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33초

대중교통카드를 이용한 환승요인분석 (Factor Analysis for Transit Transfer using Public Traffic Card Data)

  • 이다은;오주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0-63
    • /
    • 2017
  • 환승은 타고 있던 교통수단에서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한다. 환승은 통행의 불편을 겪지만, 효율적인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환승횟수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제공하고, 대중교통의 편의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대중교통카드 자료는 평택시 평일 61,986건, 주말 69,100건이며, 수집된 교통자료카드를 이용하여 패턴분석 및 환승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Trip Chain 분석 결과, 주말에 주 통행이 통근 및 통행이 아닌 쇼핑, 여가 등의 목적으로 환승 횟수가 많아지며, 통행거리는 10km이상 증가하며 통행시간도 약 9.9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ructural Equation Model의 결과, Factor 1릉 총 통행시간, 총 통행거리, Factor 2는 승 하차 인원수, Factor 3는 환승시간, 대기시간, Factor 4는 버스연계노선 수, 운행대수로 환승통행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대중교통 HUD 기술 개발과 성과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Head-Up Display in Public Transit for Reducing Accidents)

  • 노창균;박범진;강원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13-521
    • /
    • 2014
  • 우리나라의 교통혼잡비용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를 적극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중교통은 혼잡비용 절감에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많은 승객을 수송하는 수단이므로 교통사고 발생시 그 심각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대중교통의 사고 주 원인으로는 버스운전자의 업무부담 과중으로 인한 전방 및 측방 주시태만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사고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대중교통 HUD를 개발하였다. 버스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직면에 가까운 자동차 윈드실드에 정보표출이 가능한 광학 및 광원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버스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표출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또한 뇌파분석 등을 통해 표출정보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색상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중교통 HUD는 버스 등 대중교통의 운전자 업무부담을 감소시키고, 전방으로 시야를 집중시킴으로써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통시설과 근린시설의 접근도에 따른 교통이용행태 및 교통비용 (Travel Demand and Transportation Cost of Household According to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and to Service Facilities)

  • 김성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4
    • /
    • 2006
  • 승용차이용이 많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은 쉽게 간과되는 가구의 교통비 지출에도 원인이 있다. 가구의 자동차수요를 적게 일으키고 교통비를 절감시키는 주거입지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주거지역의 공급시설수준에 따른 가구의 교통수용행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에 가까운 가구의 교통비용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시설을 비롯한 근린시설들에 대한 접근도가 가구의 교통이용행태와 더불어 교통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은 광역 함부르크 시이고 1,640가구들을 통행행태에 대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개인의 대중교통이용과 교통거리는 대중교통 공급시설만으로는 큰 영향을 받지 못하고 근린시설공급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분석결과에서 나타났다. 또한 대중교통시설 및 근린시설이 부족한 지역일수록 여기에 있는 가구들의 승용차 보유수와 교통거리가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결국 가구들의 교통비용이 늘어났다. 가구그룹들에서 교통비의 최고치와 최저치 사이에 가구당 월 약 200유로 차이가 났다. 가구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운 주거입지별 평균 교통비용이 가시화되어 가구들에게 홍보된다면 가구의 주거이동행태를 교통수요가 적은 지역으로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수도권 도시철도 수입금 정산 분석모형 (A Revenue Allocation Model for the Integrated Urban Rail System in the Seoul Metropolitan)

  • 신성일;노현수;조종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7-167
    • /
    • 2005
  • 서울시 통합대중교통체계개편에 의한 준공영제 및 거리비례오금제의 시행으로 대중교통 수입금정산문제가 한국철도공사, 서울지하철공사,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인천지하철공사의 기존도시철도운영기관의 수입금 배분 문제가 내재된 상태에서 버스와 도시철도의 수단간 배분문제까지 포함하는 복잡한 문제로 전개되었다. 또한 추가로 계획되고 있는 민자노선, 지자체의 경전철 도입계획으로 향후 대중교통수입금 정산은 보다 다양한 운영기관 및 지역의 협상문제로서 매우 복잡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운영기관의 수입금 배정의 기본접근모형을 제시하는 것으로, 운영기관이 통합대중교통망에서의 승객수송에 기여한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향후 전자지불시스템이 완비되었을 상황을 가정하여 이때에서 환승구간 때문에 승객의 통행행태가 파악되지 않는 수도권 도시철도로 한정하여 역간의 (복수의) 통행경로를 파악하고 수요를 배정하여 운영기관의 인-Km등의 기여도를 계산하는 방안을 제안하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철도의 승객의 환승행태를 반영한 일반화 비용. 2. 역간 유사경로결정을 위한 K경로알고리즘. 3. 유사경로에 수요배정모형.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전 주체 및 신기술 경험 여부에 따른 만족도 비교분석 : 자율주행서비스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ity Service Satisfaction by Driving Subjects and Experiences of the Latest Technology : Focused on Automated Driving Service)

  • 김탁영;서지훈;방수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03-116
    • /
    • 2022
  • 국토교통부는 원활한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 확대를 위해 총 7개 지역을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고시하여 매년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의 정성적 만족도를 설문조사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첫째,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가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단계 인지, 이용 의향 등이 일반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자와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모수통계분석 방법 중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 Sum Test)을 통한 분석 결과,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 안전과 관련된 요인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자들은 서비스 편의성과 관련된 항목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향후 자율주행 서비스의 개선사항 및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수요응답형교통 이용자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Demand Response Transport(DRT) by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장태연;한우진;김정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8-128
    • /
    • 2016
  •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이용자가 감소함에 따라 서비스수준이 매우 낮아지고 있는 시내버스의 대체수단으로서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위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분위회귀분석은 DRT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평가요소를 종속변수의 수준별로 독립변수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때 유익한 분석방법이다. 2015년 전라북도는 전국에서 최초로 버스형 DRT를 완주군 동상면과 정읍시 산내면에 차량 1대씩 시범운영하였다. 기초통계분석 결과 완주군의 DRT 만족도가 정읍시보다 높게 나왔으며, 분위회귀분석결과에서도 완주군 이용자의 하위분위와 상위분위간 만족도 편차가 크지 않으며 통상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 : OLS)의 값도 상위 분위수에 근접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지속사업으로 진행되는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Working Conditions, Job Strain, and Traffic Safety among Three Groups of Public Transport Drivers

  • Useche, Sergio A.;Gomez, Viviola;Cendales, Boris;Alonso, Francisc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454-461
    • /
    • 2018
  • Background: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social work factors have acquired an important role explaining the well-being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drivers, including those working in the field of public transpor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ain an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transport drivers and to compare the expositions with psychosocial risk at work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ransport workers: taxi drivers, city bus drivers, and interurban bus drivers. Method: A sample of 780 professional drivers was drawn from three transport companies in Bogota (Colombia).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and a set of sociodemographic and driving performance questions, including age, professional driving experience, work schedules, and accidents and penalties suffered in the last 2 years. Results: Analys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measures of socio-labor variables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such road traffic accidents and penalties. Furthermor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tributed to explain significantly suffered accidents from key variables of the Job Demand-Control model, essentially from job strain. In addition, throughout post-hoc analys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b strain, and job insecurity. Conclusion: Work stress is an issue that compromises the safety of professional drivers.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supporting a significant effect of job strain on the professional driver's performance. Moreov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axi drivers, city bus drivers, and interurban bus drivers in their expositions to work-related stress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occupational safety interventions on each occupational group.

대중교통순석을 위한 교통망작성기법 (On the Large Area Multi Modal Network Formulation Techniques)

  • 강위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8-55
    • /
    • 1983
  • One of the major objectives of a transportation study is to provide the transportation networks for future year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rojected transport demand for the movement of passengers and goods utilizing the optimum "mix" of modes. To achieve this goal, the planning process starts wit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to determine the existing traffic demand and travel pattern, and to assign the future trip interchanges on th existing and planned networks to determine areas of improvements so that it can cope with increasing future traval dem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public transport network formulation techniques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large urban area multi modal public transport system.

  • PDF

지방정부 특별교통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이용자가치를 통해 기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Qualities of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on the Image of the Organization through User Satisfaction and User Value)

  • 김종억;황찬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7-144
    • /
    • 2018
  •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is largel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image of the local government's special transport agencies in terms of users and suggest strategic options for promoting the local government's special traffic. Second, a public service approach is very necessary considering the concept of new public transport such as local government special transport, individual use experience and social imp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special traffic through the five important factors of the service quality which are not capable of objectivel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The Effects of Restrictions in Economic Activity on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Philippines: Insights from Apple and Google Mobility Indicators

  • CAMBA, Abraham C. Jr.;CAMBA, Aileen 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15-1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trictions in economic activity on the spread of COVID-19 in the Philippines. This research employs daily time-series data of confirmed new COVID-19 cases, Apple mobility trends (i.e., use of public transport to destinations, volume of people driving, and amount of walking to destinations) and Google community mobility (i.e., visits to transit stations, visits to workplaces, and staying-at-home) indicators covering the period February 17 to September 11, 2020. The analysis starts by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pattern of new confirmed COVID-19 daily infections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 negative linear correlation of the number of new COVID-19 daily infections with less visit to transit station, increase stay-at-home, less use of public transport, and less amount of walking to destinations. Interestingly, the number of new COVID-19 daily infections indicates some form of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visits to workplaces and volume of people driving. Moreover, employing robust least square regression via the method of MM-estimation, major findings reveal that across mobility measures, staying-at-home has the highest impact on reducing the spread of COVID-19, followed by visiting transit stations less, less use of public transport, less amount of walking, and less workplace vis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