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dentat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홍수터 복원을 위한 침수 내성 참나무 수종 선발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 한승주;김혜주;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
    • /
    • 2009
  • 우리나라 하천변 홍수터의 복원수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낙엽성 참나무 주요 6종의 유식물을 일반 토양(대조구)과 뿌리가 잠기는 침수된 토양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생육분석에 사용한 항목은 잎 수, 잎 길이, 잎 폭, 잎 면적, 지상부 길이, 줄기 길이, 줄기 직경, 뿌리 길이, 식물체 길이(뿌리 길이+줄기 길이), 잎 무게, 줄기 무게, 뿌리 무게, 식물체 무게 등 13가지 형질이다. 졸참나무는 관찰한 13가지 모든 형질에서 침수처리구에서도 잘 자라 대조구와 생육 차이가 없었다. 갈참나무는 식물체 길이 만, 떡갈나무는 잎 길이 등 4개 형질에서, 굴참나무는 잎 수 등 6개 형질에서, 상수리나무는 뿌리 길이 등 7개 형질에서, 신갈나무는 잎 수를 제외한 12개의 형질에서 대조구보다 침수 처리구에서 못 자랐다(p<0.05). 전체적으로 볼 때 낙엽성 참나무류의 침수에 대한 내성의 순서는 졸참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 순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참나무류를 하천변의 홍수터 복원 시에는 졸참나무나 갈참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수분과 영양소 구배에 따른 생태지위 중복역 (Ecological Niche Overlap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 dentata with Soil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 조경미;설아라;최윤경;김세희;김의주;김윤서;이정민;이주선;김규리;박지원;박재훈;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9-165
    • /
    • 2023
  • 본 연구는 토양의 수분함량과 영양소함량을 4구배로 처리한 후에 나타나는 생육반응의 변화에 따른 낙엽성 참나무 두 종-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생태 지위 중복역을 측정하고 두 종간의 경쟁의 정도를 배열법으로 해석한 것이다. 수분환경 구배에서 두 종의 생태 지위 중복역은 광합성과 관련된 잎 기관에서 높았고, 생물량에서는 낮았다. 영양소 구배에서는 줄기 길이와 같은 식물기하학적 형태적 구조와 관련된 형질에서 높았다. 또한 두 종의 경쟁에서 수분구배의 경우 떡갈나무가 현저히 우세하였으나, 영양소구배에서는 오히려 상수리나무가 떡갈나무보다 약간 우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는 유사한 분류군이라도 환경의 종류에 따라 식물체의 형질에 대한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uber himalayense Collected from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Korea

  • Park, Hyeok;Gwon, Ju-Hui;Lee, Jong-Chul;Kim, Hyun Suk;Seo, Geon-Sik;Eom, Ahn-Heum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01-108
    • /
    • 2021
  • We collected the ascomata of Tuber species from the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Danyang, Korea. We observ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ctomycorrhizal roots and ascomata, and identified the spe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DNA sequences of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 large-subunit rDNA,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DNA (TEF1), and MAT. Finally, we identified the fungal species as Tuber himalayense B.C. Zhang & Minter, which has not been recorded previously in Korea. We evalu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scoma and mycorrhiza (associated with Q. dentata) of T. himalayense.

곡피(?皮)와 상목피(橡木皮) 추출물이 대식세포 RAW264.7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ercus dentata and Quercus acutissima Extracts on the Activations of Macrophage RAW264.7 Primed with $IFN-{\gamma}$)

  • 조진희;성낙술;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0
    • /
    • 2006
  • Objectives :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cortex of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on the activation of macrophage were examined. Methods : Methanol extracts of Quercus dentata (QD) and Quercus acutissima (QA) were applied to cell line RAW264,7 (macrophage),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Results : 1. Extracts from QD and QA had no specific influence on the cell growth. 2. Extracts from QD and QA did not activate macrophage independently, but the addition of $IFN-{\gamma}$ facilitated the generation of macrophage's nitric oxide(NO). 3.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manifestation of iNOS gene, when macrophage was activated by $IFN-{\gamma}$. 4.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manifestation of $TNF-{\alpha}$ in macrophage, which took 2 hours. 5. QD and QA extracts increased the generation of $PGE_2$ in macrophage. Conclusion : QD and QA activate macrophage in the presence of $IFN-{\gamma}$. After activation is primarily facilated by $IFN-{\gamma}$, it works on macrophage secondarily for the manifestation of iNOS gene and for the generation of $TNF-{\alpha}$.

  • PDF

수치분석(數値分析)에 의(依)한 참나무 기본종(基本種)의 유연관계(類緣關係) (Similarity Relationship between Basic Species of the Oak by the Numerical Method)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1
    • /
    • 1974
  • 전자계산조직(電子計算組織)과 수치분석(數値分析)에 의(依)하여 참나무 기본종간(基本種間)의 유연관계(類緣關係)를 증명하고자 non-metric coefficient 식(式)을 적용(適用)하며 UNiVAC-1106으로 처리(處理)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는 이창복교수(李昌福敎授)의 논문결과(論文結果)와 일치(一致)하고 있으나, 필자(筆者)의 연구(硏究)에서는 이들 유연관계(類緣關係)가 수량적(數量的)으로 재증명(再證明)된 것이고 수상형분류(樹狀型分類)에 의거하면 참나무 기본종중(基本種中) 떡갈나무는 유연관계(類緣關係)가 가장 멀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 PDF

分類法과 傾度分析에 의한 無等山 蒜林植生 分析 (Classification Analysis and Gradient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udung)

  • Kim, Chang-Hwan;Kang, Seon-Hee;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71-484
    • /
    • 1994
  • The forest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Mt. $Mud\v{u}ng$ were investigated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ordination method.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by ristic composition table: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variabilis community, Q.dent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rainus mandshurica community. Considering the moisture gradient, two kinds of distributuin pattern were shown as follows; F. mandshurica, Q. acturissima, Platycarya strobilacea and Staphylea bumalda were distribute at moist habitats, while Q. monogolica, P. densiflora and Q.variabilis at dry habitats. In continuum analysis, each population occupied different distribution area but it was continuously overlapped. On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t is postulated that Q. mongolica species might dominate the altitudinal zone over 700m.

  • PDF

칠갑산의 식생 (Vegetation of Mt. Chil-gab)

  • Koh, Jae Kee;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0권1호
    • /
    • pp.33-42
    • /
    • 1987
  •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il-gab was studied from 1983 to 1984. By Z-M method, the actual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8 communities and 1 plantation; Quercus variabilis, Q. variabilis-Styrax obassia, Q variabilis-Q. dentata, Q. varisbilid-Q. mongolica, Q. acutissima-Q. variabilis, Zelkova serrata-Styrax japonica, Capinus laxiflor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Larix leptolepts plantation (on the mountain foot) community. The plant communities of Q. variabilis and S. japonica as edaphic climax, in terms of the isopleth line of warmth index. Based on the data of vegetation survey and environmental analysis, the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were perpared with scale of 1/25, 000.

  • PDF

남한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근거한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

  • 양금철;심재국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68-177
    • /
    • 2007
  • 남한 전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위도, 고도, 경사, 사면방위, 온량지수, 한랭지수, 연평균기온과 수치 현존식생도에서 추출한 주요 17군락을 MG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분석을 통해 17군락의 지형적, 기후적 공간분포 특성과 분포역 및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온량지수(WI)는 수평적으로 위도 $1^{\circ}증가에 $5.27^{\circ}C{\cdot}month$, 수직적으로 표고 100 m 상승함에 따라서 $3.41^{\circ}C{\cdot}month$ 체감하고, WI와 CI사이의 관계는 선형 회귀식 $WI=116.01+0.96{\times}CI,\;R^2=0.996$으로 표현되었다. WI값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분포하는 식물 군락은 Abies nephrolepis,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ora, Q. dentata, C. tschonoskii, Q. serrata, Pinus densiflora, Q. aliena, Q. variabiiis,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순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은 건조한 남사면이나 남서사면보다 비교적 적습한 서북, 남동사면 등에 분포하며, WI가 $70{\sim}80^{\circ}C{\cdot}month$인 곳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림은 WI $90{\sim}100^{\circ}C{\cdot}month$의 범위를 갖는 대부분의 북서 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하였다. 굴참나무림과 상수리나무림은 WI $95{\sim}100^{\circ}C{\cdot}month$의 남동 사면에 높은 분포빈도를 보였다. 경사도에 따른 식물군락의 분포를 급경사에서 완경사순으로 1. Abies nephrolepis, Machilus thunbergii, 2.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Q. dentate, Q. serrata, Q. variabil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3. Pinus densiflora, Q. aliena,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4. Carpinus laxiflora, Camellia japonicas. C. tschonoskii community의 5개 그룹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엽(葉)의 초기(初期) 분해과정(分解過程)에 있어서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 및 CO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변화(變化) (Changes of Inorganic Nitrogen and CO2 Evolution Rate o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Korean White Pine Needles)

  • 이명종;한상섭;김정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13-18
    • /
    • 1985
  • 잣나무의 녹엽(綠葉), 낙엽(落葉), F층(層)의 엽(葉)과 떡갈 및 굴참나무의 녹엽(綠葉)을 각각 토양(土壤)에 혼합(混合)하여 53일간 $30^{\circ}C({\pm}1)$로 항온배양(恒温培養)하는 동안 토양중(土壤中)의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 및 $CO_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배양초기(培養初期)에는 무기태(無機態) 질소(窒素)의 유기화(有機化)로 무기태(無機態) 질소량(窒素量)의 감소(減少)가 강(強)하게 일어났고,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 하였다. 2) 혼합(混合)한 엽중(葉中)의 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의 유기화속도(有機化速度)는 잣나무의 엽중(葉中) 녹엽(綠葉)에서 가장 컸으나, 굴참 및 떡갈나무의 녹엽(綠葉)보다는 작았다. 3) $CO_2$ 방출속도(放出速度)의 크기는 굴참나무녹엽(綠葉), 떡갈나무녹엽(綠葉), 잣나무녹엽(綠葉), 잣나무 낙엽(落葉), F층(層)의 잣나무엽(葉)을 혼합(混合)한 토양(土壤)의 순(順)이었고, 시간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감소했다. 4) 질산태(窒酸態) 질소량(窒素量)은 점차 증가(增加)하여 배양(培養) 53일 후에, 암모니아태(態應) 질소량(窒素量)을 상회(上迴)하였다.

  • PDF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 박진희;정명기;선병윤;김기중;박재홍;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8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Quercus subgen. Quercus) 6종 및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 잎, 동아, 소지, 견과, 각두 및 포린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40개의 형질들을 측정, 수리분류학적 분석(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형태 형질의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산 참나무아속 분류군들의 실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아속 한국산 개체들은 크게, 1) Q. acutissima-Q. variabilis, 2) Q. dentata, 3) Q. aliena, 4) Q. mongolica, 그리고 5) Q. serrata 개체들로 구성된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은 대부분 추정 부모종의 중간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성분분석에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면서 약하게 구분되는 Q. acutissima와 Q. variabilis는 잎 하면 털의 종류 및 분포 양상에 의해 뚜렷이 식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형태 형질의 경우, 잎의 형태, 엽신의 길이와 폭, 거치의 크기와 형태, 소지의 직경, 견과의 길이와 폭의 비, 포린의 길이와 폭 등이 참나무아속 한국산 분류군들을 구분하고 잡종 형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