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etin-3-O-glucosid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6초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Leaves of Carthamus tinctorius

  • Lee, Jun-Young;Chang, Eun-Ju;Kim, Hyo-Jin;Park, Jun-Hong;Choi, Sang-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13-319
    • /
    • 2002
  • A total of eight flavonoids (1-8), including a novel $quercetin-7-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6) and seven known flavonoids, luteolin (1), quercetin (2), luteolin $7-o-{\beta}-D-glucopyranoside$ (3), $luteolin-7-o-(6"-Ο-acetyl)-{\beta}-D-glucopyranoside$ (4) quercetin $7-o-{\beta}-D-glucopyranoside$ (5), acacetin 7-o-{\beta}-D-glucuronide (7) and apigenin-6-C-{\beta}-D-glucopyrano $syl-8-C-{\beta}-D-glucopyranoside$ (8), have been isolated from the leaves of th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d chemical studi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se flavonoids was evaluated against 2-deoxyribose degradation and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generated via a Fenton-type reaction. Among these flavonoids, luteolin-acetyl-glucoside (4) and quercetin-acetyl-glucoside (6)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gainst 2-deoxyribose degrad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Luteolin (1), quercetin (2), and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 (3 & 5) also exhibit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while acacetin glucuronide (7) and apigenin-6,8-di-C-glucoside (8) were relatively less active.

Euphorbia ebracteolata에 대한 생약학적 연구(I) -Euphorbia ebracteolata의 Flavonoid 성분-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Euphorbia ebracteolata(I) -On the Flavonoidal Constituents-)

  • 이상철;안병태;박웅양;이승호;노재섭;이경순;유응걸
    • 생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6-131
    • /
    • 1992
  • Four flavonoid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ebracteolata.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as $quercetin-3-O-{\beta}-D-glucoside$(isoquercitrin)(I), quercetin-3-O-rutinoside(rutin)(II), kaempferol-3-O-rutinoside(III) and $quercetin-3-O-(2'-O-galloyl)-{\beta}-D-glucoside$(IV) which was the main flavonoidal component in this plant. The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E. ebracteolata is the first example.

  • PDF

대극 지상부의 페놀성 화합물(제2보) (Phenolic Compounds from Aerial Parts of Euphorbia pekinensis (II))

  • 안병태;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45
    • /
    • 1996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isolation of seven hydrolyzable tannins and nine flavonoids from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same plant has led to the isolation of kaempferol, quercetin, kaempferol $3-O-(2'-O-galloyl-{\beta}-_D-glucoside)$, quercetin 3-O-(2'-O-galloylrutinoside), ellagic acid and acetonyl geraniin.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 PDF

은행잎중 Flavonol Glycoside 성분의 계절별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the Flavonol Glycoside Content from Ginkgo biloba Leaves)

  • 강규선;염정록;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3
    • /
    • 1993
  •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major six flavonol glycosides(kaempferol 2,6-dirhamnosyl glucoside, quercetin 3-O-rutinoside, kaempferol 3-O-rutinoside, isorhamnetin 3-O-rutinoside, quercetin 3-O-coumaroyl glucorhamnoside and kaempferol 3-O-coumaroyl glucorhamnoside) in Ginkgo biloba leav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were determined by HPLC on reversed phase $C_{18}$ colum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six flavonol glycosides decreased during the season from 1.57% in May to 0.39% in November. The content of each flavonol glycoside indicated a similar tendency to decrease. However, the contents of rutinoside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sorhamnetin fluctuated markedly than those of coumaroyl glucorhamnoside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and kaempferol 2,6-dirhamnosyl glucoside.

  • PDF

재배 조건에 따른 바위솔의 Flavonol Glycoside 함량 변화 (Changes in Flavonol Glycoside Cont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Cultivation Conditions)

  • 장상훈;강동민;강진호;박종철;이상경;신성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250-254
    • /
    • 2005
  • Night-break, 일장조절, 월동가온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바위솔에 포함된 flavonol glycoside, $kaempferol-3-O-{\beta}-D-glucoside$(1), $kaempferol-3-O-{\beta}-D-glactoside$ (2), $kaempferol-3-O-{\beta}-D-rhamnoside$ (3), $quercetin-3-O-{\beta}-D-glucoside$ (4) and $quercetin-3-O-{\alpha}-D-rhamnoside$ (5)의 함량이 분석되었으며 자연산 바위솔의 함량과 비교되었다. 월동가온 시험에서 얻은 flavonol glycoside 1-5의 함량은 자연산보다 감소하였으며 일장조절 실험 및 night-break 시험에서 얻은 flavonol glycoside 함량은 조사한 빛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월동가온은 flavonol glycoside의 생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반면 조사되는 빛의 양의 증가와 같은 경작조건은 flayonol glycoside의 생성에 유리하다.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의 apoptosis 조절을 통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by Regulation of Apoptosis)

  • 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86-293
    • /
    • 2019
  • 알츠하이머 질환은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뇌 내에서 $A{\beta}$ 단백질 축적은 알츠하이머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amyloid beta ($A{\beta}$)로 손상을 유도한 SH-SY5Y 신경세포에서 kaempferol,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beta}$-D-glucoside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SH-SY5Y 신경세포에 $A{\beta}_{25-35}$ ($25{\mu}M$)를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세포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A{\beta}_{25-35}$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apoptosis에 관여하는 cleaved caspase9,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normal군에 비해 control군에서 유의적으로 cleaved caspase9 및 Bax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나타내어 $A{\beta}$ 유도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apoptosis가 유발됨을 확인 하였으며,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의 처리 시 apoptosis 관련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효능이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aempferol, quercetin 및 그 배당체들이 apoptosis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신경세포 손상으로 인한 알츠하이머 질환을 예방하는 유용한 소재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Flavone Glucosides from the Leaves of Helianthus tuberosus

  • Chae, Sung-Wook;Lee, Sang-Hyun;Kang, Sam-Sik;Lee, Ho-J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41-143
    • /
    • 2002
  • Two flavone glucosid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leaves of Helianthus tuberosus (jerusalem artichoke).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 3-O-glucoside (1) and quercetin 7-O-glucoside (2) by spectroscopic analysis and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reported data. These flavonoi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part.

굴피나무잎으로부터 항암활성을 갖는 천연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cancer Agents from the Leaves of 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 김양일;조태순;이승호
    • 생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8-245
    • /
    • 1996
  • The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of $CH_2Cl_2$ soluble part of Platycarya strobilacea leaves(Juglandaceae) has led to the isolation of eight active principles, identified as 5-hydroxy-2-methoxy-1,4-naphthoquinone(1), ursolic acid(2), gallic acid(3), 4,8-dihydroxynaphthalene $1-O-{\beta}-_D-glucoside(4)$, eriodictyol(5), quercetin $3-O-(2'-O-galloyl)-{\beta}-_D-glucoside(6)$. quercetin $3-O-(2'-O-galloyl)-{\beta}-_D-galactoside(7)$ and quercetin $3-O-{\alpha}-_L-rhamnoside(8)$ by the means of 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 respectively.

  • PDF

Flavonoids 및 그 배당체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 (Effects of Flavonoids and Their Glycosides on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 김지현;김현영;조은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71-1377
    • /
    • 2019
  • 뇌에서 과량의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kaempferol,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β-D-glucoside와 같은 flavonoid와 그 배당체의 H2O2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C6 신경교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H2O2만을 처리한 control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normal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 감소와 ROS 생성 증가를 통해 C6 신경교세포의 산화적 손상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4가지 flavonoid를 각각 처리한 군의 경우, H2O2를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 증가와 ROS 생성 감소를 통해 산화적 손상 억제를 통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Flavonoid의 신경교세포 보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interleukine (IL)-1β 등의 염증 관련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H2O2를 처리한 control군은 normal군에 비해 iNOS, COX-2, IL-1β 단백질 발현 증가와 IκB-α 발현 감소를 통해 신경교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염증 반응을 확인하였다. 반면, 4가지 flavonoid를 각각 처리한 군의 경우 iNOS, COX-2, IL-1β 단백질 발현 감소와 IκB-α 발현 증가를 나타내어, 염증 반응 개선을 통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quercetin-3-β-D-glucoside를 처리한 군은 kaempferol과 그 배당체인 kaempferol-3-O-glucoside를 처리한 군에 비해 우수한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4가지 flavonoid가 신경교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해 신경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나무에서 분리한 flavonol glycoside의 금속단백분해효소-2 억제 활성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ctivity of Flavonol Glycosides from Cedreia sinensis)

  • 황선우;하태정;고영희;전효곤;이준;권현숙;박기훈;양민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2-446
    • /
    • 2006
  • 참죽나무는 멀구슬과 나무로서 한국과 중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장염(腸炎), 이질(痢疾), 개선(疥癬)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죽나무 잎에서 3종의 flavonol glycosides를 분리하여 NMR을 통해 구조를 확인한 결과, kaempferol-3-O-rhamnoside (1), quercetin-3-O-rhamnoside (2)와 quercetin-3-O-glucoside(3)로 구조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생리활성은 matrix metalloproteinase-2 저해 활성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실험을 통하여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apoptosis 저해활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MMP-2활성저해 조사에서는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quercetin-3-O-glucoside는 암세포에 직접적인 독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암의 침윤과 전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