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for Public Lavatory in Korean Temple Considering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oncept

한국 국립공원 사찰 공중화장실 디자인 연구

  • 온순기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 양우창 (중부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 유상완 (중부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 박주남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 정태운 (중부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As our country holds 2002 Korea-Japan FIFA World Cup, more foreigners are visiting Korea, making the tourist industry more profitable.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stroom as a public facility, and inspire the awareness in the Korean people to improve the public restrooms. However, according to KNTO(Korea National Tourist Organization), it has turned out that foreign tourists are still dissatisfied with dirty restrooms and poor signposting when they visit Korea, Though the number of restrooms has been increased, they are not properly managed being a public nuisance due to negligence of administration and straggling facilities. To make it worse, poor design of restrooms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handicapped person bring disgrace on Koreas tourist administration. While studies on restrooms began from the 1980s, it has placed too much emphasis on the space arrangement and facility plan, so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design and environment aspect of restrooms. This study is 1 haute looked into the problems and actual conditions of restrooms, and based on these data, applied Korean Buddhist architecture style to restrooms to create a comfortable circumstance in restrooms.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공동주최 월드컵이라는 국제적 대회의 개최로 인한 외국인 입국자의 증가로 시설물 확충 및 개보수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여행 시 안내표지판 미비 및 화장실의 불결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중 화장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관리소흘과 시설의 낙후 등으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디자인측면과 장애인 시설측면의 미흡함으로 관광한국으로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실에 대한 기존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지만 시설물 개선 및 확충, 시민의식의 제고 측면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배치 및 시설물 계획만을 주로 검토하고 있어 공중화장실의 전통적 디자인 측면이나 환경측면에 대한 고려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공중화장실의 문제점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디자인을 한국불교 건축양식을 적용하여 쾌적한 환경창출과 한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탕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