소(NO) 생성효과, 인체암 세포주인 자궁경부암세포(HeLa) 및 간암세포(HepG2)의 항암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원료 용안육의 총 유기산은 태국산 용안육(473.49 mg/g)이 베트남산(148.48 mg/g) 용안육에 비하여 3.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전체 유기산의 각각 89.2%와 86.8%를 나타내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formic acid와 malic acid였다. 원료 용안육의 총 유리당은 베트남산(434.63 mg/g)이 태국산(378.77 mg/g)에 비하여 1.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주요한 유리당은 sucrose, glucose와 fructose였다. 단핵세포 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 발효용안육의 NO 생성은 베트남산이 태국산에 비하여 약간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원료 용안육과 비교하면 고농도 보다 저농도 추출물 첨가에서 그 함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원료 용안육의 추출물 $600\;{\mu}g$에서 전자공여능은 베트남산이 $41.72{\pm}3.59%$로 태국산 $30.20{\pm}4.8%$에 비하여 1.4배 높았으며, 발효 용안육의 전자공여능은 B. subtilis로 발효시킨 베트남산 용안육의 추출물 $600\;{\mu}g$에서 $43.57{\pm}2.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료 용안육의 자궁경부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은 베트남산이 태국산 용안육보다 대체로 비슷하였지만, 간암세포의 경우는 태국산 용안육 추출물 $200\;{\mu}g$ 농도에서 저해율이 $46.13{\pm}4.80%$로 베트남산 $33.07{\pm}0.92%$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발효 용안육의 자궁경부암세포 및 간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은 각각 B. subtilis로 발효시킨 베트남산 및 태국산 용안육 추출물 $200\;{\mu}g$에서 저해율 $39.21{\pm}1.46%$$48.07{\pm}1.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aw264.7 cells에서 바이칼린 함유 황금열수 추출물의 면역계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Hot Water Extracts Containing Baicalin on Modulation of the Immune System in Raw264.7 Cells)

  • 박혜정;김상민;권현주;이현태;김병우;김태훈;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9-226
    • /
    • 2014
  • 체내 면역시스템은 내부의 돌연변이 세포에 의하여 발생된 암 뿐만 아니라 세균감염에 의하여 기인된 여러질환으로 부터 우리의 몸을 보호한다. 하지만 노화됨에 따라 비정상적인 면역시스템은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을 유발시킨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효능성분으로 바이칼린을 함유한 황금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먼저 HPLC 분석에서 SBWE는 42.2 mg/g의 바이칼린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Raw264.7 세포에서 황금열수추출물(SBWE)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SBWE는 160 ${\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발생하는 nitric oxide 소거능 효과를 조사해 본 결과 40 ${\mu}g/ml$의 농도에서 SBWE는 4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SBWE는 zymosan으로 자극된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도 억제 하였다. 더욱이 SBWE는 농도에 비례하여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TNF{\alpha}$함량을 감소시켰다. SBWE는 또한 시간경과 실험에서 인터류킨 베타($IL-1{\bet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더욱이 cyclooxynase-2의 발현수준은 20 ${\mu}g/ml$의 SBWE 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이상의 연구결과는 황금 열수 추출물이 면역조절을 통해 항염증을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하나의 증거를 제공한다.

인삼열매로부터 분리한 Rhamnogalacturonan II 다당의 면역활성과 세포 내 신호전달 기작 규명 (Immunostimulatory activity and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of a rhamnogalcaturonan II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inseng berry)

  • 차하영;손승우;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22-730
    • /
    • 2021
  • 본 연구는 인삼열매로부터 RG-II 형태의 다당(GBW-II)을 분리하고 대식세포 활성화에 대한 세포 내 신호전달의 세부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GBW-II의 구성당을 확인한 결과, 전형적인 RG-II의 구성당인 2-methyl-xylose, apiose, aceric acid, KDO 및 DHA와 같은 특이 구성당을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BW-II는 대식세포 유래 세포주인 RAW 264.7 cell에 처리하였을 경우, 어떠한 세포 독성도 확인되지 않았으나 IL-6와 TNF-α와 같은 cytokine의 분비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GBW-II는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된 TLR2, TLR4 및 SR에 결합하여 MAPKs (p38, ERK) 및 NF-κB를 경유하여 IL-6와 TNF-α와 같은 cytokine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한편, RG-I, RG-II, β-glucan, arabinoxylan 및 xyloglucan과 같은 식물체 유래 고분자 다당체의 약리활성은 그들의 구조적 차이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을 위해서는 활성물질의 미세구조에 대한 해명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추후 연구에서 효소적 및 화학적 가수분해, methylation, sequencing 등을 이용하여 인삼열매 유래 정제 다당 GBW-II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

RAW 264.7 세포에서 담배잎산말의 TLR4/MAPKs/NF-κB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Desmarestia tabacoides Amelior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Attenuated TLR4/MAPKs/NF-κB Signaling Cascade in RAW264.7 Cells)

  • 윤현서;안현;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3-470
    • /
    • 2023
  • Desmarestia tabacoides Okamur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갈조류 중 하나이다. 몇몇 산말류의 항종양, 멜라닌 생성 억제 및 광보호 활성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D. tabacoides Okamura의 항염증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D. tabacoides Okamura 에탄올 추출물(DTEE)의 항염증 기전을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및 이들의 상위신호전달물질인 nuclear factor (NF)-κ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그리고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조절 정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DTEE의 처리는 세포 독성 없이 LPS로 유도된 NO와 prostaglandin (PG) E2의 생성과 이들의 생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에 의해 활성화된 NF-κB 및 상위 신호 전달 물질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 및 p38은 DTE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DTEE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활성화되는 adaptor molecule인 Toll-like receptor (TLR) 4 및 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MyD) 88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DTEE는 LPS에 의해 유도된 TLR4와 NF-κ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이는 DTEE가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한 마우스에서 청기해독탕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GT in atopic dermatitis model mice)

  • 승윤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361-368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CGT의 항염증과 관련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In-vitro 실험에서 MTT, NO, ROS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 실험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In-vivo 실험은 아토피피부염 동물 모델인 NC/Nga 생쥐에서 항염증과 관련한 인자 및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CGT는 RAW 264.7 세포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LPS를 이용한 NO와 ROS의 검사에서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CGT 처치 그룹은 혈청 내 IL-$1{\beta}$와 IL-6, TNF-흰 에서 53%, 43%, 57%의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고, IgE 역시 56%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피부에 지방세포의 침윤을 억제하고, 표피 및 진피의 두께 역시 감소하였다. 그 결과 CGT는 NC/Nga 생쥐에서 항염증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GT는 아토피피부염과 염증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고량강으로부터 분리된 galangin의 RAW 264.7 세포주에서 LPS로 유도된 nitric oxide 생성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 of Galangin from Alpinia officinarum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Synthesis in RAW 264.7 macrophages)

  • 이화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11-515
    • /
    • 2014
  • 각종 염증성 질환 및 패혈증으로 인한 치명적인 저혈압을 예방치료하는 약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유도성 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에 의한 NO의 과다 생성을 저해하는 성분을 천연물로부터 찾아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NO 생성 저해활성의 검정은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LPS로 활성화한 후, 유도되는 i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를 Griess 시약을 이용해 $NO_2{^-}$의 형태로 정량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실험 및 RT-PCR 실험을 시행하여 iNOS의 mRNA의 발현 및 단백 합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 Zingiberaceae)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시행하여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분광학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단일성분이 flavonol 구조인 3,5,7-trihydroxy-2-phenylchromen-4-one (galangin, GLG)임을 확인하였다.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 및 RT-PCR 실험결과, 분리한 flavonol 성분(GLG)의 NO 생성저해 활성은 iNOS mRNA발현을 저해하여 iNOS 효소 단백질의 생성이 억제됨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량강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flavonol 화합물(GLG)이 iNOS 발현의 억제를 통해 다량의 NO 생산을 저해함으로써, 고량강(Alpinia officinarum)의 NO 과량생성과 관련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응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Spinach Extract on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 김동규;김미혜;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2-539
    • /
    • 2015
  •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시금치 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RANKL을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세포독성, TRAP(+) 다핵세포의 형성, 파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그리고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물과 25, 50, 75 및 100% 에탄올 시금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이 $100{\mu}g/mL$ 이하의 농도에서 RAW264.7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TRAP 염색을 통해 TRAP(+) 다핵세포의 수와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분화 억제 및 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있었다. 특히 $100{\mu}g/mL$ 농도의 100% 에탄올 추출물은 RANKL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해 80%의 유의한 TRAP(+) 다핵세포 숫자 감소와 44%의 TRAP 효소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의 지표가 되는 관련유전자인 NFAT, c-FOS, cathepsin K 및 TRAP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또한 단백질 수준에서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RANKL에 의해 증가된 NFATc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c-FOS의 활성화 형태인 인산화된 c-FOS의 발현뿐만 아니라 인산화되지 않은 비활성의 c-FOS 발현도 감소시켰다. 반면 파골세포의 분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MAPK 중 ERK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시금치 에탄올 추출물은 c-FOS의 활성, 비활성형 전체를 감소시킴으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PS로 자극한 RAW264.7 대식세포주에서 회향 추출물에 의한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 억제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by Foeniculum vulgare fruit extract)

  • 최은미;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5-510
    • /
    • 2004
  • 이물질 침입에 대한 인식의 결과 NO, PGE$_2$, TNF-, IL-6와 같은 여러 신호전달물질의 분비가 개시되며 이들을 억제하는 물질을 항염증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향(Foeniculum vulgare Mill.) 열매 추출물이 mouse macrophages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한 NO(iNOS 산물), PGE$_2$(COX-2 산물) 및 cytokines (TNF-$\alpha$, IL-6)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회향 열매의 m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chloroform, butanol, and aqueous fractions)은 4~100$\mu$g/mL 농도에서 LPS가 활성화된 대식 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LPS가 유도한 PGE$_2$ 생성은 butanol 분획(100 $\mu$g/mL)에 의해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회향 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은 TNF-$\alpha$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IL-6의 생성은 methanol extract(4~100 $\mu$g/mL), chloroform fraction(4 $\mu$g/mL), butanol fraction(4 and 100$\mu$g/mL) 및 aqueous fraction(4~100 $\mu$g/mL)에 의해 감소되었다(P<0.05). 이는 회향 열매 추출물은 염증 상태에서 유용할 것이며 COX-2와 iNOS를 억제하는 butanol 분획은 새로운 항염증제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가 RAW264.7세포에서의 nitric oxide의 생성과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duc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 백은영;최은영;최점일;이주연;김성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1081-1095
    • /
    • 2005
  • 본 연구는 치주질환 주요 병인균주 중의 하나인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가 마우스 대식 세포주인 RAW264.7 세포에서의 nitric oxide의 생성과 iNO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Butanol추출법과 phenol-water법에 의해 P. gingivalis 381로부터 세균내독소를 추출하였으며, NO의 생성은 배양 상층액 내의 nitrite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iNOS의 western blot 분석과 reverse transcription (RT)-PCR 산물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P. gingivalis의 세균내독소는 부가적인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도 iNOS의 발현과 NO 생성을 유발하였으며, NF- ${\kappa}B$, microtubule polymerization, protein tyrosine kinase, 그리고 protein kinase C 등이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에 간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에는 L-arginine이 요구되었다. P. gingivalis 세균내독소에 의한 NO 생성은 염증성 치주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