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홍수터 복원을 위한 침수 내성 참나무 수종 선발

  • Received : 2009.04.20
  • Accepted : 2009.05.08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n order to select the water flooding-tolerant trees among Korean oaks, we cultivated the sapling of 6 deciduous oak species,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variabilis, Q. dentata, Q. aliena and Q. serrata, under the water flooding treatment and the control, and analysed the growth difference among them. For comparing the growth between treatment and control, we measured 13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traits, such as leaf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shoot length, stem length, stem diameter, root length, plant length, leaf weight, stem weight, root weight, plant weight. Q. serrata have no growth difference between water flooding treatment and control, but the rest 5 species showed the growth reduction in water flooding treatment. Tolerance of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was risen in order of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variabilis, Q. dentata, Q. aliena and Q. serrata. Thus, among Korean deciduous oaks, it is desirable to plant Q. serrata for flood plain restoration of river.

우리나라 하천변 홍수터의 복원수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낙엽성 참나무 주요 6종의 유식물을 일반 토양(대조구)과 뿌리가 잠기는 침수된 토양에서 재배하여 그 생육변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생육분석에 사용한 항목은 잎 수, 잎 길이, 잎 폭, 잎 면적, 지상부 길이, 줄기 길이, 줄기 직경, 뿌리 길이, 식물체 길이(뿌리 길이+줄기 길이), 잎 무게, 줄기 무게, 뿌리 무게, 식물체 무게 등 13가지 형질이다. 졸참나무는 관찰한 13가지 모든 형질에서 침수처리구에서도 잘 자라 대조구와 생육 차이가 없었다. 갈참나무는 식물체 길이 만, 떡갈나무는 잎 길이 등 4개 형질에서, 굴참나무는 잎 수 등 6개 형질에서, 상수리나무는 뿌리 길이 등 7개 형질에서, 신갈나무는 잎 수를 제외한 12개의 형질에서 대조구보다 침수 처리구에서 못 자랐다(p<0.05). 전체적으로 볼 때 낙엽성 참나무류의 침수에 대한 내성의 순서는 졸참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굴참나무>상수리나무>신갈나무 순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참나무류를 하천변의 홍수터 복원 시에는 졸참나무나 갈참나무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원대 환경계획연구소, 1995. 수변 식생조사와 실험하천에서의 식생호안재 선정 및 적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역보고서.
  2. 김은식, 전승훈, 1997. 하천 내 자생수목의 특성 및 분포도 작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용역보고서.
  3. 김정언, 길봉섭, 2000. 한국의 신갈나무 숲, 원광대학교 출판국.
  4. 김종욱, 김준호, 1994. 수종 참나무속 유식물의 건조스트레스에 대한 기공저항의 조절과 전략의 분화, 한국생태학회지, 19, pp. 241-249.
  5. 김종원 등, 1998. 생물과 어우러진 도시하천 복원을 위한 식생자원 발굴, 환경부.
  6. 김해란, 정헌모, 김혜주, 유영한, 2008.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환경생물학회지, 26(4), pp. 385-391.
  7. 김혜주, 신범균, 유영한, 김창환, 2008. 홍수터복원을 위한 국내 현재잠재자연하천 식생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 pp. 564-594.
  8. 노형진, 정한열, 2002. STATISTICA에 의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9. 박재현, 2001. 수변구역 산림에 의한 수질정화능력 증진에 관한 고찰, 환경복원녹화기술, 4, pp. 2-81.
  10. 양인태, 김동문, 천기선, 2006.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의 퇴적/침식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2, pp. 7-46.
  11. 이창석, 홍선기, 조현제, 오종민, 1999. 자연환경복원의 기술, 동화기술.
  12. 임목육종연구소, 1995. 참나무.
  13. 임업연구원, 1988. 참나무자원의 종합이용개발에 관한 연구, p. 226.
  14. 임주훈, 1995, 참나무와 우리문화, 수문출판사.
  15. 정헌모, 김해란, 유영한, 2009,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환경생물학회지, 27(1), pp. 82-87.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하천구역 내 나무심기 기준 및 관리에 관한 기준.
  17. Baden-Wuerttemberg Umweltministerium, 1989. Handbuch Wasserbau, Gehoelze an Fliessgewaessern, H. 6.
  18. Carwford, R. M. M., 1982. Physiological responses to flooding. In O. L. Lange, P. S., Novel, C. B., Osmond, H., Ziegler, eds., Physiological Plant Ecology II, Water Relations and Carbon Assimilation. Encyclopedia Plant Physiology, Vol 12B, Springer-Verlag, New York, pp. 453-477.
  19. Dickson, R. E., Broyer. T. C., 1972. Effect of aeration, water supply and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upelo gum and bald cypress, Ecology 53, pp. 626-634. https://doi.org/10.2307/1934776
  20. Jackson, M.B., 1979. Rapid injury to peas by soil waterlogging, J. Sci. Food Agri, 30, pp. 143-152. https://doi.org/10.1002/jsfa.2740300208
  21. Large, A. R. G., Petts, G. E., 1992. Buffer zones for conservation of rivers and bankside habitat. R & I project record 340/5y, National rivers autrority, Loughborough.
  22. Large, A. R. G., Prach, K., Bickerton, M. A., & Wade, P. M., 1994. Alteration of patch boundaries on the floodplain of the regulated River Trent, UK.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9, pp. 71-78. https://doi.org/10.1002/rrr.3450090108
  23. Shields, F. D., Jr., Bowie, A. J., Cooper, C.M., 1995. Control of streambank erosion due to bed degradation with vegetation and structure, Water resource bulletin 31, pp. 75-488.
  24. Welsch, D. J., 1991. Riparian forest buffers. Function and design for protection and enhancement of water resource, USDA forest service. Northeast area, Report NA-PR-07-01, Radnor, Pennsylci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