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broad-leveled evergreen plants on islands of Incheon, middle part of Yellow Sea

서해중부 인천 도서지역의 상록활엽식물 분포

  • 이정현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최병희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f the central part of the Yellow Sea, we surveyed 136 islands of Incheon from May 2006 to March 2008. In the present survey, twelve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were found on 77 islands, which included 28 inhabited and 49 uninhabited islands. Among them, the most popular plants were the following: Euonymus japonicus Thunb., Elaeagnus macrophylla Thunb., Camellia japonica L., and Cyrtomium falcatum (L.f.) C. Presl. These plants were found growing on Baengnyeong Island, the northmost island among those surveyed, near $N 37^{\circ}60^{\prime}$.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four species are found up to Deokjeok-myeon only, near N $N 37^{\circ}10^{\prime}$: Hedera rhombea (Miq.) Bean,, Quercus acuta Thunb. ex Murray for. acuta,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and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However, these plants are usually found growing in the southern or south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us the distribution of the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growing on these high latitude islands might be influenced by a warm current of the Yellow Sea. The distribution of broad-leaved evergreen plants on each island is described.

서해 중부지역에서의 상록활엽식물의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06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인천광역시에 속하는 136개 도서를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28개 유인도와 49개 무인도 등 총 77개 도서에서 12종의 상록활엽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중 가장 흔한 종은 사철나무, 보리밥나무, 동백나무, 도깨비쇠고비 등이었다. 이들 식물은 또한 조사지역중 최북단에 위치한, $N 37^{\circ}60^{\prime}$ 부근 백령도에서도 자란다. 한편 송악,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마삭줄 등 4종은 $N 37^{\circ}10^{\prime}$ 부근 덕적면까지만 발견된다. 그러나 이들 식물은 육지에서는 한반도 남쪽이나 서남해안 지역까지 자란다. 상록활엽식물이 이런 고위도 도서지역까지 분포하는 것은 서해 난류의 영향으로 보인다. 현지조사와 문헌을 기초로 각 도서 별 상록활엽식물의 분포를 기재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천광역시

References

  1. 구경아, 공우석, 김종규. 2001.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 대한지리학회지 36: 247-257.
  2. 민병미, 최재규, 이은팔, 1991. 서해안 간석지(강화도 남단)의 식물상. '91 자연생태계 지역조사, 환경부. Pp. 45-78.
  3. 민병미, 정진회, 1999. -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 인천광역시 강화군.옹진군. 환경부.
  4. 박규하. 1983. 경기만내 제도서식생에 관한 생태.분류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5. 박규하, 1987. -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의 관속식물상 - 백령도 및 인근도서. 자연실태종합조사 보고서 7: 137-169.
  6. 백광수, 임양재. 1982. 한반도 주변도서의 관속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 5: 143-153.
  7. 송홍선. 2003. 서해북부 섬마을 풀꽃나무 백과도감. 인천녹색연합, 인천.
  8. 송홍선, 2002. -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 - 인천광역시 강화군 II.옹진군 II. 환경부. 서울.
  9.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 남.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 695-706.
  10. 이승호, 허인혜, 이경미, 권원태. 2005. 우리나라 상세기후지역의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 983-995.
  11.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12. 이일구. 1979. 서해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보존상태에 관하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 79-91.
  13. 이일구, 1980. 서해 도서지방에 있어서의 상록활엽수의 보존상태. 자연보존연구보고서 2: 31-35.
  1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5. 이창복, 김은식, 장진성. 1982. - 덕적군도의 식물 - 제1차 덕적군도. 자연생태종합조사보고서. 자연보호중압협의회. Pp. 87-115.
  16. 인천광역시. 2004. 인천광역시 도서현황. 인천.
  17. 인천광역시. 2007. 인천 연안도서 해양환경 조사 보전.관리계획. 인천.
  18. 전승훈, 석동임. 1998. 백령도, 대청도의 식물상. 백령도.연평도의 자연환경. 환경부. Pp. 23-36.
  19. 최중기, 고철환, 박용철, 최병희, 박병상, 한경남. 1997. 인천연안도서 자연경관 및 자연생태계.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20. 하상교. 2003. 인천 대청도의 식물상과 식물 지리 구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제23회 인천광역시과학전람회.
  21. 한영호, 정정실. 1991. 해수온도가 우리나라 서해안 지방의 기온 및 습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27: 197-203.
  22. Hur, H. B, G. A. Jacobs and W. J. Teague. 1999. Monthly variations of water masses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J. Oceanography 55: 171-181. https://doi.org/10.1023/A:1007885828278
  23. NA, J. Y, J. W. Seo and H. J. Lie. 1999.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sea surface heat fluxex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J. Oceanography 55: 257-270. https://doi.org/10.1023/A:1007891608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