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Construction Bidding Proces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초

건설부문 공공조달을 위한 입찰업무 전자처리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lectronic Bidding Systems for Public Procurement in Construction Area)

  • 천봉기;정인수;김영균;김승균;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75-82
    • /
    • 2001
  • 과거의 입찰방식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조달업체들에게도 많은 비용을 소모시킨다. 이의 해결책으로 일부 공공기관에서 전자입찰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거나 구축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문헌조사, 사례분석 및 프로세스 맵핑 기법을 활용하여 현행의 입찰업무를 분석하고, 이 결과와 구축된 시스템과 비교하여, 향후 구축될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일반적인 입찰업무에 대하여 핵심프로세스를 식별하였으며 국내 건설분야 공공조달에 적용되고 있는 계약자선정방식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입찰업무의 시스템 구축의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향후 관련 시스템의 구축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통합추진체계의 구성, 정보공유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구축, 국가차원의 표준화 마련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건설산업 공공조달을 위한 입찰업무 전자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ctronic Processing of Bidding Business for Public Procur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 안광훈;천봉기;김승균;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14-120
    • /
    • 2002
  • 과거의 입찰방식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조달업체들에게 딴은 비용을 소모시킨다. 이의 해결책으로 일부 공공기관에서 전자입찰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거나 구축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문헌조사, 설문조사 및 만족도 평가, IDEF 방법론을 통하여 현행 입찰업무의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구축될 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현행 입찰제도 하에서는 업무처리 절차가 불편하다는 지적이 가장 많았고,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자입찰 시스템은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향후 진자조달 시스템 구현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입찰$\cdot$계약 전자처리 표준화, 시스템의 보안, 법, 제도 정비 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입찰관리 개선모델을 제안하였고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공공건설 입찰관리 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 - 객체지향 방법론에 의한 공사실적관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d MIS in Construction by Object-Oriented Methodology)

  • 천봉기;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1-138
    • /
    • 2002
  • 과거의 입찰방식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건설업체들에게 많은 비용을 소모시킨다. 이의 해결책으로 일부 공공기관에서 전자입찰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거나 구축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이 중복투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건설 부문의 입찰업무 현황을 파악하여 입찰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내용을 기초로 개선방안을 설정하여 효과를 분석, 향후 국내 공공건설분야 입찰관리 정보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 PDF

공공주택공사에서의 도급단가 리스크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Examination of the Unit Price of Public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 김순영;한충희;백태룡;김균태;이준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5-44
    • /
    • 2010
  • 현재 턴키 대안입찰공사에서의 도급내역서 단가가 적정하게 책정되지 않고 있다. 그 사유는 각 입찰제도의 성격 및 그에 따른 단가책정 프로세스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러한 사유로 인하여 턴키 입찰에서는 총액을 맞추기 위한 단가가, 그리고 내역 입찰에서는 저가심의제를 통과하기 위한 단가가 도급내역서에 사용되고 있으면 그 단가는 각 공종별 적정단가라 할 수 없다. 그러나, 도급계약후에는 이러한 단가들이 각 입찰제도의 성격 및 그에 따른 단가책정 프로세스의 고려없이, 모두 도급기성, 설계변경, 물가변동 등 법적 기준단가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저가하도급 판정 기준 및 실적공사단가로도 사용되고 있어 다른 제도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검증되지 않은 단가를 책정한 입찰자와 발주자에게 모두 리스크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그 리스크인자를 규명하고 그 리스크의 정도를 파악하여 향후 그 리스크를 대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AHP를 이용한 공공공사 입찰 방식 의사결정지원 모델 (Decision Making Model for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Delivery Method Selection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웅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59-566
    • /
    • 2017
  • 공공공사의 입찰 방식 결정은 공무수행담당자의 경험 및 업무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있는데, 입찰을 위한 방식 결정 과정의 타당성 검증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입찰방식의 선정에 있어 또다른 도전과제는 경험위주의 의사결정을 근간으로 하고 있어 새로운 형태의 프로젝트 발주 또는 새로운 형태의 입찰방식 적용 시 그것에 대한 객관적 타당성을 마련할 방법이 쉽지 않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공사 프로젝트 발주 방식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계층분석적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하여 모델을 개발하였고 실제 업무 수행 담당자 32명을 통해 검증하였다. 모델 활용결과 32명 중 5명의 모델활용에 일관성이 있었으며, 담당자들은 모델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가이드를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이 향후 새로운 형태의 입찰방식 또는 과제 발생 시 관련 업무 수행자의 업무관련 부담을 줄여주고 객관적인 공무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Design-Build Bidding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 김수현;전민정;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10-413
    • /
    • 2003
  • 건설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정책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계업체와 시공업체의 협력을 장려하는 설계시공 일관입찰방식이 대두되었다.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은 공기단축, 사업비 절약, 품질 향상을 위한 전도 유망한 입찰방식이지만 국내 건설산업에서는 제도의 미비, 관계자들의 경험 및 인식부족 등으로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공사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에서의 문제점을 사업비, 품질, 사업기간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공공건설사업 입찰 및 계약제도측면의 투명성 확보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trategy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the Bidding and Contract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조영준;김종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09-116
    • /
    • 2010
  • 찰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게 되며 이때 다양한 부패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계약체결후에도 공사금액의 결정과정에서 다양한 부패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건설부패는 건전한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기도 하고 그로 인해 다양한 피해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건설공사의 투명성을 강화하여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찰계약제도 측면에서 건설부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낙찰자 선정서비스 도입방안을 제시하고, 다양한 발주방식의 도입, 대체분쟁해결방법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공공프로젝트 친환경 설계지침의 변화에 따른 건축설계프로세스 연구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by the Changes of Sustainable Design Guidelines of Public Project)

  • 태영란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63-70
    • /
    • 2010
  • This study introduce a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by the changes of sustainable design guidelines in public project.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integrated design process studies performed by Rhee & U.B.C. Also, this study examines sustainable guidelines which demanded by public building projects. Then, this study introduces sustainable design process using existing sustainable design process, and shows that how to operate and proceed integrated design to satisfy the sustainable guidelines in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ince 2007, sustainable design guidelines of bidding projects have been highlighted. (2) In public buildings, energy saving is very important issue. Especially energy certification demands 1st degree(under $300kWh/m^2{\cdot}yr$). (3) Inp ractice, integrated design team performed sustainable design using the sustainable design process to improve sustainable in public buildings.

기댓값 분석에 따른 공공공사 입찰담합의 가상경쟁가격 산정방법 (Estimation Method of the Competitive Bid-price in Bid-rigging of Public Construction)

  • 정기창;김우람;김남준;이재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2-60
    • /
    • 2018
  • 우리나라의 공공건설공사는 입찰을 통해 공사를 발주하고 있으나 하지만 입찰의 특성상 참여자들간의 담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입찰담합은 발주자에게 손해를 가하는바, 이를 배상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가상경쟁가격을 산정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계량경제학적 방법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건설공사, 특히 설계 시공일괄입찰의 특성상 여러 한계와 쟁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 시공일괄입찰에서 합리적인 가상경쟁가격을 추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입찰 참가자가 제출한 설계도서로부터 한계비용을 도출하고, 입찰 참가자의 기술 수준과 경쟁업체의 기술 수준 및 입찰 형태에 따라 입찰율에 따른 요인을 검토하여 가상경쟁가격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설계 시공일괄입찰 낙찰자 결정 방식의 특성이 반영된 합리적인 가격이 도출될 수 있으며, 답함에 따른 손해액 산정뿐만 아니라 실제 입찰 과정에서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총사업비 관리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입·낙찰 방식별 공사비 조정 시나리오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st Adjustment Scenarios by Bidding Method through Analysis of the Total Project Cost Management Process)

  • 김경백;이가연;김상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0-38
    • /
    • 2020
  • 국내 공공 건설공사 공사비 수준이 시장 상황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인식이 산업 전반에 널리 펴져 있는 가운데, 총사업비 관리 프로세스 상의 과도한 공사비 조정이 공사비의 적정성 미확보에 대한 핵심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정부는 건설 프로젝트 총사업비 산정 및 관리 프로세스에서 삭감 위주의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산업계에서는 예정가격 대비 낙찰가격의 수준은 매우 낮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사업비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사업비 산정 및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입·낙찰 방식별 총사업비가 단계별 조정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사업구상 단계 대비 낙찰가격의 수준에 대한 정량적 비교분석 결과를 도출한다.