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Learning Environment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2초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excessive smartphone use on attention deficit,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임인철;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과 학습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 보건계열 2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다사용정도,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 정도는 스마트폰의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중독 인식과 수업시간 개인사용 경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주의력결핍(r=0.870, p<0.01), 학습환경(r=0.812, p<0.01), 학업지연행동(r=0.772, p<0.01)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주의력결핍은 학습환경(r=0.918, p<0.01), 학업지연행동(r=0.798,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환경은 학업지연행동(r=0.777,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미치는 영향요인은 주의력결핍(p<0.001), 학업지연행동(p<0.01)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한 학습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러닝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Learning Environments)

  • 이연승;임수진;변선주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9-8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 of r-learning based on existing studies of r-learning. It also aimed to analyze r-learning environments in an effort to determine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r-learning in material(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human(young children and teacher) and institutional(law and policy) aspects.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r-learning. In conclusion, the position of r-learning and its interrelationship with related systems in the eco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to accelerate the integration of r-learning into kindergarten educa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convergence of the two. Intensive efforts should be made from diverse angles to expedite the spread and enrichment of r-learning.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학습민첩성,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Learning Agility,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s'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 김혜영;임수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7-20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iscern the factors that influence nursing professionalism, learning agility, and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2 clinical nurses who both consented to participate and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in one of five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in three regions of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The nurses' performa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50, p<.001), learning agility (r=.54, p<.00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37, p<.001). Factors affecting the results of nurses'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subjects are those of learning agility (β=.33, p<.001), nursing professionalism (β=.25, p<.001), clinical career (β=.24, p=.001), education level (β=.16, p=.01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β=.15, p=.016). Conclus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urses in medium-sized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gram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and learning agility.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와의 융합적 관계 (Relation among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Cours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신승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9-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지역의 간호학과 1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2017년 9월 자료수집을 하였고, 기술통계와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교육환경의 평균은 $3.32{\pm}0.41$점, 실습교과목 만족도의 평균은 $3.88{\pm}0.55$점, 전공만족도 평균은 $3.99{\pm}2.30$점이었다.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실습교과목 만족도는(r=.586,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실습교과목 만족도와 전공만족도(r=.560, p=.000),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전공만족도는(r=.530,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변수간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후 세부영역에 따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개선하여 실습교과목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현장실습적응, 간호전문직관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Powerlessness, Field Practice Adapta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ing Efficacy in Convergence Era)

  • 제남주;김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69-47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대학 간호학과 173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돌봄효능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42, p<.001), 현장실습적응(r=.53, p<.001), 간호전문직관(r=.42, p<.001)과 상관관계, 임상실습관련 무력감(r=-46, p<.001)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돌봄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장실습적응(β=.330, p<.001), 그 다음으로, 간호전문직관(β=.188, p=.005), 임상실습 교육환경(β=.176, p=.015), 내성적(β=-.146, p=.018), 외향적(β=.134, p=.035) 순이었다. 설명력은 41.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돌봄효능감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between Online Learning Patterns and Learning Effects in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이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57-562
    • /
    • 2020
  • 코로나19로 인해서 비대면 강의환경에서 온라인 학습이 교육환경의 주요 학습기법으로 채택되고 있다. 온라인 학습패턴이 학업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동영상 학습횟수와 시간을 주요 요소로 두고, 매 학습에 대한 형성 평가와 함께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바탕으로 학습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대학에서 예체능 학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교양 과목 중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실제 학생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매주 실시한 형성 평가와 학습회수, 학습 시간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와는 평소 학습회수(r=.39 p<0.05)와 학습 시간(r=.42 p<0.05)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 진행 과정에서 SMS 문자, 게시판, 메일 등의 요소는 모든 학생이 접하지 못하여 제외하였으므로,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학습자 패턴을 분석하고 연구한다면 학습자들의 요구와 학습효과를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수행과정 및 운영환경 분석: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e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Students and Mentors)

  • 정현철;채유정;류춘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39-1156
    • /
    • 2012
  • 본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고 학생 및 지도자들의 Research and Education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총 1,466명의 학생과 310명의 지도자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R&E 수행과정에 대한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주제선정 단계, 주제 관련 사전지식 학습 단계, 연구 설계와 문제해결 및 수행 단계, 평가 및 발표 단계)과 R&E 수행환경에 대한 인식(충분한 연구기간 및 시간 확보, 지도자와 학생의 자유롭고 충분한 만남, 연구기반 시설과 설비를 충분히 갖춘 학습 환경)에 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R&E 연구수행의 전 단계 중 초반부에 해당하는 주제선정 단계와 주제관련 지식학습 단계에서 지도자와 학생의 인식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수행과정 및 환경 요인에서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에서 R&E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연구개발팀에서 팀 효능감과 팀 혁신성과간의 관계에서 팀 학습행동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role of team learning behavior between team efficacy and team innovative performance in R&D team)

  • 이준호;김학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3호
    • /
    • pp.105-125
    • /
    • 2012
  •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mid an increasingly complex business environment, a team system designed to improve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constitutes the most basic part of an organization. Still, team learning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addition, team learning behavior, despite being an important part of a team process, is often mentioned as a team-level outcome variable. Give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involves constant changes in thinking and behavior, a shared belief among team members is needed in order to positively influence innovative performance of a team. In spite of that, there has been only limited discussion of it. Besides, few domestic studies have dealt with R&D teams that can clearly demonstrate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innovative performance.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team efficacy on team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team learning behavior based on materials collected from team leaders and their immediate subordinates in 268 R&D teams. The analysis showed that team learning behavior actually has a positive effect on team innovative performance. Team efficacy also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learning behavior. Lastly, the study found that team learning behavior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efficacy and team innovative performance. Based on those results, the study has identified implication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Relationship on Learning Environment's Distribution and Thinking Skills in Accounting Instruction

  • Nor Sa'adah JAMALUDDIN;Siti Zubaidah MOHD ARIFFIN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7호
    • /
    • pp.33-40
    • /
    • 2023
  • Purpos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i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education that must be mastered by the students in order to be qualified in competing at international level. Success in mastering HOTS among the students is always linked to preparation of a good and conducive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does this connection impacts the students' HOTS achieve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TS and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main focus on Accounting Principle Elective Subject (MPEI P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search in the form of correlation is implied in this study and it involves 59 Form 5 students that has learned all syllabus in Form 4's MPEI PP. Results: Evaluation of HOTS level is based on Taxonomy Bloom that covers applying skill, analysing skill, evaluating skill, and creating skill. Result from data analysis found that there is a very weak correlation (r = 0.02) between the two variables with regression equation of average grade point = 75.023 + (-.273) Learning Environment. Conclusion: Thus, a no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OTS and learning environment is successfully proven through correlation and regression statistical analysis.

실외에서 로봇의 인간 탐지 및 행위 학습을 위한 멀티모달센서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Multi-modal Sensor System and Database for Human Detection and Activity Learning of Robot in Outdoor)

  • 엄태영;박정우;이종득;배기덕;최영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59-1466
    • /
    • 2018
  • Robots which detect human and recognize action are important factors for human interaction,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learning based robot's technology is a major research area. These studies require a database to learn and evaluate for intelligent human percep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modal sensor-based image database condition considering the security task by analyzing the image database to detect the person in the outdoor environment and to recognize the behavior during the running of the ro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