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분석을 통한 지역산업 R&D 육성전략 및 투자 효율성 제고방안 연구: 전북 지역산업 R&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by Practical Analysis: Focused on R&D for Regional Industry in Jeonbuk

  • 차화동 (전북테크노파크 지역산업육성실) ;
  • 백장현 (전북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15.01.28
  • 심사 : 2015.06.29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육성정책의 핵심인 지역산업 R&D의 육성전략 및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R&D 투자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연구이다. 우리나라 지역산업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국가균형발전정책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여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지역산업 육성정책이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비수도권 14개 시도의 산업경제를 선도하는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산업 육성정책 중 핵심 프로그램인 R&D지원의 경우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범 부처 청 및 광역지자체별로 자체적인 지원사업들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산업정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사업인 지역산업 R&D에 대한 국가 R&D정책, 부처 청 및 지역자체의 R&D정책, R&D전략, 사업 추진현황, 성과 등에 대해 특정지역(전북)의 실증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성과창출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개선방안을 통해 부처 청 단위의 국가 R&D, 지자체 R&D 등에서 산발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R&D의 중복성 최소화 및 지원주체별 협력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산업 R&D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지역의 산업육성 성과창출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improvement of R&D promotion program and its investment efficiency for regional industry. We find out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 plans to improve investment efficiency of R&D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achievement. Since the 2000s, our country has implemented diverse policies for regional industry; R&D for regional industry has become a core part of busi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ional industry. As ever, these policies are highly suppor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through practical analysis of certain region (Jeonbuk), reviews some problems of R&D promotion program and suggests plans to enhance the achievements of a variety of policies, strategies, and projects. We perform practical analysis using three methods for three different aspects: shift-share analysis for each industry type, performance analysis for each investment typ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for each company type. Reviewing the results of practical analysis, we suggest some plans to promote the collaboration of main R&D support organizations and to minimize the doubleness caused sporadically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will be used effectively in setting up, implementing, and evaluating R&D investments for regional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호.최승일 (2012),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R&D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6): 2514-2519. https://doi.org/10.5762/KAIS.2012.13.6.2514
  2. 김영수 (2008),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 참여기업의 성과분석과 시사점", KIET특집 2008년 4월, 3-17.
  3. 나중식 (2008), 재무행정론, 서울: 형설출판사.
  4.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 조사결과.
  5. 박명무.이기종 (2009),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시스템 개선에 관한연구: 연구개발 예산 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2(4): 819-839.
  6. 배상태 (2011), "정부 R&D예산분석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7. 산업통상자원부 (2014), 지역산업정책 백서 제1권.
  8. 서종현.장영순 (2009), "R&D성과분석 체계 마련 연구",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9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발표집, 1035-1043.
  9. 안상인.권성훈.송성환.배영임 (2009), "DEA를 이용한 R&D효율성의 국제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9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발표집, 1356-1363.
  10. 엄익천 외 (2011), "정부연구개발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20(4): 105-134.
  11. 이상엽 외 (2014), "전략적 R&D 예산배분 및 편성을 위한 정책 기반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2. 이상현.김상영.이상준 (2011), "자료포락분석 기법을 이용한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의 파급효과 분석", 디지털정책연구, 9(6): 1-11.
  13. 이정희 (2010), "최근의 예산결정이론의 비교", 한국국정관리학회 2010년 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14. 전라북도.전북테크노파크 (2014), 2014년도 전북 R&D사업 안내서.
  15. 중소기업청 (2014), "중소기업지원정책 : 사업소개", http://www.smba.go.kr/kr/policy/support (2014.12.15)
  16. 지역발전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 (2013), 2012년도 지역발전계획에 관한 연차보고서.
  17. 호남지역사업평가원 (2013), 전북지역산업지원사업 조사.분석 통계.
  18. Braff, R. A. and Knight, P. L. III. (1988), "Dynamic Shift-share Analysis", Growth and Change, 19: 1-10.
  19. Dinc, M. and Haynes, K. E. (1999), "Sources of Regional Inefficiency - An Integrated Shift-Share,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Input-Output Approach",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33: 469-489. https://doi.org/10.1007/s001680050116
  20. Knudsen, D. C. (2000), "Shift-Share Analysis: Further Examination of Models for the Description of Economic Change",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34: 177-198. https://doi.org/10.1016/S0038-0121(99)00016-6
  21. Muligan, G. F. and Molin, A. (2004), "Estimating Population Change with a Two-Category Shift- Share Model",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38: 113-130. https://doi.org/10.1007/s00168-003-01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