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efficiency

검색결과 1,787건 처리시간 0.033초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분석 -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A Way to Enhance Efficiency of Nuclear Program in Korean R&D Program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태희;김인호;안성봉;이계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0-87
    • /
    • 2009
  • 최근 유가급등, 실물경제 위기 및 에너지 환경 위기 시대에 직면하여 공공부문에서의 효율성 증대에 대한 요구는 높아지고 있다. 그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은 개별 사업별 절대적 성과치를 근거로 재량적으로 판단되어 온 경우가 많은 점을 인식하고, 본 연구는 사업별 비교를 통해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상대적 효율성을 도출함으로써 객관적 결과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주요 사업인 기초연구개발사업, 특정연구개발사업 및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성과보고서에 제시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문헌검토와 관련이론을 통해 분석방법 및 모형을 설계하였다. 한편 상대적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자료포락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이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증진방안을 세부사업별로 제시하였다.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측정을 위하여 자료포락분석법이 활용된 사례가 없는 만큼, 동 분석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된 자료포락분석법이 적용된다면 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연구개발 수행기관 및 협력유형이 소재부품 R&D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D institutions and cooperation types on R&D efficiency in the components and materials industry)

  • 천동필;우청원;조용곤;한명훈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3호
    • /
    • pp.1-26
    • /
    • 2019
  • 완제품 제조업 중심의 성장을 진행한 한국경제는 소재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고도화를 지향하고 있다. 소재부품산업은 기존 핵심산업의 경쟁력 유지 및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신산업의 육성 측면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재부품산업의 효율적인 R&D를 위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현황이다. 본 연구는 정부의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성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R&D 효율성 분석과 이에 기업규모와 협력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R&D 효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경제적 성과가 반영된 산출변수 설정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한다. 중소기업이 주관기관일 경우가 대기업보다 규모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학연이 협력할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개발 수행기관 및 협력유형에 따른 R&D 성과 창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국내 소재부품산업이 당면한 질적 성장을 위한 산업정책 기획, R&D 투자 및 배분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문화기술(CT) 분야 국가연구과제 특성에 따른 R&D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R&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Culture Technology Sector)

  • 윤상필;손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83-392
    • /
    • 2022
  • 문화기술은 메타버스와 같이 타 산업과의 융·복합화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정부도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 과제 중 문화기술의 R&D 효율성을 과제 특성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6-2019년에 수행된 968개 국가연구개발 과제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과 비모수 검정을 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 분류별로는 문화유산, 문화콘텐츠, 생활문화 순으로 R&D 효율성이 높았다.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대학, 민간기업, 공공 연구기관 순으로 R&D 효율성이 높았다. 또한, 타 기관과 협력한 경우 협력하지 않은 경우보다 R&D 효율성이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역에서 수행된 과제가 타 지역의 과제보다 R&D 효율성이 높았다. 즉, 문화기술분야의 국가연구개발 과제 특성에 따라 R&D 효율성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화기술에 대한 국가연구개발 과제를 기획할 때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함을 시사한다.

실증분석을 통한 지역산업 R&D 육성전략 및 투자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전북 지역산업 R&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by Practical Analysis: Focused on R&D for Regional Industry in Jeonbuk)

  • 차화동;백장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263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육성정책의 핵심인 지역산업 R&D의 육성전략 및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R&D 투자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나라 지역산업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국가균형발전정책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여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비수도권 14개 시도의 산업경제를 선도하는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산업 육성정책 중 핵심 프로그램인 R&D지원의 경우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범 부처 청 및 광역지자체별로 자체적인 지원사업들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정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사업인 지역산업 R&D에 대한 국가 R&D정책, 부처 청 및 지역자체의 R&D정책, R&D전략, 사업 추진현황, 성과 등에 대해 특정지역(전북)의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성과창출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개선방안을 통해 부처 청 단위의 국가 R&D, 지자체 R&D 등에서 산발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R&D의 중복성 최소화 및 지원주체별 협력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산업 R&D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의 산업육성 성과창출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Measuring the Dynamic Efficiency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in R&D and Commercialization by DEA Window Analysis)

  • 이성희;김태수;이학연
    • 경영과학
    • /
    • 제32권4호
    • /
    • pp.193-207
    • /
    • 2015
  •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national R&D in Korea. To achieve desired goals of GRIs with the limited R&D budget, their performance along with time needs to be measured and compared so that appropriate R&D policies can be formulated and implemented. This study measures the dynamic performance of GRIs from the efficiency perspective using the window model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DEA is a non-parametric approach to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units (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and the DEA window model can capture the dynamic changes in efficiency of DMUs during multiple periods. The relative efficiency of GRIs is measured from the two perspectives: R&D and R&BD. Patents, papers, technology transfers are selected as outputs for R&D while compensated technology transfers and technology royalty are employed as outputs for R&BD. This study measures and compares the two types of performance of 20 Korean GRIs under the control o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the period of six years from 2008 to 2013. Th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national R&D policy making.

건설R&D사업의 효율성평가를 위한 DEA 연구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Evaluating Construction R&D Efficiency)

  • 박상혁;한승헌;김대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5-260
    • /
    • 2007
  •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연구개발예산의 부족으로 연구개발에 있어 낙후된 것으로 인식되어왔다. 이를 극복하기위해 정부는 2008년까지 건설R&D 투자를 연간 4,500억 원으로 증가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R&D사업의 효율성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적격한 R&D연구기관의 선택이나 성과기반의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근거가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건설R&D사업의 효율성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에서 수행한 375건의 프로젝트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보유한 83건을 대상으로 한다.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위한 입력요소는 투입연구비와 참여연구원의 수이고 출력요소는 다양한 논문으로 구성된 지식축적요소와 특허, 신기술과 같은 지식전파요소로 구성한다. 이들 자료는 CCR(Charnes, Cooper and Rhodes)모형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산출하고 효율적 가상사업과 비교를 통해 개선량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건설R&D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비효율적인 건설R&D사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가 기술개발 전략 실증분석을 통한 R&D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 농생명자원 활용분야 중심으로 (A Study on Plans to Enhance R&D Efficienc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National R&D Strategy Focusing on Agricultural Bioresources)

  • 김은정;전은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7-298
    • /
    • 2012
  • 농림수산식품 산업은 기존의 생산 중심의 1차 산업을 탈피하여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농업 R&D 패러다임의 전면적인 전환을 도모하고 있으며, 특히 농생명자원을 활용한 생명산업 등의 육성을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범부처 청 차원에서 R&D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산업의 핵심자원인 농생명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 등 전 단계에 걸친 국가 R&D 정책, 기술개발 전략, 사업 추진현황, 성과 등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용화 조기 달성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제안된 개선방안으로부터 농생명자원 R&D 분야의 정부/민간, 부처(청) 내 역할분담 및 협력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부 R&D 투자의 전략성 효율성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민간기업의 참여를 통한 생명산업의 산업화 성공사례 조기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PDP Driven by RF Pulses

  • Choi, J.P.;Jeon, W.G.;Kang, J.;Lim, G.S.;Kim, O.D.;Kim, H.Y.;Song, J.W.;Yoo, E.H.;Park, M.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0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0
    • /
    • 2000
  • The conventional AC PDP has a relatively low efficiency which is close to 1.5 lm/W. If the AC sustain period is replaced by the RF sustain period, due to oscillating and low electric field, almost 60% of the supplied energy is spent by Xe excitation [1]. The efficiency of RF PDP can be $4{\sim}5$ times higher than that of AC PDP.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RF PDP that is a new type of PDP. A new display method in PDP using RF pulses is suggested and applied on a 4-inch-diagonal Panel (hereinafter 4" panel). Even though there were many researches in RF discharge, there was not enough research for display application. Now we propose the RF PDP that is a new display field and we will expect to do more research in this field.

  • PDF

R&D 프로젝트 성과평가를 위한 DEA모형의 타당성 실증분석 : 정규화지표와의 순위상관을 중심으로 (Empirical Analysis of DEA models Validity for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 Focusing on Rank Correlation with Normalization Index)

  • 박성민
    • 산업공학
    • /
    • 제24권4호
    • /
    • pp.314-322
    • /
    • 2011
  • This study analyzes a relationship between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efficiency scores and a normalization index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DEA models. A normalization index concerned in this study is 'sales per R&D project fund' which is regarded as a crucial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in practice. For this correlation analysis, three distinct DEA models are selected such as DEA basic model, DEA/AR-I revised model(i.e. DEA basic model with Acceptance Region Type I constraints) and Super-Efficiency(SE) model. Especially, SE model is adopted where efficient R&D projects(i.e.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DEA efficiency score of unity from DEA basic model can be further differentiated in ranks. Considering the non-normality and outliers, two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such as Spearman's ${\rho}_s$ and Kendall's ${\tau}_B$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Pearson's ${\gamma}$. With an up-to-date empirical massive dataset of n = 482 R&D projects associated with R&D Loan Program of Korea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motion Fund in the year of 2011, statistically significant (+) correlations are verified between the normalization index and every model's DEA efficiency scores with all three correlation coefficients. Especially, the congruence verified in this empirical analysis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enhancing the practitioner's acceptability onto DEA efficiency scores as a real-world R&D project performance evaluation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