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Librarian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3초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A Survey of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for Develop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 차미경;이연옥;양수연;정혜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1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88명의 어린이 사서가 응답한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와 어린이 사서의 현황을 조사하고 계속교육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llaborative Clas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 김현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5-243
    • /
    • 2024
  • 학교도서관은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립 고등학교 8개교의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분석 방법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교육적·문화적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의 교육지원·도서관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운영시에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 한윤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257-279
    • /
    • 1995
  •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s a strateg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source based learning. This approach combines the classroom teacher's subject expertise and knowledge of the students with the teacher­librarian's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availability and use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purpose of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is to develop learning experiences or units of study that effectively integrate the student's resource center activities with other learning experiences. There are also some conditions that are conducive to effective planning sessions. First, the teacher-librarian must be prepared to initiate planning with teachers, rather than waiting for teachers to come to them. Second, the teacher-librarian must be prepared to present suggestions in such a way that the teacher can resp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planning process of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n the previous studies and (2) to find general problems when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apply in actual situation. For these purposes, I chose a school library and a teacher-librarian in Seoul to observe how this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carry out in the school library.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teacher who teaches alone for one grade is more proper to carry out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Young teachers are usually more active to change their teaching methods. (2)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s a program what needs a lot of materials. When there is no right reference book in a school library, it would be good to access DB through PC telecommunication. It is also possile to contact lirarians who work in large public libraries or university libraries. (3) The coo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needs cooperative working between a teacher-librarian and a teacher. Thus a teacher-librarian should be in his school in the day time like the other teachers for the program's planning process. ( 4) There has to be a guide to change into resource based learning in teaching method. Thus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hould offer a seminar or a workshop about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for the teacher-librarians. (5) It needs a system that a teacher-librarian can know about student's assignments so that he can prepare reference books for them. (6) The school library can be able to offer excellent service lik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a teacher-librarian's enthusiasm.

  • PDF

공공 도서관의 관계혜택과 도서관 신뢰 및 인식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Benefits and Library Trust &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es)

  • 박서현;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35
    • /
    • 2017
  • 서비스를 제공하는 많은 영리 및 비영리 기관들에게 서비스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관계는 해당 기관에 대한 인식으로도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수혜자에게 인식되는 혜택을 관계 혜택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관계 혜택을 인식하는지, 관계 혜택 인식이 도서관 신뢰 및 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관계 혜택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관계 혜택은 도서관 신뢰와 도서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앞으로 이용자들이 사서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 관련 유해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서북권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ng Harmful Factors Associated with Works Burden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Librarian of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Northwestern Seoul)

  • 김보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3-11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업무 및 환경적 요인이 근골격계에 부담이 되며 직무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유해요인을 밝히고자 서울시 서북권역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129명으로부터 응답받았다. 조사결과 첫째, 일반사항의 특성에 따라서 보면 성별에 있어 어깨의 경우 근골격계 증상은 남자보다 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의 특성 가운데 팔과 팔꿈치는 근무 기간에 따라 1년~3년 미만의 경우 높은 증상을 보였다. 허리는 운영방식에 따라 교육청과 지자체 위탁의 경우 높은 증상을 보였으며, 목은 근무 시간에 따라 주간이 야간 보다 높은 증상을 보였다. 셋째, 업무환경의 특성에 따라서는 손과 손목 그리고 손가락은 모든 업무환경 특성, 허리는 업무만족을 제외한 업무환경 특성 그리고 다리와 발은 숙련도 업무강도 육체적 부담에 따라 높은 증상을 보였다. 넷째, 개인의 업무만족도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차이를 보면 모든 부위가 업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근골격계 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의 건강을 위하여 업무강도의 조정을 통한 육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근무 및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개인의 업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공공도서관 운영주체의 노력이 필요하다.

도서관 아동서비스를 위한 직무분석 연구 (A Study of the Job Analysis for Library Children's Servic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27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의 직무사례를 분석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의 아동서비스 직무를 분석하고 표준모형을 제안한 후속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공공도서관과 아동도서관을 대상으로 직무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 분석한 다음에 아동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표준 직무모형(중요성, 난이도, 전문성, 수행요건)을 제안하였다. 또한 표준 직무모형의 실천성을 화보하기 위한 아동사서의 전문성 제고와 자격제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동·서독의 사서·정보전문가 교육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Education System in Ost-and West Germany)

  • 노문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8-137
    • /
    • 1990
  • 이 논문은 동서독에 있어서의 사서 정보전문가 교육을 비교하였다. 그 첫번째 비교대상으로, 역사적인 배경을 설명하였고, 두번째로 1879년 이후의 사서교육 시스템이 구성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세번째로 양차대전 이전과 이후의 독일에서의 공공과 학술도서관 사서의 역사적 및 이론적 바탕을 설명하였으며 끝으로 현대 통독직전까지의 동서독 사서 정보전문가의 교육기관의 커리큘럼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독서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행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ents of Public Library for Reading Development)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09-429
    • /
    • 2008
  •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독서관련 행사를 분석하고, 독서진흥을 위하여 독서관련 행사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독서진흥을 담당하는 전담부서를 조직하고 운영한다. (2) 독서진흥을 위하여 도서관주간, 독서의 달 등 절기에 따라 다양한 행사를 한다. (3) 독서진흥을 위하여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한다. (4) 사서교사 자격증이 있는 사서에게 독서진흥 업무를 맡긴다. (5) 독서진흥을 위하여 시청각실 등 다목적실을 마련한다. (6) 독서진흥을 위하여 사이버공간 들을 이용하여 홍보활동을 한다. (7) 독서진흥을 위하여 관련 단체와 협력한다. (8) 독서진흥을 위한 예산을 증액한다.

  • PDF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Children's Librarians)

  • 정혜미;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81
    • /
    • 200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사서 양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서들의 교육 경험과 향후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필요한 관련 교과목 및 교과내용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사서를 위한 교과목의 개설 방향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교과과정 모형 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Sustainability of Community of Practice in Public Libraries)

  • 박성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3-131
    • /
    • 2018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을 위하여 매개자로서의 사서의 필요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로서 사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공동체(CoP)는 영역, 공동체, 실천을 바탕으로 지식을 순환시키는 공동체이다. 둘째, 실행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리더와 조직 외 관리자의 중간 역할을 하며 운영을 지원하고 지식공유를 독려하는 매개자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 사서가 발굴한 프로그램과 동아리는 잠재적 실행공동체이다. 이 잠재적 실행공동체는 참여자였던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의 수혜자가 프로그램의 제공자로 환원됨으로써 지속가능한 실행공동체로 발전한다. 넷째,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에서 실행공동체의 매개자는 사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