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resection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5초

기관지 내 연골성 과오종 -1예 보고- (Endobronchial Chondroid Hamartoma - A case report-)

  • 이송암;김준석;이태훈;임소덕;황은구;김요한;황재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40-243
    • /
    • 2006
  • 폐실질 내 과오종은 흔히 볼 수 있는 양성 폐종양이나, 기관지 내 과오종은 드문 종양 중 하나이다. 치료로는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제거나 기관절개 또는 정상적인 폐실질을 보존하기 위해 소매절제를 통한 종양의 제거가 보편적이다. 그러나 만성적인 기관지 폐쇄로 인해 폐실질이 파괴되어 보존이 어려운 경우에는 폐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저자는 기관지 내 과오종에 의해 좌상엽의 경화가 진행되어 좌상엽절제술이 필요했던 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42세 여자가 3주일 전부터 발생한 기침과 좌측 흥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관지내시경 소견상 좌상엽기관지의 입구를 완전히 막고 있는 엽성 종괴가 관찰되었고, 생검을 시도하였으나 출혈로 실패하였다. 수술 소견상 만성적인 기관지 폐쇄에 의해 좌상엽의 경화가 심하여 좌상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술 후 14일째 퇴원하였다.

Early Pleurodesis for Postoperative Air Leak with Autologous Blood and 50% Glucose Solution

  • Jeong In Hong;Jun Hee Lee;Hyun Koo K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1호
    • /
    • pp.16-22
    • /
    • 2023
  • Background: Postoperative air leaks after pulmonary resection prolong the duration of chest drainage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One of the many treatment options is bedside pleurodesis using various ag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an early intervention to stop postoperative air leaks with either autologous blood or a 50% glucose solu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323 patients who underwent bedside pleurodesis between January 2017 and March 2022. Sixty-four patients received autologous blood patch pleurodesis, and 36 were treated with a 50% glucose solution after pulmonary resection. The primary endpoints were the total postoperative tube indwelling time, post-pleurodesis tube indwelling time, and hospital stay.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n the autologous blood patch pleurodesis and 50% glucose solution groups, the mean initiation timing of postoperative pleurodesis were 2.06±1.62 and 3.28±1.56 days, the mean duration of the tube indwelling time after surgery was 6.58±3.02 and 6.42±4.92 days, and the mean duration of the tube indwelling time after pleurodesis, it was 4.53±3.10 and 3.11±4.80 day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length of hospital stay was 9.11±5.42 and 7.83±4.75 days in the autologous blood patch pleurodesis and 50% glucose solution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Early postoperative air leak cessation with autologous blood patch pleurodesis or 50% glucose solution pleurodesis is a feasible procedure with acceptable outcomes that effectively shortens the hospital stay.

폐과오종 37예에 대한 임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ulmonary Hamartoma: 37 Cases)

  • 최시영;윤정섭;왕영필;박재길;박찬범;사영조;전현우;강철웅;김용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64-568
    • /
    • 2007
  • 배경: 폐과오종은 원발성 폐종양의 $2{\sim}5%$를 차지하며, 양성 종양 중에서는 가장 흔한 형태이나, 폐과오종에 대한 임상 고찰의 국내 논문은 흔하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폐과오종이 진단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발생빈도는 60대가 12예(32.4%)로 가장 많았다. 남성이 23명(62.6%)이었고, 여성이 14명(37.8%)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5.6세였다. 26명(70.3%)의 환자는 무증상이였고, 11명(29.7%)은 증상이 있었다. 29예(78.4%)는 폐실질내 과오종이였고, 8예(21.6%)는 기관지내 과오종이였다. 20예(54.1 %)가 우측폐에 발생하였으며, 17예(45.9%)가 좌측폐에 발생하였고, 우하엽이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수술적 절제로 진단 받은 환자가 32명(86.%)이었으며, 기관지 내시경과 경피적 생검이 각각 4예(10.8%)와 1예 (2.7%)였다. 34예에서 종양제거를 시행하였으며 큰 합병증은 없었다. 재발이나 악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폐과오종의 40대에서 60대의 남자에 흔하며, 우측폐에 더 빈발한다. 추적 검사기간 동안 재발이나 악성 변화는 없었다.

Early Outcomes of Robotic Versu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Anatomical Resection for Lung Cancer

  • Park, Ji Hyeon;Park, Samina;Kang, Chang Hyun;Na, Bub Se;Bae, So Young;Na, Kwon Joong;Lee, Hyun Joo;Park, In Kyu;Kim, You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49-54
    • /
    • 2022
  • Background: We compare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robotic anatomical resection and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records of 4,283 patients, in whom an attempt was made to perform minimally invasive anatomical resection for lung canc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July 2020. Of these patients, 138 underwent robotic surgery and 4,145 underwent VATS. Peri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ncluding age, sex, height, weight, pulmonary function, smoking status, performance status, comorbidities, type of resection, combined bronchoplasty/angioplasty, tumor size, clinical T/N category, histology, and neoadjuvant treatment. Results: In total, 137 well-balanced pairs were obtained. There were no cases of 30-day mortality in the entire cohort. Conversion to thoracotomy was required more frequently in the VATS group (VATS 6.6% vs. robotic 0.7%, p=0.008). The complete resection rate (VATS 97.8% vs. robotic 98.5%, p=1.000)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VATS 17.5% vs. robotic 19.0%, p=0.874)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The robotic group showed a slightly shorter hospital stay (VATS 5.8±3.9 days vs. robotic 5.0±3.6 days, p=0.052). N2 nodal upstaging (cN0/pN2) was more common in the robotic group than the VATS group,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VATS 4% vs. robotic 12%, p=0.077). Conclusion: Robotic anatomical resection in lung cancer showed comparable early outcomes when compared to VATS. In particular, robotic resection presented a lower conversion-to-thoracotomy rate. Furthermore, a robotic approach might improve lymph node harvesting in the N2 station.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에 대한 수술적 치료 효과 (The Clinical Effects of Surgical Treatment for Hemoptysis due to Inflammatory Lung Disease)

  • 윤주식;나국주;제갈재기;정인석;송상윤;오상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44-149
    • /
    • 2010
  • 배경: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치료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출혈이 진행 중인 환자에서 수술적 처치 여부 및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본 연구에서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로 인해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에 대한 임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양성 폐질환에 의해 객혈이 발생하여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7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들을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원인 질환으로는 폐국균증 30예, 결핵 20예, 기관지확장증 18예, 기타 7예가 있었고, 수술은 단일 폐엽절제술 55예, 이엽절제술 2예, 전폐 절제술 17예, 쐐기절제술 1예가 시행되었다. 28명은 응급 수술로 진행하였고, 47명은 정규 수술로 진행하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3명(4.0%)였으며 원인으로는 폐렴 1예, 기관지늑막루 2예였다. 술 전 혈색소 수치가 10 g/dL 미만으로 수혈을 받은 경우(p=0.01)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있는 경우(p=0.003), 그리고 응급으로 수술을 시행한 경우(p=0.003)에 조기 사망률이 높았다. 술 후 합병증은 30명(40%)에서 발생하였고, 남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08). 그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응급 수술을 시행한 경우(15/28, 53.5%)에서 정규 수술을 시행한 경우(15/47, 31.9%)보다 높았다. 합병증으로는 지속적인 공기 누출 9예, 술 후 출혈로 인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7예, 농흉 5예, 폐렴 4예, 기관지늑막루 3예, 재발된 객혈 1예, 우중엽 무기폐 1예가 있었다. 결론: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의 치료로써 폐절제술은 비교적 낮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응급 수술인 경우에는 사망률과 합병증 이환율이 높은 편이다.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에 대해 수술적 치료는 효과적이며, 응급 수술의 경우 술 후에도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A Case of Delayed Diagnosis of Pulmonary Paragonimiasis due to Improvement after Anti-tuberculosis Therapy

  • Lee, Suhyeon;Yu, Yeonsil;An, Jinyoung;Lee, Jeongmin;Son, Jin-Sung;Lee, Young Kyung;Song, Sookhee;Kim, Hyeok;Kim, Su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4호
    • /
    • pp.178-183
    • /
    • 2014
  • Here,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paragonimiasis that was improved with initial anti-tuberculosis (TB) therapy but confused with reactivated pulmonary TB. A 53-year-old Chinese female presented with a persistent productive cough with foul smelling phlegm and blood streaked sputum. Radiologic findings showed subpleural cavitary consolidation in the right upper lobe (RUL). Bronchoscopic and cytological examination showed no remarkable medical feature. She was diagnosed with smear-negative TB, and her radiologic findings improved after receiving a 6-month anti-TB therapy. The chest CT scans, however, obtained at 4 months after completion of anti-TB therapy showed a newly developed subpleural consolidation in the RUL. She refused pathologic confirmation and was re-treated with anti-TB medication. Nevertheless, her chest CT scans revealed newly developed cavitary nodules at 5 months after re-treatment. She underwent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reported that granuloma caused by Paragonimus westermani. Paragonimiasi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patients assessed with smear-negative pulmonary TB.

소아기의 만성 육아종성 질환의 폐감염시 시행한 폐엽절제술 -1례 보고- (Lobectomy in Pulmonary Infections in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of Childhood -A Case Report-)

  • 한재열;원태희;원용순;최수승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102-1105
    • /
    • 1998
  • 소아기의 만성 육아종성 질환은 탐식세포의 선천적인 장애로 탐식된 세균이나 진균류를 살상하는 기능이 상실되고 따라서 반복적으로 화농성 질환이 재발하는 병이다. 폐는 만성 육아종성 질환에서 가장 흔히 침범되는 장기이며 폐감염은 이 질환에 의한 사망률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만성 육아종성 질환에서 수술적 치료는 그 역할이 아직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폐감염의 원인 균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적절한 항생제 선택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폐엽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접근법이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통해 환자회복을 더 빠르게 하고 항생제의 침투를 더 쉽게 하여 환자에게 도움을 준다. 본 환아는 1개월된 남자환아로 만성 육아종성 질환으로 인한 폐감염으로 좌하엽절제술과 수술후 항생제, 항진균제와 면역글로불린, Interferon-gamma를 투여 받고 감염조절이 되었고 퇴원후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 PDF

폐전이 골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Metastatic Pulmonary Sarcoma)

  • 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14-1218
    • /
    • 1997
  • 폐전이 골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폐절제 및 합병치료의 성적을 분석하였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 14례 (남자 11례, 여자 3례)에서 15회의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1례에서는 폐전이 육종의 재발로 2회의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폐전이 육종의 수는 1∼5개였다. 폐전이 육종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4례는 골육종 이었으며, 10례는 연부조직 육종이었다 폐절제술후 평균 생존기간은 29.2개월이었으며, Kaplan-Meier식에 의 한 5년생존율은 33.2%였다. 14례중 3례의 종양 자유기간이 3년이상으로 평균 생존기간은 52.6개월이었으며, 3년 이하의 11례는 추적기간중 모두 사망하여 이들의 평균 생존기간은 17.3개월이었다. 결론적으로 폐전이 육종에 대한 폐절제술은 뚜렷한 수명 연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심실중격결손증 환자에서 심내막염 및 폐동맥판막 증식물이 관찰되었던 1예 보고 (A Case Report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Bacterial Endocarditis and Pulmonic Valve Vegetation)

  • 박화종;김영조;심봉섭;김종설;이동협;이철주;조범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41-247
    • /
    • 1985
  • 저자 등은 1985년 8월 7일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선천성 심실중격결손증 환자에서 우측심실의 세균성 심내막염, 폐동맥 판막, 세균성 증식물 및 다발성 폐동맥 색전증을 초음파심음향도로 진단하고 이를 수술로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폐전이 1예 (A Case of Pulmonary Metastasis of a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 정세진;변민광;정우영;박무석;강신명;김혜령;신동환;김세규;장준;김성규;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73-577
    • /
    • 2006
  • 저자들은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을 완전 절제한 환자에서 5년 후에 원발부위에 재발없이 폐에 단독으로 전이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