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chase experience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 음주 예방을 위한 포커스집단 연구 (The Study on the Focus Group of Adolescent Alcohol Use)

  • 이시연;최윤정;권현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19-346
    • /
    • 2006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음주 관련 상황을 탐색하고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청소년 음주예방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포커스집단 연구방법을 활용하고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음주 관련 상황은 술 마시는 이유, 술 마시지 않는 이유, 음주 상황, 첫 음주 경험 등 4개의 상위 범주로 분류되었고, 16개의 하위 범주와 9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제시된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술을 마시는 이유는 개인의 심리적 상태, 술에 대한 긍정적 인식, 가족 영향, 또래 영향, 교사 영향, 술에 대한 사회적 태도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이 술을 마시지 않는 이유는 개인의 건강 상태, 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 부모감독, 경제적 상황, 술 구입의 어려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들이 술을 마시는 상황은 가족 상황, 학교, 또래 모임으로 나타났다. 넷째, 첫 음주 동기는 어른의 권유와 또래 모임, 음주 장소는 집, 공공장소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음주예방프로그램을 위한 실천적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 PDF

브랜드명성수준에 따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효과 (The Effect of Brand Storytelling in Brand Reputation)

  • 최수아;정효선;황윤용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55-63
    • /
    • 2014
  • Purpose - Brands and products often play key roles in enabling consumers to experience a good attitude, resulting in mentally enacting a specific prototype and reliving the experience by retelling a specific story. Brand storytelling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tool for managing the brand. To successfully apply a firm's brand storytelling, it is important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Therefore, by utilizing the research of Escalas (1998) and Fog et al. (2005), a list of measurements for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SCQ) was applied. In addition, customer attitudes toward brand storytelling were tested. In particular, if customers encounter a dynamic and interesting story, although the brand is not widely known, they can be in communion with the brand and establish an emotional connection (Hill, 2003). Thus, brand reputation was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vs. low), and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and consumers'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as examin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y using the measurement list used in Choi, Na, and Hwang (2013), 12 categories in the level of message quality, conflict quality, character quality, and plot quality were measured. In addition, categories of brand reputation, advertisement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ere measured. The study was based on 181 final survey samples targeti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ults - Consumer responses toward storytelling were researched in the context of brand characteristics or product attributes, such as brand reputation, differentiated from extant simple effects of storytelling. Some brands with high reputation enjoy a halo effect due to prior learning, while other brands with comparatively low reputation have trouble generating positive responses despite attempts to enhance the level of reputation or induce favorable attitudes. Although not all due to the component quality of storytelling, the case of brands with low reputation exerted more positive impact on consumer attitudes than did brands with high reputation. As mentioned earlier, consumer evaluation of the component quality of storytelling was categorized into advertising attitudes,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study; this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other ways. The results imply that an effectiv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could be an important emotional tool for the development of both brands with low brand awareness and of well-known brands. Finally, this study serves to increase consumers' understanding and ability in interpreting brand stories that marketers tell about themselves, as well as to highlight differential experiences with products by level of brand hierarchy. Conclusions -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an objective guideline for storytelling component quality while considering brand awareness. Thus, brand reputation was considered for proving the baselin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and this study provided directions for strategic establishment of storytelling. Based on this, we conclude that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brand story by considering other situation variables and various story patterns, and studying their differences.

가정편의식(HMR) 제품의 전자상거래 소비자 불만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Commerce Consumer Dissatisfaction of HMR Products)

  • 김성은;홍승규;김동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2
    • /
    • 2017
  • 식품의 구입, 조리, 소비에서 편의성과 신속성을 찾는 소비자의 니즈 증대로, 조리가 간단하고 가정식을 대체할 수 있는 가정편의식(HMR) 제품 관련 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 편의의 증대로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한 HMR 구입이 증대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구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들의 불만족 원인과 사후반응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직접 불만을 표현하지 않는 소비자의 불만 분석을 수행하기는 비대면 거래의 특성으로 인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SPSS와 R을 이용하여 온라인, 모바일을 통해 HMR을 구매해 불만족한 경험이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소비자 특성, 불만족 요인, 불평행동 방식, 재구매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에 구성된 불만족 요인에 대해 직접 경험하지 않았더라도 지각되는 불만의 정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 HMR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비자 불만족 연구를 확장하고, 기업의 불만 관리를 위한 소비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일 지역 고등학생의 흡연상태에 따른 흡연지식과 흡연태도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according to Their Smoking Status)

  • 최연희;백경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7-288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high school students from smoking by examining their actual smoking condition and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Method: The subjects were 515 students selected from six(6), high schools in Jeche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the 1st to the 17th of December 2002. The author prepared the tool by modifying the scale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developed by Moon(2001).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program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x^2$-test,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1. The percentage of ex-smoking students was 29.9% of male students and 18.6% of female ones. The percentage of currently smoking students was 23.9% of male students and 3.0% of female ones. The percentage of non-smoking students was 46.2% of male students and 78.4% of female ones, 2.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knowledge according to smoking statu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attitude according to smoking status in male(F=32.70, p=.000) and female(F=11.15, p=.000) students. 4. In smoking statu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x^2$=32.93, p=.000), grade($x^2$=11.91, p=.018),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x^2$=30.52, p=.000) and the mother($x^2$=14.23, p=.027), monthly allowance($x^2$=17.19, p=.028), harmony of family members($x^2$=15.23, p=.019), school life($x^2$=26.96, p=.00l) and school record($x^2$=30.24, p=.000). 5. In smoking status according to smoking-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in cigarette purchase($x^2$=150.04. p=.000), experience in errands for cigarette($x^2$=20.00, p=.000), knowledge of cigarette price($x^2$=72.52, p=.000), close friends' smoking($x^2$=107.41. p=.000) and smoking of brothers and sisters($x^2$=16.97, p=.002). 6.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in the whole students(r=.337. p=.000), ex-smokers(r=.324. p=.000), non-smokers(r=.369. p=.000)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moking in current smokers(r=.128. p=.30l). Conclusion: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should considered students' smoking status. Current smokers nee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iming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smoking in order for them to reduce smoking and to practice smoking cessation.

  • PDF

서비스제공자의 특성이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me Characteristics of Service Provider on Trust and Loyalty in Services Setting)

  • 최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93-31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속성의 의류서비스, 경험속성의 미용서비스, 신뢰속성의 치과서비스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서비스역량, 반응성, 신뢰성 특성이 소비자의 인지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제공자의 개별고객화 특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설명하는 것입니다. 또한 인지적신뢰가 감정적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적신뢰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은 의류서비스, 미용서비스, 치과서비스의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 18과 SPSS win 19.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제기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의류서비스에서 서비스제공자의 반응성 특성은 소비자의 인지적신뢰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다시 감정적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고객충성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미용서비스에서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역량 특성과 신뢰성 특성은 소비자의 인지적신뢰에 영향을 주었고, 개별고객화 특성은 소비자의 감정적신뢰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지적신뢰 및 감정적신뢰 모두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치과서비스에서 서비스제공자의 신뢰성 특성은 소비자의 인지적신뢰에 영향을 준 반면, 개별고객화 특성은 소비자의 감정적신뢰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비자의 인지적신뢰는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준 반면, 감정적신뢰는 고객충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PC 플랜트 프로젝트의 성공/실패사례 활용도 분석 (EPC Plant Project Lessons Learned Utilization Analysis)

  • 양시훈;강택기;조영덕;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9-47
    • /
    • 2021
  • 과거 중동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가 아시아, 중남미 등 신시장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토목, 건축 등 시공 프로젝트에서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까지 일괄도급하는 EPC 플랜트 프로젝트로 그 범위 또한 넓어졌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이전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성공/실패사례를 수집하고 시스템화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많은 근무자들은 자발적으로 기술과 경험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경험이나 기술을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에 앞서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EPC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건설사의 EPC 프로젝트 관련 부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조사 참가자 중 약 74%가 성공/실패사례의 수집 및 활용이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다. 실제 사례를 수집하여 등록한 경험이 있는 인원의 비율은 약 53%, 사례를 활용하여 문제를 예방한 경험이 있는 인원의 비율은 약 39%로 성공/실패사례 시스템에 대한 근무자들의 인식 및 활용도를 파악하였다. 세부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을 때 근무지, 직무, 직급, 현장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EPC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중인 건설사의 성공/실패사례 수집 및 활용도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이를 토대로 성공/실패사례의 수집 및 활용도 개선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국내 플라워샵에서의 절화보존제 인식과 이용 현황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Floral Preservatives in Korean Flower Shops)

  • 안한샘;홍종원;장유진;이애경;김종윤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209-215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플라워샵에서의 절화보존제 사용현황 및 인식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120명의 플로리스트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국내 플라워샵에서 일하는 플로리스트들 중 19.8%만이 절화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혀 사용하지 않은 플라워샵은 45.5%로, 국내 플라워샵에서의 절화보존제 이용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플로리스트들의 절화보존제 주 사용 시기와 목적은 '화훼 상품 보관 시(39.6%)'에 '균 번식 억제를 위해(36.7%)'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화보존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응답(51.4%)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절화보존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화보존제 사용 경험이 있는 플로리스트들에게서는 절화보존제의 이용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50.5%의 절화보존제 이용 경험자는 재구매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국내 플로리스트들의 경우 절화 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적지는 않으나(Mean=3.22), 절화보존제의 적은 이용 빈도와 낮은 인지도는 국내 절화보존제 시장이 작고 홍보가 부족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절화보존제 사용 후 플로리스트들의 높은 만족도와 재구매의사를 보았을 때, 절화보존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하여 국내 플라워샵에서의 절화수명제의 접근성을 높이고 절화 품질 관리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도 고품질의 관상기간이 긴 절화 상품 제공을 통하여 국내 절화산업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유형 데이터 분석방법론 연구 - www.ethno-mining.com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umer Type Data Analysis Methodology - Focusing on www.ethno-mining.com data -)

  • 정욱환;안진호;나요셉
    • 서비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80-93
    • /
    • 2022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소비자 관점에서 제품/서비스에 대한 구매와 사용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추출하고, 전체 연령과 성별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과 성향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 개인 성향, 소비영향, 소비결정 등의 관점에서 요인을 수치화 하여 데이터 의 정합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관점에서 유의미한 소비자유형의 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입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 관점에서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가정한 세 가지의 주요 요인인 일반 성향, 일반 소비 성향, 소비 결정 영향 요인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교차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고 소비자 관점의 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데이터 분석 방법론과 소비자 데이터 분석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프라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개인의 선호도를 투영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현재의 데이터 분석 추세에서 이러한 데이터 분석의 관점은 유효한 통찰이 될 수 있다.

클러스터링을 통한 유통매장의 역할 재설계 전략 수립: 몽골유통사를 대상으로 (Developing the Strategies of Redesigning the Role of Retail Stores Using Cluster Analysis: The Case of Mongolian Retail Company)

  • ;신광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156
    • /
    • 2023
  • 전통적인 오프라인 중심의 상거래 방식은 온라인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구매 패턴에 관한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동반했다. 온라인 쇼핑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몽골에는 여전히 '가공식품'과 같은 특정 제품군에서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매장을 더욱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의 공존과 기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채널에 대한 성과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특히, 채널의 역할 전환 혹은 통합과 같은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몽골 유통 시장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출, 이익, 판매량과 같은 성과 지표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군집의 특징을 주변환경과 비교하여 주요 특징을 발견하였다. 주요 군집에 속한 오프라인 매장의 성과 향상을 위해 온-오프라인 채널 간의 풀필먼트 허브 매장, 고객의 매장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체험 매장, 그리고 매장 특성에 따라 서로 보완하여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는 비관련 채널 간의 합병 등 세 가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유통 채널의 다변화와 함께 고객 경험 향상 및 수익성 개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주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 김영주;한영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different sort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ir awareness of them and their preference in an effort to discuss what problems Korean traditional liquors were faced with and how they could gain popularity among people in general. First, It is investigated of drinking frequency by gender, 51.3 percent of the male adults drunk once or twice a week, and 33.2 percent of the female adults drunk once or twice a month. Thus, the men drunk more often than the women. By age, the adults who were in their 20s and 30s were far different from those who were in their 50s above in drinking frequency. Second, regarding what kind of liquor they enjoyed, the men enjoyed Soju the most, followed by beer and traditional liquors. The women enjoyed beer the most, followed by Soju and wine. The favorite liquor of the men was Soju, followed by beer and traditional liquor, and the women most liked for beer, followed by wine and Soju. The female adults preferred low-proof liquor more than the male adults. Third, concerning their awareness of traditional liquor, Andong-soju was most widely viewed as traditional liquor, which were followed by Munbaeju, Gyeongju-gyodongbeopju, Gyeongju-beopju, Gukhwaju, Ssal- makgeolri, and Geumsan-insamju. Overall, they were rarely aware what traditional liquor was. Fourth, as to purchase experience, the men and the older people had more experience to buy traditional drinks than the women and the younger ones. Fifth, as for anju (dishes for traditional drinks), they believed that panfried food and Kimchi should be served with coarse liquor. Panfried and streamed dishes were considered to be good complements to Takju (rice wine) and Cheongju (clear strained rice wine), and pot stew and soup were looked upon as good complements to distilled liquo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in order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liquor industry, perpetu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put into adding new tastes to unique traditional liquor drinks. And it's required to commercialize those drinks, and multiple P.R. an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prepared to promote their s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