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Tool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1초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A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and improvement of hearing in noise test in evaluating central auditory processing)

  • 한수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8-113
    • /
    • 2022
  • 소음상황에서의 어음 이해 능력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Hearing In Noise Test(HINT) 도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 유용한 도구가 초기의 기대와 달리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청력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양이에서 들어오는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특히 배경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듣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하지만, 어음이해에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노인 인구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들이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법이 근거하고 있는 기전에 있는 인지적 특성과 임상에서의 문제점을 분 석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본 임상 사례로 정상 청력을 가진 20대와 70대의 대표적 HINT점수를 비교하고, 소음이 어떤 조건에서 제시되는가에 따른 문장 인지 특징을 조명하였다. 대상자의 HINT score는 Quiet(Q), Noise Front(NF), Noise Right(NR), Noise Left(NF)조건에서 분석되었다. 여러 임상적 관점에서 유용한 점은 배경 소음이 있을 때 노인의 경우 청년보다 더 많은 신호대잡음비를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량적 변수를 보여주고, 양이차폐감소차이(Binaural Masking Level Difference, BMLD)효과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효과적 임상적 적용에는 세부 연령대별 비교 가능한 표준 자료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유용성 확인과 함께 임상 관련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HFSS를 이용한 T-DMB용 단일소자 공동여파기 구현 (Implementation of a T-DMB Single Element Cavity Filter Using HFSS)

  • 고남규;손태호;이용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57-1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T-DMB 방송 송신기 및 중계기에서 사용하는 공동여파기를 설계하고 제작한다. 설계를 위하여 3차원 field 시뮬레이션 툴인 HFSS를 이용한다. T-DMB 여파기는 Q값이 높아야 하고 대전력인 이유로 공동여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공진기의 설계를 보다 쉽고 정확한 특성을 얻기 위하여 HFSS를 이용한다. 시뮬레이션된 특성을 바탕으로 여파기를 제작하고 특성을 측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한다. 측정한 결과 공진주파수 211.8MHz에서 대역폭 0.1MHz의 특성을 얻음으로써 시뮬레이션 결과와 설계치에 잘 부합되었음을 밝힌다.

Nimodipine as a Potential Pharmacological Tool for Characterizing R-Type Calcium Currents

  • Oh, Seog-B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6호
    • /
    • pp.511-519
    • /
    • 2001
  • Nimopidine, one of dihydropyridine derivatives, has been widely used to pharmacologically identify L-type Ca currents. In this study, it was tested if nimodipine is a selective blocker for L-type Ca currents in sensory neurons and heterologous system. In mouse dorsal root ganglion neurons (DRG), low concentrations of nimodipine $(<10\;{\mu}M),$ mainly targeting L-type Ca currents, blocked high-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 currents by ${\sim}38%.$ Interestingly, high concentrations of nimodipine $(>10\;{\mu}M)$ further reduced the 'residual' currents in DRG neurons from ${\alpha}_{1E}$ knock-out mice, after blocking L-, N- and P/Q-type Ca currents with $10\;{\mu}M$ nimodipine, $1\;{\mu}M\;{\omega}-conotoxin$ GVIA and 200 nM ${\omega-agatoxin$ IVA, indicating inhibitory effects of nimodipine on R-type Ca currents. Nimodipine $(>10\;{\mu}M)$ also produced the inhibition of both low-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 currents in DRG neurons and ${\alpha}_{1B}\;and\;{\alpha}_{1E}$ subunit based Ca channel currents in heterologous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nimodipine $(>10\;{\mu}M)$ is not necessarily selective for L-type Ca currents. While care should be taken in using nimodipine for pharmacologically defining L-type Ca currents from native macroscopic Ca currents, nimodipine $(>10\;{\mu}M)$ could be a useful pharmacological tool for characterizing R-type Ca currents when combined with toxins blocking other types of Ca channels.

  • PDF

DCOM 음성 모듈을 이용한 원격 대화식 학습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Remote-Educating Communication Tool using DCOM Voice Module)

  • 장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2호
    • /
    • pp.173-18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WWW을 기반으로 한 게시판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질의 응답이 가능한 양방향 원격 대화식 학습 방법(RECT) 모듈을 개발하였다. RECT로 DCOM 음성 모듈을 이용하였는데 음성 자료의 사용은 교사에게 학습 자료 제작의 수월성을 주고, 학습자에게는 학습 환경을 준비하는데 수월성을 주기 위함이다. 게시판에서의 모든 학습 자료 및 질의 응답은 음성 모듈의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파일로 제공한다. 먼저 교사는 기본적인 설명을 게시판에 게시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설명을 들으면서 학습한다. 학생들이 교사의 설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는 문제가 해결 될 때까지 교사에게 질문을 할 수 있고, 교사는 그에 대한 답변을 함으로써 양방향 원격 대화식 학습을 하고자 한다.

HFSS를 이용한 T-DMB용 단일소자 공동여파기 구현 (Implementation of a T-DMB Single Element Cavity Filter Using HFSS)

  • 고남규;손태호;이용창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T-DMB 방송 송신기 및 중계기에서 사용하는 공동여파기를 설계하고 제작한다. 설계를 위하여 3차원 field 시뮬레이션 툴인 HFSS를 이용한다. T-DMB 여파기는 Q값이 높아야 하고 대전력인 이유로 공동여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공진기의 설계를 보다 쉽고 정확한 특성을 얻기 위하여 HFSS를 이용한다. 시뮬레이션된 특성을 바탕으로 여파기를 제작하고 특성을 측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한다. 측정한 결과 공진주파수 211.8MHz에서 대역폭 0.1MHz의 특성을 얻음으로써 시뮬레이션 결과와 설계치에 잘 부합되었음을 밝힌다.

IDC장치에 대한 공압시스템의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ing of Pneumatic System for an IDC Device)

  • 웬치탄;레광환;정영만;양순용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2권3호
    • /
    • pp.11-17
    • /
    • 2015
  • An intelligent deburring control (IDC) device is used to control the constant force for a deburring tool mounted on the end-effector of a robotic arm. This device maintains a constant contact force between the deburring tool and the workpiece in order to provide a good deburring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build a mathematical model in Matlab/Simulink to estimate the force control mechanism of the pneumatic system for the IDC device. The Simulink blocks are built for each separate part and are linked into an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Such a model also relies on the effects of the flow rate through the valve, air compressibility in the cylinder, and time delay in the pressure valve.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are compared to a simple experiment in which convenient math modeling is performed. These results are then used to optimize the mechanical design and to develop a force control algorithm for the pneumatic cylinder.

로고 디자인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ng Brand Logo Grade)

  • 이은실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51-1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로고의 가치를 타당성 있는 평가방법을 통하여 객관화하고 이에 따라 브랜드로고의 역할과 브랜드이미지 기여도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궁극적으로 브랜드로고의 존재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브랜드로고는 주관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그 가치를 객관화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인식은 로고의 결정과정에서 전문적인 프로세스 없이 경영진의 주관적이고 순간적인 판단으로 이어져 브랜드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브랜드로고 자체의 가치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비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잘못된 선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브랜드로고는 객관적으로 수치화 된 평가의 틀을 필요로 한다. 또한 브랜드로고는 현재의 이미지보다는 미래의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야 하므로 일반인들의 선호도에 의족하기 보다는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화시킨 평가에 의해 결정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로고를 개발하거나 최종안을 선택 할 때 현업에서 발생하는 디자인에 대한 판단을 가능한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로고의 개발과정과 검수과정에서 객관적이면서 동시에 전문적인 측정모형(가칭: GradingLogo)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측정모형으로 실제 로고평가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문헌을 통해 로고평가에 대하여 고찰 후 전문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인식에서 로고평가항목을 발견함으로서 좋은 로고를 결정짓는 모델을 구체화시킨다. 둘째, 도출한 평가기준을 실제로 로고평가에 적용하여, 로고디자인의 기준에 대한 각 차원의 중요도를 논의하고, 디자인 경영의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기준을 제시한다.

  • PDF

Lung Perfusion scan에서 SPECT-CT의 Q-Metrix방법과 평면영상 결과 산출방법에 대한 비교평가 (C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methods of producing planar image results by using Q-Metrix method of SPECT/CT in Lung Perfusion Scan)

  • 하태환;임정진;도용호;조성욱;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90-97
    • /
    • 2018
  • 폐 관류 스캔은 방사성 물질의 폐동맥 내 미세색전증을 이용하여 폐색전증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며, 만성 폐쇄성 질환이나 국소 폐 관류평가 및 조기 폐암발견 등에 이용된다. 또한 폐암환자에서의 수술 및 방사선 치료 전, 후 국소 폐 기능 예측을 위하여 이용된다. 이를 위하여 관류의 정확한 정량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병변 및 장기에 추적자의 흡수율 정량화가 가능한 SPECT/CT의 Q-Metrix (GE Healthcare, USA)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평면영상의 두 가지 결과 산출 방법에 대한 상관관계 및 각 엽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Discovery NM/CT 670 scanner (GE Healthcare, USA)장비에서 2015년 5월 1일부터 2016년 9월 13일까지 수술 전 폐암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에 대하여 $^{99m}Tc-MAA$(macro aggregated albumin) 185 MBq (5 mCi)를 정맥 주사하였고 후면 영상(Posterior view)을 기준으로 전면, 우측면, 좌측면, 우후사면, 좌후사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면 폐 관류검사 직후 SPECT/CT를 시행하였고 영상의 Processing은 GE사 Xeleris 3.1 Workstation에서 시행하였다. 후방사면 방법은 오른 엽과 왼 엽에 사각형의 관심영역을 설정하였고 RPO영상은 3엽, LPO영상은 2엽으로 나누어 각 엽에 대한 흡수율을 얻었다. 전후 방법은 오른 엽, 왼 엽에 각각 3개의 사각형의 ROI를 설정하여 흡수율을 구하였고 왼 엽은 2엽으로 구분되어 Left middle lobe은 Left upper lobe로 포함시켜 결과를 산출하였다. Q-Metrix Method는 CT영상에 직접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s, ROI)을 설정하였다. 시상면(Sagittal)영상에서 2개의 Slice마다 ROI를 설정하였고 관심부피(Volume of interest, VOI)를 이용하여 체적에 대한 흡수율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version 23.(SPSS I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Q-Metrix 방법과 후방사면 방법의 흡수율에 대한 일치 상관관계는 Right upper lobe(RUL)는 0.663, Right middle lobe(RML)는 0.623, Right lower lobe(RLL)는 0.702이고 Left upper lobe(LUL)는 0.754, Left lower lobe(LLL)는 0.823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후 방법은 RML는 0.035로 흡수율이 증가되어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RUL는 0.224, RLL는 0.447로 흡수율이 감소되었다. 왼 엽에서 LUL는 0.643, LLL는 0.456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상관관계는 후방사면 방법은 0.795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후 방법은 0.161로 나타났다. 각 엽의 차이는 Q-Metrix방법 평균${\pm}$표준편차는 RUL, RML, RLL순서대로 각각 $20.12{\pm}6.21$, $10.86{\pm}3.83$, $24.57{\pm}7.80$이고 LUL, LLL는 각각 $24.34{\pm}6.47$, $20.12{\pm}7.11$로 나타났다. 동일한 순서대로 후방사면 방법의 오른 엽은 $17.4{\pm}5.0$, $10.5{\pm}3.6$, $27.3{\pm}6.0$이었고, 왼 엽은 $21.6{\pm}4.8$, $23.1{\pm}6.6$으로 나타났다. 전후 방법에 대한 오른 엽의 평균${\pm}$표준편차는 $11.6{\pm}4.5$, $26.9{\pm}6.2$, $17.8{\pm}4.2$이고, 왼엽은 $28.4{\pm}4.8$, $15.4{\pm}5.6$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Q-Metrix방법에 대한 평면영상의 두 가지 방법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전후 방법의 RML는 과대평가 되었으며 RML, RLL는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되었고, 모든 엽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후방사면 방법은 전후 방법보다 4배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oblique영상을 활용하여 흡수율이 과대, 과소평가가 되는 것을 줄일 수 있었다. SPECT/CT검사를 시행하지 않거나 planar image 획득 시 후방사면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실용적인 결과 값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많은 환자에 대한 데이터 분석과 호흡에 대한 보정, 객관적인 방법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Qplus-T RTOS를 위한 원격 멀티 태스크 디버거의 개발 (Development of a Remote Multi-Task Debugger for Qplus-T RTOS)

  • 이광용;김흥남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4호
    • /
    • pp.393-409
    • /
    • 2003
  • 본 논문에서 인터넷 정보가전과 같은 Qplus-T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멀티 태스크 디버깅 환경에 대해 제안한다. 효과적인 교차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멀티 태스크 디버깅 환경의 구조 및 기능틀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좀더 효율적인 교차 개발 환경의 개발을 위하여 호스트-타겟 사이에 디버깅 커뮤니케이션 아키텍쳐를 개선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Q+Esto라는 원격 개발 도구들은 대화형 쉘, 원격 디버거, 리소스 모니터, 타겟 매니저, 그리고 디버그 에이전트들과 같이 몇 개의 독립된 도구들로 구성된다. 호스트에서 원격 멀티 태스크 디버거를 이용해서, 개발자는 타겟 실행 시스템 위에 태스크들을 생성시키거나 디버그 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태스크들에 접속하여 디버그 할 수 있다. 응용 코드는 C/C++ 소스레벨로 활 수 있으며, 어셈블리 레벨 코드로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소스코드, 레지스터들, 지역/전역 변수들, 스택 프레임, 메모리, 그리고 사건 트레이스 등등을 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윈도우들을 포함하고 있다. 타겟 매니저는 Q+Esto 도구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된 기능 즉, 호스트-타겟 커뮤니케이션, 오브젝트 파일 로딩, 타겟 상주 호스트 메모리 풀의 관리, 그리고 타겟 시스템 심볼 테이블 관리 등등의 기능들을 구현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개방형 C API라고 부르는데, Q+Esto의 도구들의 확장성을 크게 개선한다. 그리고, 타겟 매니저와 타겟 시스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상대파트 모듈 즉, 디버그 에이전트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타겟의 실시간 운영체제 위에서 데몬 태스크 형태로 수행된다. 디버거를 포함한 호스트 도구로부터의 디버깅 요청을 밟아, 그것을 해석하고 실행하여, 그 결과론 호스트에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약국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환자체감시간과 실 조제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Satisfaction of Pharmacy Service)

  • 박성희;서준규;윤혜설;홍진영;박군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2-215
    • /
    • 1998
  • Purpose : To shorten processing time for variety of medical affairs of the patient at the outpatient clinic of a big hospital is very important to qualify medical care of the patient. Therefore, patient's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after doctor's prescription is often utilized as a strong tool to evaluate patient satisfaction with a medical care provid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1 to August 12, 1998. A total 535 patients or their familie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of Inha University Hospital were subjected to evaluate the drug delivery time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related, which were compared with those objectively evaluated by Quality Improvement Team.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mean drug delivery time subjectively evaluated by the patient (16.1 13.0 min) was longer than that objectively evaluated (10.9 7.6 min) by 5.2 min. Drug delivery time objectively evaluated was influenced by the prescription contents, total amount or type of drug dispensed, etc, as expected. The time discrepancy between two evaluations was influenced by several causative factors. One of those proved to be a patient's late response to the information from the pharmacy which the drug is ready to deliver. Interestingly, this discrepancy was found to be more prominent especially when waiting place for drug delivery was not less crowded. Other factors, pharmaceutical counseling at the pharmacy, emotional status or behavior of a patient while he waits for the medicine, were also found to influence the time subjectively evaluated. Regarding the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drug delivery, majority of patients accepted drug delivery time with less than 10 min. It was also found to be influenced by emotional status of the patient as well as kindness or activity of pharmaceutical counselor.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besides prescription contents, behavior pattern or emotional status of a patient, environment of the waiting place, and quality of pharmaceutical counseling at the pharmacy, may influence the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 of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and his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 service in the big hospital.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it will be cost effective to qualify pharmaceutical counseling and information system at the drug delivery site or waiting place rather than to shorten the real processing time within the pharm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