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COM 음성 모듈을 이용한 원격 대화식 학습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Remote-Educating Communication Tool using DCOM Voice Module

  • 장승주 (동의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발행 : 2003.06.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WWW을 기반으로 한 게시판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 질의 응답이 가능한 양방향 원격 대화식 학습 방법(RECT) 모듈을 개발하였다. RECT로 DCOM 음성 모듈을 이용하였는데 음성 자료의 사용은 교사에게 학습 자료 제작의 수월성을 주고, 학습자에게는 학습 환경을 준비하는데 수월성을 주기 위함이다. 게시판에서의 모든 학습 자료 및 질의 응답은 음성 모듈의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파일로 제공한다. 먼저 교사는 기본적인 설명을 게시판에 게시하고, 학생들은 교사의 설명을 들으면서 학습한다. 학생들이 교사의 설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는 문제가 해결 될 때까지 교사에게 질문을 할 수 있고, 교사는 그에 대한 답변을 함으로써 양방향 원격 대화식 학습을 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oposes Remote Educating Communication Tool (RECT) that allows students and teachers to communicate using Web-based Bulletin Board System. The distance teaching using DCOM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voice module is used to enhance academic accomplishments for students in computer class. The DCOM voice module to be used in distance learning is designed, implemented and applied to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omputer class in order to measure and analyze academic results. The RECT server provides Q&A session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BBS using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The client RECT includes recording and playback functions. The client module of RECT receives and uses DCOM module. When recording, the client transmits voice files with the recorded content to the server.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옥민, 웹 기반 가상 학습지원 시스템의 설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p.5, 2000
  2. 이석호, 인터넷 환경의 대화형 학습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pp.3-5, 1998
  3. 이정호, 세계원격교육의 이론과 한국방송통신대학의 방향, 한국방송통신대학논문집, 제2집, pp.584-585, 1984
  4. 김용성, Visual C++ 6, 영진출판사, pp.1042-1056, 2000
  5. 천경욱 역, Inside Com+ Base Services, 정보문화사, pp.24-53, 2001
  6. 이상엽, http://zikimi.net/vcpp/book/vc5/vc4-4.htm
  7. 권오천, 신규상, CBD 지원 도구의 핵심 기능, 정보처리학회지, Vol.7, No.4, p.24, 2000
  8. 문현주, 황인재, 김석일, 클라이언트/서버 환경과 컴퓨팅 모델, 정보처리학회지, Vol.4, No.6, pp.4-6, 1997
  9. 김만수, 정목동, CORBA/JMF 기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4, No.2, pp.16-17, 2001
  10. Kozma, R.B., Learning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pp.179-211, 1991 https://doi.org/10.2307/1170534
  11. Hoban, C.F., et al., Visualizing the curriculum, New York : The Cordon Co., 1937
  12. Romiszowski, A.J., Designing Instructional Systems, London : Kogan Page, 1988
  13. Reynols, A. & Anderson, R.H., Selecting and developing media for instruction (3rd ed.),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Co., 1992
  14. Zirkin, G.B. & Sumler, D.E., Interactive or non-interactive? That is the questio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0(1), pp.95-112, 1995
  15. Bates, A.W., Interactivity as a criterion for media selection in distance learning :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asian association of open universities, Jakarta, Indonesia, 1995
  16. Farr, C.W. & Shaeffer, J.M., Matching media methods, and objectives I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1993
  17. Thuan,L.Thai 저, 이종우, 윤용완, 최종무 역, Learning DCOM, oreilly, pp.23-59, 1999
  18. http://microsoft.com/com/wpaper/default.asp#DCOM, DCOM Technical Overview, 1996
  19. Ted Pattison, Programming Distributed Applications with COM+ and Microsoft Visual Basic 6.0, Second Edition, Microsoft, 2000, http://www.microsoft.com/mspress/books/sampchap/4336.asp,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