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ACUTA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월출산 국립공원 추이대 군락의 수직적 분포를 통해 본 지구 온난화의 영향과 금후의 천이 가능성 (Influences of Global Warming and Succession Possibility through Vertical Distribution of Communities in Ecotone, Wolchulsan National Park)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561-1584
    • /
    • 2011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t. Wolchulsan. We also predicted the succession possibility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through the pioneer species of a forest change and dominant species of canopy vegetations. We also analyzed the Raunkiaer's life-form. The communities in this ecotone are distributed vertically in the order of a Quercus acuta community, a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a Q. serrata community.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ppears on the most of altitudes.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correlates highly with an altitude. The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will be succession to the Q. acuta community, and the Q. variabilis will be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or remain locally. The Q. serrata community will possibly maintain as it is, and the P. densiflora community will be also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The valuable quantitative and numerical life-forms are confirmed and the layer structure of present vegetation will not be changed.

Decomposition of leaf litter of some evergreen broadleaf trees in Korea

  • Lee, Kyung Eui;Cha, Sangsub;Lee, Sang Hoon;Shim, Jae K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517-528
    • /
    • 2015
  • Litter decomposition is an important process in terrestrial ecosystem. However, studies on decomposition are rare, especially in evergreen broadleaf trees. We collected the leaf litter of five evergreen broadleaf trees (Daphniphyllum macropodum, Dendropanax morbifera,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a), and carried out a decomposition experiment using the litterbag method in Ju-do, Wando-gun, Korea for 731 days from December 25, 2011 to December 25, 2013. Among the five experimental tree species, C. cuspidata var. thunbergii distribution was limited in Jeju Island, and D. macropodum was distributed at the highest latitude at Mt. Baekyang (N 35°40′). About 2% of the initial litter mass of D. macropodum and D. morbifera remained, while 20.9% remained for C. cuspidata var. thunbergii, 30.4% for M. thunbergii, and 31.6% for Q. acuta. D. macropodum litter decayed four times faster (k = 2.02 yr-1) than the litter of Q. acuta (k = 0.58 yr-1). The decomposition of litter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rmal climate such as accumulated mean daily air temperature (year day index) and precipitation, as well as by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ickness (R2=0.939, P = 0.007) and specific leaf area (SLA) (R2 = 0.964, P = 0.003).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lignin (R2 = 0.939, P = 0.007) and water-soluble materials (R2 = 0.898, P = 0.014)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itter decomposition. However, the nutrients in litter showed complicated species-specific trends. The litter of D. macropodum and D. morbifera had fast decomposition despite their low nitrogen concentration and high C/N ratio. This means that the litter decomposition was more strongly affected by physical characteristics than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ent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litter of Q. acuta which had the slowest decay rate had a high amount of N and low C/N ratio. Thus, the decomposition of Q. acuta litter was more affected by the P content of the litter than the N content, although all litter had similar physical characteristics.

난온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II) (Monitoring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Warm-Temperate Region(III))

  • 강현미;강지우;김지해;성찬용;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101
    • /
    • 2022
  •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변화과정을 장기 모니터링하기 위해 1996년 완도수목원에 설치된 16개 고정조사구(시험구, 대조구)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했다. 특히 1996년도 복원기법으로 도입한 시험처리(솎아베기, 식물도입)가 식생 발달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교목층에 붉가시나무가 우점한 군락(고정조사구 1~3)에서는 이 종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줄고, 외부에서 들어온 상록활엽수종의 MIP가 늘어나 장래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붉가시나무-낙엽활엽수림(고정조사구 5, 7), 소나무림(고정조사구 9, 10)에서도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확인됐다. 솎아베기를 시행했던 시험구에서 조류 피식 산포형인 생달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의 종 유입과 상록활엽수종의 세력 확장이 두드러져, 난온대림 식생 발달을 촉진하는데 유효했다고 본다. 시험구에 상록활엽수종을 심어 식생구조 변화를 꾀했지만, 식재 수량이 적어 식생구조 변화에 끼친 영향이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식생유형보다 소나무림은 소나무, 곰솔의 쇠퇴에 따른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식생구조 변화가 뚜렷했다.

붉가시나무의 종실 생산량 및 형질특성 - 전라남도 완도, 진도, 해남을 중심으로 - (Acorn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a Thunb - Focused on Wando, Jindo and Haenam in Jeollanam-do, Korea -)

  • 김소담;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21-631
    • /
    • 2021
  • 전남지역의 완도, 진도, 해남을 대상으로 난대상록활엽수림 복원 시 붉가시나무 종실 공급과 묘목 양성에 대한 정보 필요성에 따라 붉가시나무의 종실 생산량 및 종실 형질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을 위해 표면적 1m2의 종자 트랩을 10개(완도 8개, 해남 1개, 진도 1개) 방형구에 방형구 당 3개씩 총 30개를 설치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8월에서 12월까지 매월 말 종자 트랩 내로 낙하한 종실을 수거하였으며, 낙하 종실을 수거해 건전, 충해, 부후, 쭉정이 등으로 구분 후 종실 생산량을 산정하였다. 건전 종실의 경우 각두를 제거한 종실의 길이, 지름, 무게 등 종실 형질을 측정하였다. 조사한 종실 생산량 및 종실 형질은 연별, 임분별, 월별, 처리구별 등을 연평균 값 비교분석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각 방형구 내 종자 트랩 낙하 종실량은 2013년에 5~350립/3m2, 2014년에 17~551립/3m2, 2015년에 5~454립/3m2, 2016년에 14~705립/3m2로 방형구 간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방형구내 임목 밀도 등으로 인한 수광량의 유입차로 추정진다. 전체 연도별 종실 생산량을 ha당 산정한 결과 각각 2013년에 335,000립, 2014년에 932,000립, 2015년에 556,000립, 2016년에 1,037,000립이었으며, 2년을 주기로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종실 생산량 증감은 임분 간 동시성을 보여 붉가시나무는 임목 개체 간 결실 풍흉 및 결실 시기의 주기성이 뚜렷한 것으로 판단된다. 9월에 가장 많은 종실이 낙하하였으나 충해종실의 피해 또한 많은 것으로 나타나 종실의 조기 낙하를 방제한다면 결실 기간을 높여 충실 종실의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연평균 종실 길이의 경우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실 지름과 종실 무게의 경우 해남 종실이 완도, 진도 종실에 비해 유의적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월별 연평균 종실 형질은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11월의 연평균 종실 길이, 지름, 무게가 각각 19.72mm, 12.23mm, 1.64g으로 8월~11월 중 최대치를 보였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V) - 사례지의 복원전략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V) - Restoration Strategies of the Case Study Areas -)

  • 오구균;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2-365
    • /
    • 1997
  •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의 연구의 일환으로 사례지인 전남 완도와 경남 목도의 복원전략을 제시하였다. 완도의 식생복원 유형은 개선형과 재현형으로 구분했고, 목도는 개선형으로 제시했다. 완도의 복원식생은 붉가시나무군락, 참가시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생달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 군락을 목표식생으로 제시했다. 목도의 복원식생은 후박나무군락으로 제시했다. 완도의 종복원 대상은 개체군의 분포지역이 매우 한저되어 있고 크기가 작은 수종 중에서 참나무과의 참가시나무와 자작나무과의 새우나무를 선정하였다. 목도지역에는 복원할만한 수종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해남과 거제도의 상록활엽수림에 있어서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of Litter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Haenam and Koje-Do)

  • Chang, Nam-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3호
    • /
    • pp.163-169
    • /
    • 1985
  • The composition rates of litters were studied at Camellia japonica forests in Koje-Do and Haenam, and at Quercus acuta, Quercus acutissima,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abtusa forests in Haenam. Total amoun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and sodium in litter samples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amounts and decomposition rate was studied. Annual litter production were rarely different at each forest in Haenam. The amount of accumulated organic matter was about 4 times greater at C. japonica forest in Koje-Do than at the C. japonica forest in Haenam. These amounts were 5, 282.1 $\pm$ 1, 026.03g/m2 in Koje-Do and 1, 420.7 $\pm$ 384.77g/$m^2$ in haenam. The decomposition rate were rarely differnet at each forest in Haenam, but the rates showed great difference at C. japonica foreests in Koje-Do and Haenam. The rates were 0.093 and 0.313 at C. japonica forests in Koje-Do and in Haenam respectively. The sodium contents were 0.472% and 0.229% on L layer and on Css layer of C. japonica forest in Koje-Do, while they were 0.034% and 0.043% on L layer, and on Css layer of C. jpaonica forest in Haenam. It is sugested that much difference in the salt contents in the forest floor was present from the results of sodium content measured at each site, and that the decomposition rate was affected by the much concentration of salt in Koje-Do.

  • PDF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Daehuksan Island)

  • Kim, Chul-Soo;Jang, Yoon-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45-160
    • /
    • 1989
  • Daehuksan Island (125°23'-125° 28' E and 34°37'-34°42' N, ca 19.7㎢) in the southwestern part of Mokpo, Korea, is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Most of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island is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And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etc. During 1987,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Braum-Blang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Daphniphyllum macropodum-Quercus acuta, Pyrrosia lingua-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Carpinus coreana, and Psedosasa japonica community. Grassland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Gleichenia japonica, Gleichenia dichotoma, Arundinella hirta-Miscanthus sinensi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i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Pennisetum alpecuroides, Carex boottiana, and salt marsh vegetation. Thypa orientalis, Spergularia marin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Triglochin maritimum community. Based on them,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in 1:50,000 scale.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鳥島群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Chod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3호
    • /
    • pp.181-190
    • /
    • 1990
  • Chodo Archipelago ($125^{\circ}$45 $-126^{\circ}$13 E and $34^{\circ}$15 $-34^{\circ}$25 N, ca. $56.7km^2$), a part of the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largely is covered with substitutional vegetation under various human impact such as grazing, cutting for firewood. However natural vegetation is partially distributed in the tutelary shrine forests, deep valleys and etc. From October 1988 to June 1989,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is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by Braun-Blanquet 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association and 7 communities. Ardisio-Castanopsietum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Quercus acuta, Litsea japonca, Eurya japonica-Pinus thunbergii mixed forest,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afforestation.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월출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 lchulsan National Park)

  • 오구균;정승준;김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9-60
    • /
    • 1999
  • 월출산 국립공원 및 공원보호구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7월에 27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의 식생은 난대기후대의 수종과 온대기후대의 수종이 함께 출현하는 추이대 특성을 나타내고, 주로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참나무군락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총 2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의 분석결과 낙엽활엽수군집,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굴참나무군집, 소나무-붉가시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조록싸리-조릿대군집으로 8개 군집으로 대별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식생은 수종간 경쟁이 활발한 천이도중상의 식생구조를 나타내고 있었다.

  • PDF

서해중부 인천 도서지역의 상록활엽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broad-level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 이정현;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5-332
    • /
    • 2008
  • 서해 중부지역에서의 상록활엽식물의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06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인천광역시에 속하는 136개 도서를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28개 유인도와 49개 무인도 등 총 77개 도서에서 12종의 상록활엽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중 가장 흔한 종은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도깨비쇠고비 등이었다. 이들 식물은 또한 조사지역중 최북단에 위치한, $N 37^{\circ}60^{\prime}$ 부근 백령도에서도 자란다. 한편 송악,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마삭줄 등 4종은 $N 37^{\circ}10^{\prime}$ 부근 덕적면까지만 발견된다. 그러나 이들 식물은 육지에서는 한반도 남쪽이나 서남해안 지역까지 자란다. 상록활엽식물이 이런 고위도 도서지역까지 분포하는 것은 서해 난류의 영향으로 보인다. 현지조사와 문헌을 기초로 각 도서 별 상록활엽식물의 분포를 기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