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D marker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42초

Detection of DNA Fragment to Differentiate Korean Cattle

  • Yeo, J.S.;Kim, J.W.;Chang, T.K.;Nam, D.H.;Han, J.Y.;Choi, C.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071-1075
    • /
    • 2002
  • In order to identify and develop the specific DNA marker for the identification of Hanwoo (Korean Cattle) from other breeds, a specific DNA marker of 519 bp was identified and sequenced from polymorphic analysis using RAPD-PCR for 6 cattle breeds. Two different repetitive sequences, $(AAC)_5$ and $(GAAGA)_2$, were selected and designed to use specific probe to develop a DNA marker for Hanwoo specific. When the $(AAC)_5$ probe was applied, the 10 kb specific DNA marker showed in the DNA fingerprinting from 237 of 281 Hanwoo individuals. This novel Hanwoo specific DNA probe is useful to perform the marker-assisted selection for screening Hanwoo purity as an unique genetic source.

청청벼에서 유래한 벼멸구 저항성관련 RAPD Marker의 개발 (Development of RAPD Marker Related to Brown Planthopper Resistance Gene Derived from Rice Cultivar, Cheongcheongbyeo)

  • 서지훈;김경민;김석만;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53-45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품종인 '청청벼'와 감수성이면서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벼'를 교배한 DH 계통 및 $F_2$집단을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DNA marker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520개의 RAPD marker를 이용하여 양친에 다형성을 보이는 310개의 marker를 찾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BSA를 통해 벼멸구 저항성과 관련있을 것으로 보이는 17개의 marker를 선발하였다. 2. 벼의 12번 염색체상에 위치한 38개의 SSR marker를 사용하여 모${\cdot}$부본에 대한 다형성 검정을 실시한 바, 17개의 SSR marker를 선발할 수 있었다. 3. BSA를 통해 선발된 17개의 RAED marker와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벼멸구 저항성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OPE16_{700}$을 선발하였다. 4. SSR marker 및 OPE16과 65 DH 계통의 벼멸구 저항성과의 연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OPE16이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와 4.6cM 거리로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D markers에 의한 상사화속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Lycoris (Amaryllidaceae) Based on RAPD Markers)

  • 태경환;김용현;신영화;강신호;김주환;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9
    • /
    • 2008
  • 상사화속 15분류군을 대상으로 종간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이 수행되었고, PCR 과정을 통해 증폭된 RAPD 절편들은 300bp에서 1,700bp 사이의 구간에서 관찰되었다. 5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57개의 유효한 RAPD marker를 확인하였고, 비유사도 지수 행렬을 도출하여 UPGMA phenogram을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분류군들은 전체적으로 3개의 유집군을 형성하였는데 첫 번째 유집군에는 L. chinensis var. sinuolata, L. sanguinea var. koreana, L. uydoensis, L. flavescens, L. radiata var. pumila, L. radiata, L. squamigera, L. chejuensis, L. aurea와 L. guangxiensis의 10분류군이, 두 번째 유집군에는 L. haywardii, L. sprengeri, L. rosea, L. straminea 및 L. houdyshii의 5분류군이, 세 번쨰 유집군에는 비교군인 수선화와 문주란이 각각 포함되었다. RAPD 분석결과는 배수성과 핵형 등의 세포분류학적 형질들과 비교하여 볼 때 Lycoris속내 종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실험적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큰느타리버섯 선발을 위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 김수철;김혜수;조용운;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83
    • /
    • 2015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베타글루칸 고함유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9종과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 9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R03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R03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91 bp 부근에서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R03-1-F와 OP-R03-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R03-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91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R03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adaptable to high-temperature)

  • 김수철;김혜수;박소연;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1
    • /
    • 2014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 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7종과 고온성 계통 7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A06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고온성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A06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385 bp 부근에서 고온성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A06-1-F와 OP-A06-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A06-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385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고온성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A06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PD marker로 추적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느티나무의 유연관계 (The Genetic Relationship of Zelkova Serrata Registered s the Natural Monument Using RAPD Markers)

  • 강경홍;정영재;김홍남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89-94
    • /
    • 1999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14개체의 느티나무의 유연관계 및 개체간의 다양성을 RAPD 마커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각 개체간의 유사성의 정도는 낮았고 강원도의 두 개체(KWH 와 KWS)간에서 78%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Neighbour-joining tree에서 보여진 유연관계는 강원도와 전남의 일부 개체를 제외하고는 지리적 분포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생물학적 요인이라기보다는 이 종의 인위적인 이동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개체간의 유전적 polymorphism의 정도는 매우 높아 polymorphic band수의 퍼센트는 77.8%에서 100%였다. 이는 각 개체가 장기간 격리 분화된 조상형에서 유래되었던 결과로 추측되었다.

  • PDF

Purity Test of Radish Hybrid Seeds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

  • Oh, Sei-myoung;Soontae Kwon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67
    • /
    • 2001
  • In order to develop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testing the purity of radish hybrid seeds using a procedure based on th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eighty random primers were screened with the genomic DNA extracted from five day old seedlings of inbred parent lines and their F1 hybrids. Two primers, HRM-02 (5'-GAGACCAGAC-3') and HRM-19(5'-TGAGGCGTGT-3'), generate reproducible unique PCR patterns which can identify each parent lines as well as their hybrids. In actual test of randomly selected hybrid seeds using the two marker primers, the purity tested by one primer was exactly same as that of other primer. It suggests that one marker primer selected in this experiment is enough for the purity test of radish hybrid seeds. We demonstrates the use of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s) markers to identify each of inbred parent lines and hybrids by rapid and simple method.

  • PDF

RAPD표지인자를 이용한 3종의 가리비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ree Scallop Species, Chlamys farreri farreri, Patinopecten yessoensis and Agropecten irradians, Using RAPD Markers)

  • 지희윤;김윤경;박영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1
  • PCR-RAPD 표지인자를 이용하여 비단가리비와 큰가리비 그리고 해만가리비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60개의 random primer중 6개의 primer를 선택하여 시료들의 RAPD 양상을 비교하였다. 모든 primer들은 서로 다른 속의 가리비 종류에 대하여 특이적 RAPD band 형태를 나타내었다. 비단가리비에서는 패각 크기와 색깔의 특성이 두 집단간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RAPD 양상은 두 지리적 집단간에 유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형성 RAPD 대립인자들이 각 가리비종의 동일 집단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RAPD 표지인자는 가리비를 동정하고 가리비 집단 구조를 연구하는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PDF

콩 Cyst 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 QTL 탐색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Resistance to Soybean Cyst Nematode Race 5)

  • Choi, In-Soo;Kim, Yong-Chul;Kim, Sung-Man;Lee, Chung-Yeol;Park, Hyean-Cheal;Halina T. Skorupska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12-721
    • /
    • 1997
  • 콩 품종 Essex와 PI 437654간 교잡 후 F$_2$유래 F$_3$ 계통들을 재료로 하여 작성된 RAPD 유전자지도상에 cyst 선충 race 5에 대한 저항성 QTLs 분석을 실시한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회귀분석 결과 26개의 marker들(22 RAPD, 4 RFLP)에서 cyst 선충 race 5 저항성 반응에 대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MAPMAKER /QTL 분석 결과2개의 저항성 QTL들이 탐색되었는데, 이 QTL들은 2개의 linkage groups(LGC-20와 Group 2)에 위치하였다. 3. 탐색된 2개의 QTL들 중 1개는 우성유전, ?고 나머지 하나는 열성유전양상을 나타내었다. 4. 콩 cyst 선충 race 5의 저항성에 대한 유의성이 인정되는 5개의 marker들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총 26개의 조합들 중 4개의 marker들(E02$^3$, G$10^1$, W03, pK418C)로 구성된 조합에서 가장 높은 표리적 변이의 값(35.2%)을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a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for female off-season flowering detection in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 Lalita Kethirun;Puangpaka Umpunjun;Ngarmnij Chuenboonngarm;Unchera Viboonj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190-199
    • /
    • 2023
  •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Arecaceae) is a dioecious species where only female trees bear fruits. In their natural state, date palms produce dates once a year. However, in Thailand, some trees were observed to produce dates during the off-season, despite no variations in morphology. The availability of such off-season fruits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ir market value. Interestingly, most female off-season date palm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through micropropagation. Henc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genetic markers to distinguish female offseason flowering plantlets within tissue culture system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RAPD-SCAR)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female off-season flowering date palms cultivated in Thailand. A total of 160 random decamer primers were employed to screen for specific RAPD markers in off-season flowering male and female populations. Out of these, only one primer, OPN-02, generated distinct genomic DNA patterns in female off-season flowering (FOFdp) individuals compared to female seasonal flowering genotypes. Based on the RAPD-specific sequence, specific SCAR primers denoted as FOFdpF and FOFdpR were developed. These SCAR primers amplified a single 517-bp DNA fragment, predominantly found in off-season flowering populations, with an accuracy rate of 60%.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SCAR marker technology for tracking offseason flowering in date palms. Notably, a BLAST analysis revealed a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the SCAR marker sequence and the transcript variant mRNA from Phoenix dactylifera encoding the SET DOMAIN GROUP 40 protein. In Arabidopsis, this protein is involved in the epigenetic regulation of flowering time. The genetic potential of the off-season flowering traits warrants further eluc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