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facility

검색결과 1,209건 처리시간 0.024초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Study on color perception improvement for universal design - In respect of bus station in Seoul -)

  • 김은애;박경진
    • 감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371-380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 개선사업으로 인해 변경된 공공시설물 중 버스정류장 쉘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현재 버스정류장 쉘터의 색채는 서울시에서 지정한 대표색 중 기와진회색과 고궁갈색이 주조색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도시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어울리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에 입각하여 볼 때 사회적, 신체적 약자에 속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이 이용하고 인지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의 특성 및 환경에 대해 분석하고, 서울시에 거주하는 아동집단과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일반의식, 색상 선호도, 버스정류장 쉘터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에 적절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색채 영역에 적용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공공간의 영역을 하나의 시설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설물을 포함한 환경과의 조화 속에 시설물을 쉽게 인지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것이 앞으로 공공시설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인식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 방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한국 국립공원 사찰 공중화장실 디자인 연구 (Design for Public Lavatory in Korean Temple Considering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oncept)

  • 온순기;양우창;유상완;박주남;정태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7-156
    • /
    • 2002
  •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공동주최 월드컵이라는 국제적 대회의 개최로 인한 외국인 입국자의 증가로 시설물 확충 및 개보수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여행 시 안내표지판 미비 및 화장실의 불결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중 화장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관리소흘과 시설의 낙후 등으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디자인측면과 장애인 시설측면의 미흡함으로 관광한국으로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실에 대한 기존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지만 시설물 개선 및 확충, 시민의식의 제고 측면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배치 및 시설물 계획만을 주로 검토하고 있어 공중화장실의 전통적 디자인 측면이나 환경측면에 대한 고려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공중화장실의 문제점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디자인을 한국불교 건축양식을 적용하여 쾌적한 환경창출과 한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탕출하였다.

  • PDF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은;윤영호;김유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65-75
    • /
    • 2013
  •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노후화 관리를 위해 주거환경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최근 3년간 시설개선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노후화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단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개선 요구도 및 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 시행된 시설개선사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 시설개선사업의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해 평균값 분석을 하고 항목간의 유형구분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개선 항목으로 도출한 공용 공간 29개 항목을 6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대 내부 공간 28개 항목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시설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타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일본 시민농원의 공동시설 및 라우베 공간구성 특성 (A Study on the Public Facilities and the Floor Plan of a Laube in Japanese Kleingarten)

  • 박선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49-58
    • /
    • 2010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 of som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facilities and the space design of laube of Japanese 3-Kleingartens. The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There are basically all the public facility for maintenance in the kleingartens. B and C Kleingartens have the various public facilities to get the additional experience for members. 2) All the laube is a wood structure, the floor plans are all the same square types. The deck, terrace, and balcony were very useful facilities to agricultural works. 3)The basic rooms of all the laube are usual entry, storage, kitchen, dining, living, bathroom. The floor plan of A and B laube is planned by a closed kitchen, C laube is a living kitchen. The living room of B laube is a variable space, to separating or unity room possibly.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이용한 무료노인요양시설 수용노인의 돌봄필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Caring Demand for Extended Care Facilities by Activities of Daily Living)

  • 김철웅;문옥륜;이상이;유재원;이상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3호
    • /
    • pp.564-578
    • /
    • 199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 배치현황을 검토하고, 노인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돌봄 필요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건강상태와 돌봄필요도에 따라 필요한 돌봄인력의 추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2개 요양시설과 서울 2개 요양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187명의 노인에 대하여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159 명에 대하여 면접이 이루어져 85%의 조사율을 보였다. 각 시설의 시설장 및 총무를 대상으로 시설인력현황을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강원도와 서울 일부 요양원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본 대학원 석사과정 학생 6명이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돌봄 소요시간의 경우, 입소노인의 돌봄을 담당하는 간호(조무)사 및 생활보조원을 대상으로 조사표를 통하여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 4개 요양시설 모두 노인복지시설의 인력기준에 미달하고 있다. 2. 노인의 건강평가도구 중 ADL이 노인의 총 돌봄 필요시간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고, 다중 회귀분석의 결과, 돌봄 소요시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단지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나였고,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가 클수록, 즉 노인의 의존도가 클수록 돌봄 소요시간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3. 개별 입소노인의 ADL 총 점수를 네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그룹별 평균 돌봄 소요시간은 I군에서 IV군이 각각 하루에 15.3분, 21.1분, 36.7분, 88.8분의 돌봄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4. 노인요양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분포를 보면, 전체적으로 II군에 속하는 노인은 40.0%로 가장 많았으며, I군, III군, IV군의 순을 보여주고 있다. 시설별로 ADL 그룹별 환자의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5. 모든 요양시설의 간호사와 보조원 수는 입소노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추정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법정기준에 의한 간호사와 보조원수는 노인의 돌봄필요도를 반영하여 추정한 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어 본 연구의 조사대상 요양시설과 비슷한 건강분포를 보이는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에는 법정기준에 부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노인복지사업지침에 근거한 예산지원기준을 적용시킬 때는 모든 요양시설에서 적정인력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무료노인요양시설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시설 종사자에 대한 처우 개선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급여수준을 상향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7. 노인들의 요양필요도를 실제적으로 파악함에 있어 ADL을 이용한 건강지표가 장기적으로는 노인요양 시설의 단순 입소판정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공보건시설 환경색채이미지 어휘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lor Image Vocabulary for Public Healthcare Facility)

  • 박혜경;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171-180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건강,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의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보건시설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색채환경 구축을 위한 색채이미지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보건색채 계획 및 지표개발의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관련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였고, 공공보건시설을 유형별로 의료시설(종합병원), 보건시설(보건소), 준치유시설(요양시설)로 구분하였다. 총 18곳의 공공보건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측색기로 환경색채를 측색하여 환경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 및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색채이미지 특성 및 향후 보완할 점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편안하고 밝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를 직접 측색한 결과, 대부분 Y계열의 고명도, 저채도 색상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공공보건시설의 환경색채이미지 어휘를 분석한 결과, '내츄럴한' 이미지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그 외 '은은한', '점잖은' 등의 이미지가 나타나고 있는데, 공공보건시설의 색채이미지어휘간의 특성을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는 색채과학과 환경디자인 분야의 융합연구로서, 디자인과 관련된 다학제적 연구 범위를 넓혔으며, 사용자 감성 중심의 환경계획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실내공기 중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oor Concentration of Microorganisms in Public Buildings)

  • 김윤신;이은규;엽무종;김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3-5
    • /
    • 2002
  • A measurement of indoor microorganism using Reuter Centrifugal Air Sampler(RCS) was undertaken during October 1991-February 1999 and 6-Stage Cascade Air Sampler was undertaken during May 2001-June 2001 in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of total microorganism collected on the agar strip GK-A media were, in the order, subway station, hospital, underground shopping center, department store, book store, theater, sports facility, educational institution, office building in sites. 2. The average of staphylcocci collected on the agar strip GK-S media, in the order, were subway station, underground shopping center, hospital and department store, department store, theater, office building, sports facility and educational institution in sites. 3. The average of fungus collected on the agar strip GK-HS media, in the order, were Underground hospital, shopping center, theater, subway station, department store, book store, sports facilit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office building in sites

  • PDF

노인전용주거시설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Facility targeted to Aged Person)

  • 윤군석;이민수;조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7-169
    • /
    • 2005
  • Currently the industrialization, the urbanization, and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y is mainstream of korean society. And our country enter into an aging society, on the contrary. The concept of support for aged person is dwindled away. The main reason can be summarized as the aged person's consciousness and the family's economical burden. So, the concern about the facility for the aged person has being issued as a necessary factor to be considered by public. Therefore. the problems of the facility were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m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 PDF

공동주택의 개발에 있어 활동체계에 의한 공간/시설물 계획.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y System Methods of Site Planning and Design)

  • 정하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53
    • /
    • 1994
  •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Activity System Methods of Site Planning and Design. A planned space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usually in relation to users of space and facilities, user attributes, needs and values, and activity patterns. Information obtained form this study adds a qualitative dimension to the quantitative emphasis and supplies information for design-oriented analyses of site planning. In the design-oriented aspect, the concern is with devising desirable land use arrangements and facility supply considering objectives defined in the public interest. The design-oriented approache in site planning and design must use information on activity systems and space qualities in defining planning and design requirements of site development-one in the form of principles and standards of design used in land use and facility planning guidelines, and the other form of input variables for land use model and facility supply model.

  • PDF

무인항공체계 기반 시설물 상태점검 최근 연구동향 분석 (A Literature Review of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Integrated Constructed Facility Condition Inspections)

  • 권진혁;윤지영;윤종영;이동훈;김성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2-173
    • /
    • 2021
  • In recent,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afety inspection, facility condition inspection, progress monitoring, in the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This technology can provide visual assets regarding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jobsites as well as constructed facilities during flying over the point of interests. With the significant interests in this advancement, the recent studies have presented how the UAS can be applied fro different types of facilities (e.g., buildings, power genereation systems, roads, or bridges) to inspect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m for safe operations as well as public's safety. This study reviewed the receent studies to document their scientific findings and practical contributions, as well as provided the overview of further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