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 marker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3초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Compositae) by RAPD analysis

  • Kim, Jung-Hyun;Kim, Dong-Kap;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2-247
    • /
    • 2009
  •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performed to define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of Artemisia capillaris. Fifteen populations by the distributions and habitat were collected to conduct RAPD analysis. RAPD markers were observed mainly between 300bp and 1600bp. Total 72 scorable markers from 7 primers were applied to generate the genetic matrix, and 69 bands were polymorphic and only 3 bands were monomorphic. The genetic dissimilarity matrix by Nei's genetic distance (1972) and UPGMA phenogram were produced from the data matrix. Popula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were clustered with high genetic affinities and cluster patterns were correlated with distributional patterns. Two big groups were clustered as southern area group and middle area group. The closest OTUs were GW2 and GG1 in middle area group, and GB1 from southern area group was clustered with OTUs in middle area group. RAPD data was useful to define the genetic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A. capillaris.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Panax Species by RAPD Analysis

  • Shim, Young-Hun;Choi, Jung-Ho;Park, Chan-Dong;Lim, Chul-Joo;Cho, Jung-Hee;Kim, Hong-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01-605
    • /
    • 2003
  • Traditional taxonomic method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insengs rely primarily on morphological observations or physiochemical methods, which cannot be used efficiently when only powdered forms or shredded material is available.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used to determine the unique DNA profiles that are characteristic not only of the genus Panax but also of various Panax subgroups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countries. RAPD results of OP-5A primer showed a specific single band that is characteristic of all ginseng samples. RAPD results of OP-13B primer demonstrated that OP-13B primer could be used as a unique RAPD marker to differentiate Panax specie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is approach could be applied to distinguish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from others at the molecular level.

RAPD 분석을 이용한 전복류의 유전적 차이 및 유연관계 (Genetic Divergence and Relationship among Abalone Species by RAPD Analysis)

  • 박철지;김현철;노재구;이정호;명정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6-350
    • /
    • 2008
  • Haliotis속 전복류 내에서 종간의 유전적 차이 및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유전표식으로 RAPD를 사용하여 그 유용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북반구 2종(H. discus hannai와 H. rufescens)과 남반구 2종(H. rubra와 H. midae)을 대상으로 RAPD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RAPD는 Haliotis 종간의 구분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유전표식으로 평가되었으나, 유전적 유연관계에 있어서는 형태학적 및 지리학적 분포에 따른 유연관계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Evaluation of ISSR and RAPD Markers for the Detection of Genetic Diversity in Mulberry (Morus spp.)

  • Venkateswarlu, M.;Nath, B.Surendra;Saratchandra, B.;Urs, S.Raj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2호
    • /
    • pp.207-215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ISSR and RAPD markers for their efficiency as genetic marker system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between 18 mulberry genotypes. A total of 36 from 56 (64%) RAPD primers and 12 from 48 (25%) ISSR primers produced reproducible amplification patterns. A high proportion of polymorphic bands ranging from 44 to 91% was observed respectively with RAPD and ISSR markers. The average Resolving Power (Rp) of ISSR primers was higher than RAPD primers. The ISSR primers, UBC 825, 868 and 873, and RAPD primers, UBC 712, 720 and 729, possessed the highest Rp values and could in each instance distinguish all the 18 genotypes. Similarity matrix values were estimated based on Jaccards coefficient, considering 109 polymorphic ISSR and 212 polymorphic RAPD bands and two dendrograms were constructed. The dendrograms obtained with ISSR and RAPD markers distinguished the eight exotic genotypes from the ten indigenous (Indian) genotypes. A significant correlation value (r=0.959; p=0.001) for the cophenetic matrix between the RAPD and ISSR matrices was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SR and RAPD markers could assist in the differentiation of genotypes and permit the determination of genetic distances that might be exploited by mulberry breeders in improvement programs.

오미자 (五味子) 종 감별을 위한 RAPD 유래 SCAR Marker 및 Multiplex-PCR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PD-Derived SCAR Markers and Multiplex-PCR for Authentication of the Schisandrae Fructus)

  • 이영미;문병철;지윤의;서형석;김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5-173
    • /
    • 2013
  •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have been used as an edible ingredient and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Due to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dried mature fruits,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S. chinensis from other closely related Schisandrae species is very difficult. Therefore, molecular biological tools based on genetic analysis are required to identify authentic Schisandrae Fructus. Random amplifed polymorphic DNA (RAPD) and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were used to develop an easy, reliable and reproducible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of these four speci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several RAPD-derived species specific SCAR markers and established a multiplex-PCR condition suitable to discriminate each species. These genetic markers will be useful to distinguish and authenticate Schisandrae Fructus and four medicinal plants, S. chinensis, S. sphenanthera, S. repanda and K. japonica, in species level.

RAPD 마커를 이용한 무의 유전자지도 작성 (Construction of a Genetic Linkage Map in Radish(Raphanus sativus L.) Using RAPD Markers)

  • 안춘희;최수련;임용표;정해준;예병우;윤화모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51-159
    • /
    • 2002
  • 작물의 신품종 육성 과정에 있어서 선발은 육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개체가 나타내는 표현형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유전적인 효과만 구분하여 선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최근에 분자생물학 분야의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분자 수준의 표지 인자를 유용 유전자의 간접선발 지표로 활용하여 선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작물의 유전자 지도 및 분자 표지인자는 작물 육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에서 양친인 '835'와 'B$_2$'에서 유래한 여교잡 집단 82개체를 이용하여 RAPD 유전자군 지도를 작성하고 관련 마커를 탐색하여 육종에 이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rimer 375종류를 이용하여 양친, 835와 B$_2$ 사이의 다형화 밴드 128개를 찾았다. BC$_1$F$_1$집단 조사를 통해 MAPMAK ER/EXP를 이용하여 연관군 지도를 작성하였다. 분리 분석된 RAPD 표지인자 128개 중 126개는 멘델의 이론 분리비 1:1에 적합하였으며. 2개는 동형접합체 (모본형) 쪽으로 편중되어 분리되었다. LOD 3.0 수준에서 128개의 표지인자가 9개의 연관군으로 나뉘어졌고 전체거리는 1,688.3 cM이었으며, 표지인자 간 평균거리는 13.8 cM으로 Lefebvre 등 (1996)이 발표한 자료를 참고하여 무 genome 전체의 유전적 거리를 계산한 결과 무의 유전자지도는 무 genome전체의 68.7%~80.1%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RAPD 마커에서 문제시되는 재현성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이를 STS 마커로 변환하고자 OPE10 primer에 의해 증폭된 특정 밴드를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한 다음 얻어진 염기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primer를 제작하여 PCR 하였다. 그 결과 10mer인 OPE10을 이용하여 분석했을 때와 동일하였으며 목적 밴드 외 다른 밴드는 생성되지 않아 앞으로 분자 마커로서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외와 멜론의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RAPD 분석 (RAPD Analysis for Genetic Diversity of Melon Species)

  • 모숙연;임성희;고관달;안종문;김두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1호
    • /
    • pp.21-24
    • /
    • 1998
  • 참외와 멜론의 다양성 분석을 위하여 RAPD 분석 최적조건과 군집분석하였다. 참외와 멜론계통의 DNA 추출은 0.5% SDS 방법이 가장 순수하고 많은 DNA를 얻을 수 있었으며 DNA 증폭시 최적 반응조건은 총 volum $15{\mu}L$ 중 DNA 10ng, Primer 270nM, dNTP $200{\mu}M$, dynazyme 0.3unit. 10x buffer $1.5{\mu}l$이였으며 나머지는 3차 증류수로 보충된다. PCR기기의 최적 setting은 DNA denaturation $94^{\circ}C$ 30초, primer annealing $39^{\circ}C$ 30초, DNA extension $72^{\circ}C$ 30초이며 최적 증폭 횟수는 40 cycle 이었다. 사용된 12개의 primer 만들어진 총 123개의 band 중 신뢰도가 높은 25개(20%)의 polymorphic band를 선발하여 이용하였으며 평균 polymorphic band 수는 2.1개로 나타났고, 그룹내 polymorphic band 수가 그룹간보다 적어 그룹내의 유전적변이가 적음을 보여주었다. 군집분석 결과 크게 참외와 멜론그룹으로 나뉘었고 멜론그룹은 다시 net melon 과 no-net melon으로 나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표현형질에 의한 분류와 일치하였다. 재래종 참외와 멜론 그룹은 8개의 marker에 의해 구분되었고 net melon 그룹과 no-net melon 그룹은 4개의 marker에 의해 구분되었다.

  • PDF

한국잔디 중지 변이개체와 연관된 RAPD-SCAR 마커 (RAPD-SCAR Markers Linked to Medium-Leaf Zoysiagrass Ecotypes)

  • 정성진;박수정;김헌중;양근모;최준수;오찬진;장덕환;송인자;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91-197
    • /
    • 2013
  • 한국 잔디 신품종 개발 목적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일대 한국잔디 중지류 생산포장에서 선발한 생육 및 피복속도가 빠르고 밀도 또는 가을철 녹색기간이 긴 2개 우량계통을 대상으로 DNA 수준에서 기존 중지류 또는 한국잔디들과 차이를 살펴보고 신품종 특이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D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RAPD-SCAR 마커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RAPD 프라이머를 스크리닝 한 결과 N8021와 N8001 프라이머가 CY6069와 CY6097 품종 각각에 특이적인 DNA 절편을 약 600 bp와 700 bp 부근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특이 밴드는 TA-cloning vector에 삽입 후 대장균에 형질전환하여 배양하였고, 이로부터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중지류 신품종 특이 SCAR 마커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CY6069 선발 품종 특이 SCAR 마커(CY6069_550)는 다른 한국잔디 들잔디(야지), 한국잔디 중지, 갯잔디, 금잔디에서는 보이지 나타나지 않았던 식별 가능한 밴드를 보였고(550 bp), CY6097 선발 품종 식별을 위한 SCAR 마커(CNU70-6_1500)도 CY6097 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DNA 밴드를 약 700 bp 부근에서 증폭할 수 있었다. 형태 및 생육특성 차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RAPD-SCAR 마커를 활용하면 선발된 중지류 한국잔디 CY6069와 CY6097 계통을 실험실내에서 PCR을 통해 유전자원 식별 및 원산지 증명이 가능해졌고 영양번식을 통해 주로 번식하는 난지형 잔디 생산 포장에서 품종의 혼입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 버섯에서 수한 품종 특이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uhan Strain-specific SCAR Marker in Pleurotus ostreatus)

  • 서경인;장갑열;유영복;박순영;김광호;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1-38
    • /
    • 2011
  • 현재 70개 이상의 느타리 품종이 유통되어 재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1개 품종을 수집하여 핵산지문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수한과 그 유사품종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밴드를 이용하여 수한 품종에 특이적인 SCAR marker로 개발하였다. 수한 품종 특이 band에 대한 clone을 기존에 알려진 유전자 염기서열과 유사성이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POMFBO1 Pleurotus ostreatus cDNA clone MFB02-A05, mRNA sequence와 92%의 homology를 나타냈고, 등록된 아미노산 서열과의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 큰졸각버섯인 Laccaria bicolor의 predicted protein과 가장 높은 sequence homology (BlastX score = 73.9, E value = $5e^{-25}$)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수한특이 마커는 정확한 품종구분이 요구되는 종균유통 과정에서 수한계통 품종을 구분하는 유용한 마커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dentification of Mating Type Loci and Development of SCAR Marker Genetically Linked to the B3 Locus in Pleurotus eryngii

  • Ryu, Jae-San;Kim, Min Keun;Ro, Hyeon-Su;Kang, Young Min;Kwon, Jin-Hyeuk;Kong, Won-Sik;Lee, Hyun-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9호
    • /
    • pp.1177-1184
    • /
    • 2012
  • In order to estimate how diverse the mating types in Pleurotus eryngii from different regions are, pairings between monokaryons derived from inter- and intra-groups were done. Sixteen and 15 alleles were identified at loci A and B from the 12 strains. In the P. eryngii KNR2312, widely used for commercial production, four mating loci, A3, A4, B3, and B4, were determined. Those loci, except A3, were found in 4 strains out of 12 strains. To improve breeding efficiency, especially in mating type determination, RAPD and BSA were performed to screen for a mating type specific marker. The SCAR marker 13-$2_{2100}$ was developed based on the RAPD-derived sequence typing B3 locus. The sequence analysis of 13-$2_{2100}$ revealed that it contained a conserved domain, the STE3 super-family, and consensus sequences like the TATA box and GC box. It seems likely that the SCAR marker region is a part of the pheromone receptor g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