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pal chamb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22초

치수강(齒髓腔)과 치관외면(齒冠外面)과의 최단거리(最短距離)에 관(關)한 실측연구(實測硏究) (A STUDY ON MEASUREMENT OF MINIMAL DISTANCE BETWEEN PULP CHAMBER AND CORONAL SURFACE)

  • 김영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4권2호
    • /
    • pp.1-4
    • /
    • 1989
  •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coronal hard structure the minimal distance between pupal surface and outer surface of crown was measured by means of Bowley gauge on extracted first molars. Upper(28 teeth) and lower(24 teeth) were carefully collected from 30-39 years of age and male. The teeth were split mesio-distally through central pit. On the split surface various part which are deeply related in cavity preparation were measured (schematic draw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 Distance from mesio-cervical enamel to pulp chamber surface. upper $2.63{\pm}0.19$(mm) Lower $2.18{\pm}0.27$(um) B : Distance from mesial chamber ceiling to mesial surface upper $2.75{\pm}0.34$ Lower $2.62{\pm}0.31$ C : Distance from mesial chamber ceiling to occlusal surface upper $3.82{\pm}0.51$ Lower $3.49{\pm}0.50$ D : Distance from distal chamber ceiling to occlusal surface upper $4.28{\pm}0.69$ Lower $3.90{\pm}0.52$ E : Distance from distal chamber ceiling to distal surface upper $2.79{\pm}0.45$ Lower $2.41{\pm}0.40$ F : Distance from disto cervical enamel to pulp chamber surface upper $2.49{\pm}0.24$ Lower $2.39{\pm}0.25$.

  • PDF

웅성불임기술을 이용한 쇠파리 구제에 관한 연구 (3) 쇠파리의 인공대량사육에 관하여 (Study on Stable Fly Eradication by Sterile-Male Technigue (3) Mass Rearing of the Stable Fly, Stomoxys calcitrans L.)

  • 정규회;유준;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1-144
    • /
    • 1974
  • 쇠파리의 실내 대량사육을 위한 시험에서 산란전기간을 단축 시킴으로써 사충율을 저하시키며 누대사육에 의한 위소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각 세대별 용중량의 차이를 조사 하였으며 쇠파리는 성충기 이외에는 자웅구별이 불가능하므로 용중량에 의한 성구별을 시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충 media로부터 용을 분리할 때 사용하는 물을 약 $25^{\circ}C$로 가온하여 용을 채취한 결과 산란전기간이 8일로 단축되었다. 2) 누대사육에 의한 세대별 위소현상 조사에서 명세대별 용중량차이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육온도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3) 용중량의 차이에 의한 성구별은 약 $60\%$의 웅충구별이 가능하였다.

  • PDF

잔디밤나방에 대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잔디의 내충성 평가 (Evaluation of Host Resistance of 18 Warm-Season and 20 Cool-Season Turfgrass Species and Cultivars to Spodoptera depravata(Butler))

  • 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4-81
    • /
    • 2003
  • The need for insect and mite resistant turfgrass cultivars arose because of problem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Representative cultivars and genotypes of 18 warm-season turfgrass [Zoysia japonica Steud., Z. japonica${\times}$Z. metrella hybrids, Z. japonica${\times}$Z. tenuifotia hybrids, Z. matrella (L.) Merr., Cynodon dactylon (L.) Pers., C. dactylon${\times}$C. transvallensis hybrids, Paspalum notatum Flugge., P. vaginatum Swartz., Stenotaphrum secundatum (Walt.) Kuntze,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and Buchloe dactyloides (Nutt.) Engelm.] and 20 cool-season turfgrasses [Poa pratensis L., Festuca arundinacea Schreb., F. rubra L., F. rubra var. commutata Gaud., F. ovina var. duriuscula L. Koch. Agrostis tenuis Sibth., A. palustris Huds., and Latium perenne L.] were evaluated for host resistance to feeding by the Spodoptera depravata (Butler) in the laboratory. Two experiments were set up in the laboratory using 8.5cm diameter${\times}$4.0cm deep plastic petri dishes as larvae feeding chambers. In experiment 1, one neonate larvae were place on the grass in each dish and the dishes were arranged with 5 replicates each within an environmental chamber maintained at $25^{\circ}C$ and 15h light: 9h dark Larval survival and larval weights at 7d and 14d, pupal weights, and days to pupation were compared among turfgrasses. In Experiment 2, 4cm sections of all grasses were oriented equidistant from each other in a pattern resembling the spokes of a wheel. Five one neonate larvae were introduced to the center of each dish. Dishes were immediately placed in an environmental chamber held at $25^{\circ}C$, 15h light: 9h dark Larvae were allowed to feed for 24h. Damage was rated from 0(no damage) to 9(completely consumed) were made for eachturfgrass. Resistance as antibiosis (high mortality, slowed growth, and least preference) was identified in Z. japonica${\times}$Z. tenuifolia hybirids ‘Emerald’, Z. japonica${\times}$Z. metrella hybirds ‘Miyako’ and Eremochloa ophiuroides (Munro.). Cool-season turfgrasses tested were susceptible to feeding by Spodoptera depravata (Butler).

소나무류 천공충의 천적종류 및 북방수염하늘소 주요천적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Wood Borers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Natural Enemies of Monochamus saltuarius on Pine Trees)

  • 김종국;원대성;박용철;고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439-445
    • /
    • 2010
  • 소나무와 잣나무 이목이 설치된 장소에서 채집된 천공성곤충은 모두 4과 45종이었으며, 하늘소과 21종, 바구미과 9종, 왕바구미과 2종, 나무좀과 13종이었다. 기생 및 포식천적의 종류는 총 6목 15과 36종이었다.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북방수염하늘소에 기생, 포식하는 주요천적으로는 Dolichomitus nakamurai와 Echthrus reluctator, 큰쌀도적, 개미붙이 4종이었으며, 기생포식천적(parasitoids)인 Dolichomitus nakamurai 와 Echthrus reluctator는 4월 상순부터 5월 상순까지 발생하며, 주로 충방을 형성하고 그 안에 서식하는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이나 용에 기생하였다. 포식성 천적(predator)인 큰쌀도적, 개미붙이는 4월-10월에 발생되어 천공성 곤충의 유충과 성충을 포식하였다.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호랑나비(Papilio xuthus)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Papilio xuthus)

  • 이상현;김세권;김남이;배경신;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3-179
    • /
    • 2013
  • 본 연구는 호랑나비의 사육을 위한 기초적인 생육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휴면형 번데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우화율과 산란실의 크기에 따른 산란특성에 대한 연구와 호랑나비 애벌레의 일반적인 생육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휴면형 번데기의 저장기간에 따른 우화율은 $4{\pm}1^{\circ}C$의 저온저장고에서 약 10개월 저장후에도 85%의 우화율을 보였다. 휴면형 번데기의 저장기간별 평균 우화율은 89.6%였으며, 우화까지 소요시간은 상온에서 $7.9{\pm}1.9$일이었다. 산란실의 크기에 따른 짝짓기 성공률을 조사한 결과 대형 산란실($6,000{\times}6,000{\times}3,500$ mm)에서는 $86.7{\pm}5.8%$로 소형 산란실($2,500{\times}3,000{\times}2,000$ mm)의 $63.3{\pm}15.3%$비해 짝짓기가 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에 산란실의 크기에 따른 산란수량은 대형 산란실이 $137.0{\pm}16.5$개, 소형 산란실이 $141.7{\pm}20.4$개로 나타났다. 먹이식물에 대한 산란선호도는 황벽나무가 $141.7{\pm}27.8$개로 $67.7{\pm}20.6$개를 산란한 산초나무나 $77.0{\pm}21.8$개를 산란한 귤나무에 비해 산란선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랑나비 애벌레의 부화율은 92.2%로 나타났으며, 알기간은 $4.4{\pm}0.8$일로 나타났다. 애벌레 기간은 총 $19.9{\pm}2.1$일로 나타났으며, 5령기간이 가장 길어 $6.9{\pm}1.8$일이였다. 호랑나비 애벌레의 영별 두폭은 1령 애벌레가 $0.72{\pm}0.02$ mm였으며, 2령 $1.19{\pm}0.02$ mm, 3령 $1.65{\pm}0.05$ mm, 4령 $2.43{\pm}0.07$ mm, 5령 $3.21{\pm}0.12$ mm로 각각 나타났다. 용화율은 91.6%로 나타났으며, 번데기 기간은 $8.8{\pm}0.9$일이었고, 우화율은 92.2%였다.

인위적 구속환경에서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행동: 성충탈출 방지용 그물망의 생물검정법 제안 (Gnawing and Escaping Behaviors of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a Confined Environment: Suggesting a Bioassay Method of Netting for Adult Escape Prevention)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87-193
    • /
    • 2017
  •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에 시들음 증상을 유발하여 괴사시키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대표적 매개충이다. 소나무재선충병 고사목 방제살충처리 방법으로 훈증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그물망을 이용한 방제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솔수염하늘소의 쏠기와 탈출 행동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구속 공간 및 온도를 달리 처리하고 탈출여부를 조사하였다. 솔수염하늘소는 직경 30 mm 이하의 공간에 구속되었을 때 장애물을 뚫고 탈출이 가능하였다. 온도 $15^{\circ}C$에서는 탈출에 성공하지 못하였으며, $20{\sim}30^{\circ}C$ 범위에서 탈출 성공률이 높았다. 먹이를 이용한 솔수염하늘소의 유인은 탈출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좁은 공간에 구속되지 않는 경우는 갉는 부위가 집중되지 않아 탈출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구속된 공간에서 솔수염하늘소는 가운데와 뒷다리 부절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몸을 이동시키며 큰턱으로 정면에 있는 장애물을 집중적으로 갉아서 탈출공을 만들고 앞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하면서 빠져나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훈증 대체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구속 그물망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사육에 의한 버섯파리(Lycoriella sp.)의 발육 단계별 특성 및 생활사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a Sciarid Fly(Lycoriella sp.) in Indoor Rearing)

  • 최광호;박현철;강필돈;강석권;손홍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2
    • /
    • 1997
  • 버섯 재배지에 있어서 주요 해충인 Sciarid fly(Lycoriella sp.)의 생활사와 발육단계별 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 파리는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균사를 먹이로 공급하고 $21\pm1^{\circ}c$, 55$\pm$5% 습도, 16L:8D 조건의 항온기에서 누대 사육하였다. 버섯 파리의 알은 직경 0.17 mm, 길이 0.27 mm의 타원형으로 알 기간은 평균 4일이었다. 1령으로부터 3령까지 유충의 체장은 각각 0.7, 1.5와 4.5 mm이었고, 평균 체중은 각각 1.9, 15.4와 9 93.6 $\mu\textrm{g}$ 이었다. 4령기 유충의 암컷과 수컷은 체장, 마디 크기 및 처1중에 의해 형태적 특정으로 뚜렷하게 구별 할 수 있었다. 4령유충 암컷의 평균 체장과 제중이 각각 5 mm와 162 $\mu\textrm{g}$이었고 수컷은 체장이 3.5 mm, 체중이 90 $\mu\textrm{g}$으로 조사 되었고, 유충 기간은 암컷이 13.5일, 수컷이 13일이였다. 번데기 기간의 암컷과 수컷의 체장은 각각 3.5와 2.7 mm로 나타났으며 평균 체중은 각각 136 $\mu\textrm{g}$과 65$\mu\textrm{g}$으로 암수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성충은 용화 이후 암컷이 5.5일, 수컷은 5일 경과한 후 우화하였고, 성충 기간은 암컷이 평균 5일 수컷은 7일이었다. 암컷의 체중은 수컷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교미 후 암컷은 130에서 150개의 알을 버섯 균사 위와 속에 산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버섯 파리 암컷과 수컷의 경과 일수는 각각 평균 29일 과 213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