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Assurance in Vocational Train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Analysis of Perceptions on Accredit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Provider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Accreditation System)

  • 고혜원;이철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94-704
    • /
    • 2021
  • 정부가 지원하는 직업훈련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2015년부터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증평가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행되고 있는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와 이 제도에 대한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의 인식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를 일찍부터 활발히 운용해 온 독일과 영국 등의 유럽 제도 및 국내의 관련 제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자 131명과 직업훈련기관 37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훈련기관 인증평가의 기준이나 인증평가 절차의 변화는 현재 시점에서 크게 요구되지는 않으나 직업훈련기관의 자체적인 품질관리시스템을 장기적으로는 요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증평가자와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도 모두 인증평가를 통하여 직업훈련기관의 품질관리체계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응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한 직업훈련기관 중심의 직업훈련 실시강화, 근로자 대상의 단기간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기관에 대한 간소한 인증평가 제도의 도입, 인증기간 중 자체적으로 지속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의 강화, 직업훈련 성과 중심의 인증평가 제도 운용 등과 같은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기술.기능계 국가자격의 질 관리 방안 연구 (A Research on the National Qualification Assurance System for Engineers and Craftsmen)

  • 박종성;신명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63-85
    • /
    • 2002
  • 이 연구는 기술 기능분야 인적자원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 기능계 자격에 대한 질 관리 현황을 파악해보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기능계 자격의 질관리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기술계 자격의 질관리 현황과 문제점, 기술 기능계 자격의 질관리에 대한 요구 분석, 외국의 질관리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 기능계 자격내용에 대한 질관리 방법과 자격운영 조직 및 제도에 대한 질관리 방법, 기술 기능계 자격종목에 대한 사후관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자료의 수집 및 분석, 자격취득자 및 산업체 인사담당자(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기술 기능분야 전문가 협의회 개최, 기술 기능분야 산업현장 전문가 및 자격취득자의 의견수렴을 위한 면담조사 등이 적용되었다.

Analysis of Strategies for Quality Assurance in Online Edu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ole of an Instructional Design Team to Support Faculty

  • Jeeyoung CHUN;Sookyung L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1호
    • /
    • pp.53-80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faculty support for quality assurance in online education, and offers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based on feedback from Instructional Design (ID) staff working at a public university in the U.S. Qualitative research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seven ID staff in order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regarding faculty support related to quality assurance in onlin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indicate that four types of faculty support-quality assurance reviews using Quality Matter (QM) standards, templates, individual consultations with ongoing support, and monitoring-were offered for faculty. Faculty support for quality assurance in online education c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specific quality assurance standards, recruiting external experts, examining learning effects, developing a quality assurance management system, and sharing documents among ID staff.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quality assurance in online education and provides cases of faculty support in a real higher education setting.

직업능력개발훈련 참여도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Improve Participation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 김태복;김광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7
    • /
    • 2021
  • As interest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projects increases, suppor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study ways to improve participation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related factors are selected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m are derived. The main factors were influencing factors were identified and ways to improve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were studied.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group interviews.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lan for improving participation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by applying the backward stage selection (condition) method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ase of respect for minorities in the 7-point Likert scale The closer to 7 w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having never participated, and the other factors except minority respect, Likert scale closer to 7 indicates higher probability of bening classified as having never participated, except for the minority respect facto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lowering the scale of the factor of respect for minority, which is job satisfaction, and increasing the 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nnual salar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ining system for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assurance have effects on improving participation rates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공장 자동화 품질관리를 위한 자동 시각 검사 시스템의 기술 훈련 (Technical Training on Automated Visual Inspection System for Factory Automation Quality Assurance)

  • 고진석;임재열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91-97
    • /
    • 2012
  • 제조현장에서 품질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자동 시각 검사 장비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 대만 등 LCD 관련 제조사를 포함하여 세계적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 주요 장비로 자리 잡고 있다. 자동 시각 검사 장비는 일반적으로 머신비전 시스템이라 부르며, 세계시장에서 머신비전 시스템 컴포넌트 분야에서만 2010년 기준으로 112억 달러에 이르고 2015년에 180억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연간 9%의 성장률을 예측하고 있어, 잠재적 시장 가능성이 큰 분야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업전문학교, 대학 등에서는 머신비전 시스템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머신비전과 관련하여 교육의 필요성 및 수요분석 등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들이 효과적으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기술 수요자의 수준에 따라서 총 훈련시간이 30시간에서 60시간으로 탄력적으로 운용될 수 있으며, 전공 분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PDF

자동 시각 검사 시스템 기술훈련을 위한 라인스캔 카메라 기반의 실습장비 제작 (Implementation of Line Scan Camera based Training Equipment for Technical Training of Automated Visual Inspection System)

  • 고진석;무향빈;임재열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14
  • 자동 시각 검사 장비는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 기반의 기업들의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장비로 자리 잡고 있다. 반도체, LCD, 철강, 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품질관리의 자동화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학, 직업전문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시각 검사 시스템의 기술훈련을 위하여 라인스캔 카메라 기반의 자동 시각 검사 장비 교육을 위한 실습 장비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제작된 시스템은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X-Y stage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영상의 픽셀해상도는 $10-30{\mu}m$의 범위에서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조명구조에 따른 영상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면 직사조명과 동축조명을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훈련자가 실습환경에서 다양한 조건들을 변경시키며 실습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실제 제조 현장에서 활용되는 라인스캔 카메라 기반의 머신비전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었다.

골재노출 P.C제품의 현지생산에 관한 소고 -보트라콘 프로젝트의 코아빌딩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osed aggrigate P.C. in field plant cast - case study for core building, VOTRAKON project -)

  • 이학영
    • 기술사
    • /
    • 제19권2호
    • /
    • pp.34-42
    • /
    • 1986
  • These brief studies and reports of the use of exposed aggrigate precast concrete in practice are combined with a description of some notable co-ordination such as shop drawing, manufacturing and erection in the field construction. Above mentioned exposed aggrigate P. C. means architectural P. C. which was used to the VOTRAKON site in Riyadh, Saudi Arabia. Fabricated P. C. on the site without autoclaving and steam curing plant had been successfully carried out on this project-core building, conference room and others. The project designed by HOPE/VTN international INC. which is located in San Diego, California U.S.A. stand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related support facilities contract. We had to submit shop drawings showing complete information for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P. C. unit reinforcement. Also we should be indicated member dimension and cross section, location size and type of necessary for erection. We can delineat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result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how to handle exposed aggrigate P.C. unit as specified was quality assurance and co-ordination for shop drawing, manufacturing and erection.

  • PDF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the Coffee-realted Major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 채선영;임미라;안대희;김광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25-436
    • /
    • 2013
  • 커피산업의 분야가 확대 발전되면서 체계적이고 실용성 있는 지식을 갖춘 인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한 커피교육기관의 증가는 그 외형적 성장에 비해 내실화는 다소 미흡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전문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전문학교의 커피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소와 그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학생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커피교육의 적정성과 개선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서비스 품질의 5개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내용성, 확신성)은 학습만족도와 추천의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커피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커피교육관련 실습시설과 장비의 구비가 우선적 고려요소였으며 지도력과 전문성 있는 교, 강사의 중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커피전공을 선택함에 있어서 소신성을 보이고 있지만 직업으로의 연계에 불만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기적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도제훈련 참여 및 투자 동기의 제도적 영향요인: 독일-한국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nstitutional Influence Factors of Firm's Motivation of Participating and Investing in Apprenticeship in Germany and Korea)

  • 이한별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247-284
    • /
    • 2017
  • 본 연구는 독일과 한국 기업의 도제훈련 참여 및 투자 동기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기업의 참여 및 투자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양국의 도제훈련 제도적 요인은 어떠한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두 국가의 제도적 요인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일학습병행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일과 한국 도제훈련의 제도적 특징 및 기업 참여 및 투자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국제기구, 양국 정부와 연구기관의 정책자료, 연구자료, 보도자료 등을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업의 도제훈련 참여 및 투자 동기가 생산 지향적인지 투자 지향적인지 고려할 때, 독일은 훈련 기간 내 순비용이 발생함에 따라 투자 동기가, 한국은 훈련 기간 내 순편익이 발생함에 따라 생산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두 국가의 도제훈련 수익성 구조와 참여 및 투자 동기가 달라지는 원인을 본 연구는 제도적 요인에서 찾고 있다. 이에 두 국가의 제도적 요인을 (1) 맥락(노사정 관계, 법적 기반), (2) 투입(제도의 유연성, 정부지원금), (3) 과정(훈련 내용, 훈련 기간, 훈련의 질 보증), (4) 결과 요인(도제생의 이수율/잔류율, 도제생의 생산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두 국가의 제도적 영향요인 비교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핵심적인 시사점은 최소한의 필수 요건에 대한 기업의 "책무성" 부여와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한 기업의 "자율성" 보장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