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 이지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윤영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유정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2.09.14
  • Accepted : 2012.10.26
  • Published : 2013.01.30

Abstra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and deteriorated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improved for preventing house deterioration through the facility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ffect of applied facility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a survey to residents on the significance degre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Moreover, this study aims to draw out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t first, for this purpose, a survey to the residents of old and deteriorated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country was conducted. In addition, the mean value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degree and significance degree was done, a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ypes of items. As a result, 29 items of residential public spa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were divided into six factors and 28 items for generation of each units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The mean value of the satisfaction degree and significance degree was compared. In conclusion, the design direction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n the future was suggested with the result of the survey.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노후화 관리를 위해 주거환경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최근 3년간 시설개선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노후화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단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개선 요구도 및 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 시행된 시설개선사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 시설개선사업의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해 평균값 분석을 하고 항목간의 유형구분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개선 항목으로 도출한 공용 공간 29개 항목을 6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대 내부 공간 28개 항목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시설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타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영호, 조영태, 박지영, 이지은, 조용경, 이부현, 김준래, 정태기, 장철오, 어진명, 이상욱(2010), 2009년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사업 성과분석, 토지주택연구원.
  2. 이미랑, 이희정, 이재혁, 제해성(2009), "노후 영구임대아파트 건축계획 및 운영관리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5): 79-86.
  3. 이시내, 강혜진, 이언구(2010), "공동주택에서 거주자 만족에 영 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30(1): 381-382.
  4. 정정희, 변정윤, 서희창, 김주형, 김재준(2012), "거주자 중심의 공동주택 사용자 매뉴얼 개발을 위한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32(1): 69-70.
  5. 장한두(2008),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11-21.
  6. 장한두(2006), 거주자 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평가 연구,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7. (사)한국도시연구소(2009),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방안 연구, LH.
  8. LH 국토주택정보처(2012), 2011토지주택핸드북, LH.
  9. Lee, J. E. and Y. H. Yoon (2011), "Influence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Apartment Remodeling: Involving the Expansion of Households and Dwelling Area", LHI Journal, 2(3): 259-268. https://doi.org/10.5804/LHIJ.2011.2.3.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