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thium sp.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Bacillus subtilis A405 균주가 생성하는 내열성 항균 peptide의 특성 검정 (Characterization of a heat-resistant antimicrobial peptide secreted by Bacillus subtilis A405)

  • 구본성;이승범;윤상홍;송재경;정대성;변명옥;류진창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8-35
    • /
    • 1998
  • 전국에서 분리한 세균으로부터 항균력이 있는 길항세균들을 먼저 분리한 다음 그중 배양배지 속으로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peptide를 분비하는 A405균주를 선발, Biolog System 및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고 이 균주가 생성하는 항균 peptide의 항균력을 조사한 바 Botrytis cinerea, Cercospora sp., Fusarium oxysporum, Penicillium digitatum, Celletotrichum gloeosporioides,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Pyricularia oryzae등의 식물병원균과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spp. 등의 세균 및 효모인 Candida albicans의 성장도 억제하는 강력한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이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peptide는 알콜,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매에 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proteinase K와 phenol 처리시에는 항균력이 감소되거나 소실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항균 peptide를 SDS-PAGE, Native-PAGE 및 Tris-Tricine 전기영동으로 분자량이 3kDa인 작은 peptide임을 확인하였고 aspartic acid, glycine, serine, glutam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proline, tyrocine 등의 9가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Amino Acid Analyzer로 확인하였으며 냉동건조한 항균 peptide 50 ug/ml을 체리토마토에 처리하여 과일의 선도유지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월등한 선도유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종합적 방제기술을 이용한 유기재배 생강의 근경썩음병 억제 (Suppression of Rhizome Rot in Organically Cultivated Ginger Us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 심창기;김민정;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15-221
    • /
    • 2015
  • 본 연구는 유기농 생강재배지에서 발생한 생강 뿌리썩음병을 헤어리벳치와 난각칼슘+훈탄을 혼합 처리하여 방제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잎이 황화되고 식물체가 시드는 생강 근경썩음병의 병징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7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수확기인 10월 2일에 생강 근경썩음병이 더욱 진전되어 생강의 줄기가 갈변하고 식물체가 고사하여 36.7-43.0%의 높은 발병율을 보였다. 반면에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는 9월말까지 근경썩음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10월 초순까지 발생이 지연되어 1.3-1.7%의 매우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토양내 Na, Fe, Cu 함량은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에 의해 처리 전보다 감소하였으나 유기물 함량은 31.6%로 시험 전보다 2배 증가하였다. 토양내 Pythium sp.의 밀도는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0.3-2.0{\times}10^3cfu/g$)에서 낮았으나, 화학비료 처리구($12.0-12.3{\times}10^3cfu/g$)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유기농 생강 재배지에 헤어리벳치를 녹비작물로 재배하고 토양 개량제인 훈탄과 난각칼슘을 토양에 처리하면 생강의 고질적인 병인 생강 근경썩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for Biological Control

  • Kim, Han-Soo;Park, Jiyong;Cho, Sung-Won;Park, Kee-Hyun;Lee, Gung-Pyo;Ban, Soo-Jung;Lee, Chang-Roo;Kim, Chung-Su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3호
    • /
    • pp.196-201
    • /
    • 2003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Bacillus strains GB-017 and GB-0356, which produce antifungal substances, especially for plant pathogens. In addi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the culture condition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and to document some of the properties of the antifungal substance produced by these soil-isolated strains. Strains GB-0365 and GB-017 were found to be bacillus-shaped, gram-positive and motile, and to inhibit Botrytis cineria,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olani. Antagonistic activity was maintained up to pH 9.0, and the antifungal activity was stable to heat at 80$^{\circ}C$ for 1 h. Antifungal substances were separated and purified using ion exchange and adsorption columns including WK-I0(H$\^$+) (pH 7.0), HP20 column (pH 3.0) and IPA (pH 3.0). and IPA. Its UV absorption spectrum showed major peaks at 231 and 259 nm, corresponding to polyene and lactone. A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um (FAB MS) showed a highest peak at 441 m/z and major peaks at 192, 205, and 370 m/z.

콩 흑색뿌리썩음병의 발생과 Propagule의 형성 (The Outbreak and Propagule formation of black root rot caused by Calonectria crotalariae in Korea)

  • 성재모;박정희;이승찬;정봉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8-233
    • /
    • 1980
  • The infection rate of soybean black root rot disease caused by Calonectria crotalariae was about $14\%$. The isolated fungi from the infected soybean roots and stems were Calonectria crotalariae, Fusarium solani, F. roseum, Phomopsis sojae, Pythium aphanidermatum, Rhizoctonia solani and Macrophomina sp. Among them, C. crotalariae was the most virulent pathogen under the laboratory conditions. Mycelial growth and microsclerotial formation were good on PSA containing 1000cc of water, 100g of potato and 20g of sugar. Mycelial growth, sporulation and microsclerotial formation were good on sterilized root. Perithecial formation was better in the dark condition than in the light. Survival of macroconidia was not available between $0\~25\%$ soil water content. Microsclerotia and mycelium in infected plant debris were survived for 4 months at to $8\%\;50\%$ soil water content. The plant height, when inoculated with $1.2\%$ inoculum density, reached approximately half of uninoculated plants. Disease severity was much higher at nonsterilized soil than completely sterilized soil. It was determined that the host range of this pathogen includes soybean, peanut, green bean and red bean.

  • PDF

Effects of Solar Heating for Control of Pink Root and Other Soil-borne Diseases of Onions

  • Lee, Chan-Jung;Lee, Jong-Tae;Moon, Jin-Seong;Ha, In-Jong;Kim, Hee-Dae;Kim, Woo-Il;Cheon, Mi-G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95-299
    • /
    • 2007
  •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efficacy of soil solarization for control of pink root disease by means of mulching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sheets in the hot season. The effects of soil solarization on incidence of pink-root disease caused by Pyrenochaeta terrestris and on onion growth and on populations of soil fungi were investigated. Solarization was dramatically effective in reducing pink root incidence in onion seedling and harvested onion bulb. A 30-day and 40-day solarization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seedling survival and increased yield of 'Changnyeong-deago' onion while decreasing incidence of pink root. Populations of soil fungi from fields planted to onion were assayed on selective media. Solarization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s of P. terrestris, Pythium spp., and Rhizoctonia sp. in soil. Increase of yield of onion bulbs was associated with control of soil-borne pathogenic fungi. Soil solarization had beneficial effects on yield, bulb diameter, or incidence of pink root.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substance from Burkholderia cepacia, an endophytic bacteria obtained from roots of cucumber.

  • Park, J.H.;Park, G.J.;Lee, S.W;Jang, K.S.;Park, Y.H.;Chung, Y.R.;Cho, K.Y.;Kim, J.C.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5.2-96
    • /
    • 2003
  • In order to develop a new microbial fungicide for the control of vegetable diseases using endophytic bacteria, a total of 26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fresh tissues of 5 plant species. After they were cultured in broth media, their antifungal activities were screened by in vivo bioassays against Botrytis cinerea(tomato gray mold), Pythium ultimum(cucumber damping-off), Phytopkhora infestans(tomato late blight), Colletotrichum orbiculare(cucumber anthracnose), and Blumeria graminis f. sp. hordei(barley powdery mildew). As the results of screening, 38 bacterial strains showed pote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at least one of 5 plant pathogens. A bacterial strain EB072 displayed potent disease control activities against 3 plant diseases. Among the bacterial strains with a pot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ucunlber anthracnose, three bacterial strains, EB054, EB151 and EB215, also displayed a potent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cutatum, a fungal agent causing pepper anthracnose. A bacterial strain EB215 obtained from roots of cucumber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cepacia based on it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165 rRNA gene sequence. An antifungal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liquid cultures of B. cepacia EB215 strain by ethyl acetate partitioning,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invitro bioassay, Its structural determination is in progress by various instrumental analyses.

  • PDF

Phytophthora capsici의 유전적 특성 분석을 위한 Repetitive DNA Probe의 개발 (Development of Repetitive DNA Probes for Genetic Analysis of Phytophthora capsici)

  • 송정영;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6-72
    • /
    • 2002
  •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용 DNA marker를 선발하고자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 균주의 genomic DNA library를 임의로 cloning 시킨 후 sou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여 선발된 clone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be로 사용하기 위해 선발된 clone 내에 삽입된 DNA 단편들은 HindIII로 처리된 P. capsici 95CY3119의 genomic DNA와 특이적으로 강하게 반응했다. 조사된 probe 중 PC9은 HindIII로 처리된 국내 P. capsici 균주들의 genomic DNA와 Southern 분석시 많은 밴드를 형성하였으며, 분리포장 단위별 균주들 간에는 물론 동일 포장 분리균주들 간에도 그 차이를 나타냈다. 그 밴드 양상을 기초로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잘 나타났다. Prove PC22는 다른 Phytophthora속과 Pythium속 균주들의 genomic DNA들과의 Southern hybridization에서는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특이적으로 P. capsici 균주들과는 다수의 밴드를 형성하였다. 이들 P. capsici 종특이적 DNA probe들은 추후 국내 및 전세계에 분포하는 P. capsici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종동정에 유용한 marker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liocladium virens를 이용한 식물병의 생물적 방제 및 유기합성농약의 분해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and Biodegradation of Pesticides by Gliocladium virens)

  • 박용하;이용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5-265
    • /
    • 1996
  • 토양에 존재하는 진균인 Gliocladium virens는 식물병을 감소 또는 방제할 수 있는 생물학적인 특성에 의하여 G. virens는 지난 수십년간 실용가능성이 큰 생물학적 방제균(또는 길항균)으로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이 균이 식물병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생물적 방제효과는 항생작용, 중복기생, 근권에서의 생존과 집단번식, 뿌리표면에서의 정착 등에 의한 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항생물질인 gliotoxin, gliovirin, viridin 등은 Rhizoctonia solani 및/또는 Pythium spp. 등에 항생효과가 뚜렷하고, 식물병의 발생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G. virens의 식물병의 방제에 관련된 중요한 작용기작으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근권에서 이균의 생존과 집단증식 및 뿌리표면에서의 정착은 식물병의 방제와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작용기작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균이 R. solani 등에 기생하는 현상은 식물병의 생물적 방제의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G. virens을 이용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첫째, 길항효과가 높은 G. virens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토양에서 길항력이 높은 G. virens의 선발이 지난 수십년간 진행되고 있다. 또한, 특정 길항효과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G. virens의 염색체에 도입하고 이를 발현시킴으로써 생물적 방제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1980년 후반부터 진행되고 있다. 둘째, G. virens의 길항효과가 최대의 효율로 발현될 수 있도록 최적의 미세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농민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G. virens의 운송매체의 개발이 중요하다. 운송매체의 개발에 의한 'Glioguard'는 G. virens의 포자를 alginate 입자에 제형화한 것으로서 미국에서 시판되고 있다. Aldicarb, metalaxyl, atrazine 등의 농약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은 G. virens의 다른 생물적 특성중의 하나이다. 특히, parathion을 분해할 수 있는 Flavobacterium sp.의 유전자(opd)가 G. virens의 염색체에 도입되여 발현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는 G. virens을 이용한 토양에서의 특정한 농약의 분해효율을 증진시킬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G. virens를 이용한 농약의 생물적 분해에 관한 연구는 기초단계로 평가되고 있으며, 포장에서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erratia plymuthica AL-1이 생산하는 chitinase에 의한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의 생육억제 (Growth Inhibition of Sclerotium Cepivorum Causing Allium White Rot by Serratia plymuthica Producing Chitinase)

  • 김진호;최용화;강상재;김영훈;주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0-98
    • /
    • 2003
  • 대파 흑색썩음균핵병균 (Sclerotium cepivorum)에 길항력을 가진 Serratia plymuthica L-1의 길항 메카니즘을 조사한기 위해 S. plymuthica L-1이 생산하는 세포외 chitinase를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Colloidal chitin이 함유된 배지에서 생산된 S. plymuthica L-1 chitinase는 $(NH_4)_2$$_2$$SO_2$ 40~70% precipitation, affinity adsorption,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200 column filtration 과정을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hitinase는 7.3% 회수율과 19.8의 정제도를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시 단일밴드를 얻었으며, 분자량은 55kDa로 나타났다. 정제된 chitinase의 최적 pH 및 온도는 5.5, $55^{\circ}C$이었고, 온도안정성 조사에서 정제효소는 $50^{\circ}C$까지 90%의 잔존활성을 유지하였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급격하게 효소활성이 실활되었다. $Ca^{2+}$, $Mn^{2+}$, $Mg^{2+}$ 등의 이온은 대략 20군 이상의 효소를 활성화시켰으나 $Cu^{2+}$이온은 약 80%의 효소활성을 억제시켰고, SDS, p-CMB, MIA 등도 효소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였으며, colloidal chitin에 대한 Km값은 3.26 mg/$m\ell$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에 의한 각종 병원균에 대한 생육 억제정도는 흑색썩음균핵병균, 고추 검은무의병균, 고추 탄저병균, 도라지 줄기마름병균, 고추 흰별무늬병균, 오이 균핵병균, 수박 덩굴쪼김병균 등에는 길항력을 나타내었으나 고추 역병균과 무 모잘록병균에서는 길항력이 아주 낮게 나타났다. 정제 chitinase에 의해 대파 흑색썩음균핵병 S.. cepivorum의 균사는 팽창과 균사 끝의 용균, 분해 및 변색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chitinase 기능과 Iysozyme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uxin과 ACC Deaminase를 생산하는 사구식물 복원용 근권세균의 선발 (Selection of the Auxin and ACC Deaminase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rom the Coastal Sand Dune Plants)

  • 임종희;김종국;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8-275
    • /
    • 2008
  • 경북포항지역의 해안사구지역에서 서식하는 11종의 해안사구 식물의 근권으로부터 1,330균주의 근권세균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된 근권세균등 중에서 9종의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인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rynespora casriicola, Colletotrichum acutatum,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G-1(IA), Pythium ultimum, Rhizoctonia solani AG-1(IB)에 대하여 넓은 항진균성 스펙트럼을 가지고 동시에 생장촉진호로몬 옥신을 생산하는 23균주의 근권세균을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23균주의 옥신 생산성 사구식물근권세균들에서 19균주가 항진균성 siderophore를, 4균주가 항진균성 cellulase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17균주는 불용성 인산염을 분해할 수 있었다. 또, 23균주의 선발된 사구식물생장 촉진 근권세균들은 16S rDNA 염기서열 조사와 Bergey's manual에 의하여 99%이상의 상동성을가지는 7균주의 Bacillus sp.균주들과 15균주 Pseudomonas sp.균주들로 동정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 중 다기능 사구식물생장촉진 근권세균인 Pseudomonas fluorescens IB4-14는 고염, 건조와 같은 환경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ACC deaminase를 생산하므로써 식물생장촉진은 물론이고, 환경스트레스 저항성 기작을 가지는 다중기능 균주이었다. 또한, 선발된 옥신생산성 다기능 균주인 P. fluorescens IB4-14는 사구식물인 갯까치수영의 종자발아능과 뿌리생장촉진능에서 우수한 생육촉진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사구식물 복원에 사용할 미생물제제의 구성균주로 선발되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