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ple pigmen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자색고구마의 생육특성 및 색소함량의 변화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Pigment Content of Purple Sweet Potato during Growth)

  • 김선재;임종환;이란숙;이준설;정병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80-1183
    • /
    • 1996
  • 자색고구마의 생육시기에 따른 수확량, 생육 특성 그리고 색소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지상부 길이는 생육시기 100일에 최고인 130cm에 도달하였고 분지수는 생육시기 120일에 최고인 21개였으며 절수는 생육시기 120일에 최고인 550개로 나타나 그 후로 서서히 감소하였다. 지상부 무게는 생육시기 120일에 최고인 4,384kg/10a에 도달하였으며 지하부 무게는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생육 말기인 150일에는 1,8750g/10a로 나타났다. 자색고구마의 색소 함량은 생육 40일부터 색소가 생성되어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육기간 140일째에는 색소 함량이 최대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이 때가 자색고구마의 수확 적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유색감자 색소의 특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Korean Purple - Fleshed Potatoes)

  • 박홍주;전태욱;이성현;조용식;조수묵;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44-1551
    • /
    • 2004
  • 유색 감자(PL-6, PL-28, PL-31과 Jasim)에 함유된 수용성 색소인 anthocyanin의 pH, 당, ascorbic acid, 유기산과 광원에 대한 색소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pH는 유색감자의 anthocyanin 색소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pH가 낮을수록 색도가 높고 안정하였으며 pH가 높아질수록 색소 파괴가 많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색 감자의 anthocyanin 색소에 당 첨가 시 저장 기간동안 점차적으로 색소가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rtaric, citric, succinic acid와 같은 대부분의 유기산은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반면 malic, malonic acid는 색소의 안정성을 감소시켰다. 유기산 중 하나인 ascorbic acid만을 첨가했을 때 anthocyanin 색소 안정성은 계속 감소하였으나 thiourea를 함께 사용한 경우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 유지에 효과가 있었다. 암실, 형광 그리고 햇빛에 대한 유색감자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은 점차 감소하며 빛으로부터 색소를 차단함으로서 색소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색고구마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Purple Sweet Potato)

  • 이란숙;임종환;김선재;정병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52-359
    • /
    • 1996
  • 새로운 천연식용색소원으로 기대되는 자색고구마 anthocyanin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자색고구마 색소에 대한 pH, 당, 유기산, 금속이온, ascorbic acid및 광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는 pH가 낮을수록 색깔의 강도가 높고 안정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 pH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 현상을 나타냈다. 첨가한 당류 중 glucose는 색소의 안정성에 기여하였으며, sucrose와 fructose는 역효과를 나타냈다. 유기산의 첨가는 색소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ctric acid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으로 mal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은 색소의 안정성을 떨어뜨렸으나, $Al^{3+}$$Cd^{2+}은 자색고구마 anthocyanin색소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orbic acid는 색소의 안정성을 저해하였으며 산소 존재하에서는 그 정도가 컸다. 자색고구마 색소의 안정성은 광에 의해 크게 저하되었는데, 형광보다 일광에 대한 영향이 더 켰으며, 저장시 광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 PDF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호상요쿠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from Mil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 이주찬;이가순;이종국;한규흥;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42-447
    • /
    • 1999
  • 섬유질이 풍부하고 enthocyanin색소가 풍부한 자색 고구마를 이용하기 위하여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증자, 박피한 고구마를 첨가한 후 5종(Lactebacillus bulgaricis, Lactobacillus delbruchii sub. sp. lactis, Streptococcus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Leuconostoc lactis) 의 젖산균주를 배양, 접종하여 호상 요쿠르트를 만들고 자색고구마가 젖산균의 생육과산 생성, 색도에 미치는 영향 및 저장성 등을 조사한 결과 L. bulgaricus균을 배양한 경우가 젖산균의 증식과 산 생성이 가장 빨라 발효개시 12시간만에 1.04 $\times$$10^{9}$CFU/$m\ell$의 생균수와 pH 4.22를 나타냈고 B. bifidum균은 발효개시 24시간까지는 젖산균의 증식이 느리게 이루어져 발효개시 36시간에 달할 때 3.3 $\times$ $10^{8}$ CFU/$m\ell$의 생균수와 pH 5.1을 나타냈다. 발효종료 후 자색고구마를 첨가한 요쿠르트의 자색은 B. bifdum균에 의한 요쿠르트제조시 색도가 가장 안정하였고 Leuc. lactis, L. delbruechii sub. sp. lactis, L bulgaricus순으로 안정하였으며 St. lactis균에 의한 요쿠르트는 자색의 색소 소실이 가장 많았다. 2~3$^{\circ}C$에서 저장시 저장 2주까지 pH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생균수의 변화는 L. bulgaricus와 L. delbruechii sub. sp. lactis균에 의해 제조된 요쿠르트는 저장 1주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St. lactis균과 B. bifidum 균은 저장 1주까지 저온에서도 생균수가 소량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색도는 저장 2주 후 B. bifidum균에 의한 요쿠르트 제조시 자색도가 많이 소실되었고 L. delbruechii sub. sp. lactis균에 의한 요쿠르트가 가장 안정하였다.

  • PDF

저장기간에 따른 자색고구마 가공식품의 색소 안정성 (Color Stability according to Storage Period of Purple Sweetpotato Products)

  • 이준설;정병춘;안영섭;정미남;김학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04-208
    • /
    • 2006
  • 안토시아닌 색소가 다량 함유된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음료,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과 음료, 와인, 분말, 식초, 색소의 저장기간별 색소 안정성을 구명코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색고구마 음료는 총고형분 15.6%, 당도 $11.8\;Brix^{\circ}%$, pH 4.1이었고, 와인은 알코올 12.6%, 당도 $7.8\;Brix^{\circ}%$, pH 4.9이었다. 음료와 와인의 색소 안정성은 4개월 저장 후에도 제조 시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2. 자색고구마 90% + 유자 5% + 벌꿀 5%로 조제한 음료가 자색고구마 100%나 자색고구마 80% + 유자 10% + 벌꿀 10%에 비하여 기호도가 높았고, 숙성온도는 $30^{\circ}C$에 비하여 $45^{\circ}C$가 더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3. 자색고구마의 분말과 식초, 색소는 4개월 저장 후에도 색도의 변화가 없어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자색고구마 습관성캘러스로부터 안토시아닌 고생합성 세포주 선발 (Selection of High Anthocyanin-Producing Cells from Habituated Callus Derived from Purple Sweetpotato)

  • 박혜정;김윤실;박현용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9-24
    • /
    • 2007
  • 자색고구마 (Ipomoea batatas cv. Jami) 잎 조직배양으로 유도된 캘러스는 계대배양시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빠르고 간편하게 생장하는 습관성캘러스를 $1{\mu}M\;2,4-D$ 첨가된 MSBM에서 계대배양 없이 6개월간 지속배양하여 선발하였다. 습관성캘러스는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는 MSBM의 고체, 액체 배지에서 계대배양 횟수의 제한 없이 빠르게 지속생장이 가능하였다. 암조건의 액체배양 6 개월 후에는 자색생합성 부위가 생겼으며, 이를 2년 여간 분리하여 자색습관성세포괴를 선발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미의 괴근에서 추출되는 1.5 mg/ml에 근접한 1.0 mg/ml으로 나타났다. 자색습관성 세포괴는 안토시아닌 기내대량에 효과적 세포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자색고구마에서 추출한 anthocyanin의 광안정성 (Photo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ed from Purple-Fleshed Sweet Potato)

  • 임종환;이장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46-349
    • /
    • 2002
  • 자색고구마에서 anthocyanin 색소를 추출한 후 EDTA, gallic acid, phosphoric acid, propyl gallate 및 sodium ascorbate 등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20,000 lux의 백색광을 조사하면서 색소의 광에 대한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EDTA와 sodium ascorbate가 자색고구마 색소의 광안정성을 증진시켰으며, 이들은 각각 100 ppm, 1,000 ppm 이상 사용하였을 때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광합성 기구 조작을 통한 비유황 자색 광합성 세균, Rhodobacter sphaeroides의 생산성 증대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a photosynthetic purple bacterium, Rhodobacter sphaeroides by manipulating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 김낙종;이철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89-192
    • /
    • 2000
  • 광합성 홍색세균의 light harvesting complex II (LHC II)발현 유전자가 제거된 돌연변이종을 halogen 램프 하에서 거리에 따라 광도를 달리하며 배양하여 wild type과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낮은 광도(34 ${\mu}E/m^2/s$)에서는 wild type가 높은 광도 (376, 118 ${\mu}E/m^2/s$)에서는 mutant가 높은 세포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118 ${\mu}E/m^2/s$에서 LHC $II^-$ mutant가 56% 높은 세포생산량을 보였다. 이는 세포내 pigment양의 감소로 mutual shading effect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Phycobilisome composition in Chondrus crispus (Gigartinales, Rhodophyta) from a wild type strain and its vegetatively derived green mutant

  • Cornish, M. Lynn;O' Leary, Stephen J.B.;Garbary, David J.
    • ALGAE
    • /
    • 제28권1호
    • /
    • pp.121-129
    • /
    • 2013
  • Intact phycobilisomes from a wild-type red Chondrus crispus and its vegetatively derived green mutant were isolated by centrifugation through a discontinuous sucrose density gradient. Pigment composition was subsequently characterized by spectrophotometry. Vegetative thalli of the two strains grown together for six months in the laboratory resulted in different pigment profiles. Two pigmented phycobilisome bands appeared in the sucrose gradient of the wild-type alga, a purple coloured one, and a pink one, whereas only a single blue band appeared in the gradient of the green mutant. Spectrophotometric and fluorescence analyses identified the phycobiliprotein composition of the purple band as the typical phycoerythrin-phycocyanin-allophycocyanin complement in the wild-type, but there was no detectable phycoerythrin present in the blue band of the green mutant. Sodium dodecyl sulphate, preparativ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allophycocyanin subunits in all extracts, but firm evidence of an R-phycoerythrin linker polypeptide in the blue band was missing. These results highlight the ability of C. crispus to adapt to a phycoerythrin deficiency by adjusting light harvesting pigment ratios.

자색 고구마 색소의 추출에 미치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의 영향 (Effect of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on Extraction of Purple Sweet Potato Pigment)

  • 신정규;신해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5-169
    • /
    • 2007
  • 천연 식용 색소원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색 고구마로부터의 색소 추출에 대한고전압펄스전기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 고구마 색소는 일정한 주파수와 처리시간 하에서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 추출하였을 경우 전기장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색소의 추출량도 점차 많아지고 있음을 나타내었으며 최적 전압은 35kV/cm임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전기장의 세기와 처리시간을 주고 주파수만을 변화시키면서 추출을 했을 경우 낮은 주파수에서 500Hz까지는 추출량이 큰 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500 Hz 이상에서는 spark발생에 의한 색소의 파괴로 약간씩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전기장의 세기나 주파수가 추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정한 전기장과 주파수 하에서 처리 시간은 색소의 추출양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